•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l surface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4초

유한요소 분석을 이용한 하중 위치에 따른 구치부 임플란트 국소의치 지지골의 응력 분포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on supporting bone of posterior implant partial dentures by loading location)

  • 손성식;김영직;이명곤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3-10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oblique mechanical loading to occlusal surfaces of posterior implant partial dentures on the stress distributions in surrounding bone,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a posterior implant partial dentures composed of three unit implants, simplified 3 gold alloy crown and supporting bon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AVANA self tapping implant for this study. Three kinds of surface distributed oblique loads(300 N) are applied to following occlusal surfaces in the three crowns; 1) All occlusal surfaces in the three crown(load of 300 N was shared to three crown), 2) Occlusal surface of centered crown (load of 300 N was applied to a centered crown), 3) Occlusal surface of proximal crown(load of 300 N was applied to a distal proximal crown). In the results, 141 MPa of maximum von Mises stress was calculated at third loading condition and 98 MPa of minimum von Mises stress was calculated at first loading condition. From the results, location and type of occlusive loading conditions are important for the safety of supporting bone.

  • PDF

Anatomy of the diaphyseal nutrient foramen in the long bones of the pectoral limb of German Shepherds

  • Sim, Jeoung-Ha;Ahn, Dongcho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79-184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atomy of the nutrient foramen (NF) in German Shepherds by recording the number, site, position, and direction of penetration of the nutrient canal (NC) in the humerus, radius, and ulna of 50 individuals. The site index of the nutrient foramen (SI) wa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NF site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greatest length of the bone. The NF diameter was measured using different sized needles. Most humeri had only one NF on the caudal surface, particularly on the lateral supracondylar crest, or distal cranial surface. All radii had one NF, usually on the caudal surface, while most ulnae had one NF located on either the cranial or lateral surfaces. The SI and NF diameters were 58.0~59.5% and 0.73~0.78 mm in the humerus, 30.4~30.9% and 0.74~0.76 mm in the radius, and 29.3~29.8% and 0.67~0.68 mm in the ulna, respectively. With the exception of the relatively proximal NF of the radius, the direction of penetration followed Berard's rule. This study provides novel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diameter of the NF and direction of the NC in the long bones of the pectoral limb of German Shepherds.

근위 경골의 골육종에 시행한 반관절성형술 (Hemiarthroplasty for Osteosarcoma of Proximal Tibia)

  • 전대근;조완형;김진욱;고한상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4
    • /
    • 2006
  • 목적: 근위 경골 육종의 절제 후 재건은, 특히 골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위 경골 육종의 절제 후 재건에 따르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술식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위 경골에 발생한 골육종의 절제 후 반관절성형술을 시행한 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13세였으며 술후 평균 추시 기간은 64개월이었다. 전례에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삽입물(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liner)을 이용하여 관절면을 재건한 후 엔더정(Ender-nail)과 골시멘트를 이용하여 남아있는 경골에 고정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MSTS 기준에 의한 기능적 점수는 23.5점(78.3%)이었다. 전례에서 술후 슬관절 동통, 불안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골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소아 환자의 근위 경골 육종 절제 후 재건 방법으로서 반관절 성형술은 효과적인 술기로 판단된다.

  • PDF

한국인 태아 조기질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The Fine Structure of Human Fetal Nail Matrix)

  • 손형선;최재권;정윤영;배춘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1호
    • /
    • pp.79-93
    • /
    • 1996
  • The differentiation of nail matrix and fine structure of matrix cells were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using specimens from nails of thumb finger in Korean fetuses 14 to 24 weeks old. Fetal nail matrix consisted of two horizontal layers, thicker ventral and thinner dorsal matrices, originating from invagination of epidermis in proximal nail field. Matrix being generally thicker in its distal region than the apex became gradually thickened with increase of the fetal age. Each matrix consisted of single layer of basal cells and multiple layers of squamous cells which are arranged close to an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nail mairix. The process of keratinization of fetal nail matrix was noted to be occured concurrently in the ventral and dorsal matrices along the central axis of matrix toward distal and dorsal direction. Squamous cells became matured with accumulation of tonofilaments, increase of keratohyalin granules, discharge of membrane coating granules, and narrowing of intercellular spaces, thickening of plasma membrane and finally being transformed into horny cells of nail plate. Horny cells of nail plate filled with fibrous elements in the electron dense amorphous substance. These findings of keratinization process of fetal nail matrix appeared to be similar to those of keratinization in epidermis and inner root sheath of the hair. In the nail matrix, however, corresponding region to the keratogenous zone of growing hair follicle was not observed. Vacuolated squamous cells of nail matrix seen on light microscopy was considered to be artefactual product, but squamous cells with condensed small nuclei rarely found adjacent nail plate w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squamous cells with unknown function. Proximal end of nail plate was observed on dorsal surface of nail field distal to the proximal nail fold at 14 and 16 weeks old human embryos. Proximal prolongation of the proximal end of nail plate was occured with advancing fetal age and afterward 21 weeks nail plate invaded into nail matrix. Melanin granule containing cells and Merkel cells were present only on the basal layer of dorsal nail matirx.

  • PDF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CLASS II COMPOSITE RESIN RESTORATION USING ORTHODONTIC BANDS)

  • 박성동;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17
    • /
    • 2005
  • 소아, 청소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해 구치부 인접면 우식의 빈도가 높은 편이며, 그 수복 재료에 있어서 심미성이나 치질 삭제량 감소 등의 이유로 복합레진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구치부 인접면 수복에 있어서, 술자의 기호와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 매트릭스 밴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매트릭스 밴드는 인접면 변연의 적합성과 이에 의한 미세 누출의 감소,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 및 마무리와 연마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등 많은 임상적인 기능을 가진다. 본 증례에서는 복합레진과 교정용 밴드를 이용하여, 유치와 영구치 각각의 인접면 우식의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충전에 있어서 기존의 매트릭스 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1. 우수한 변연 적합성에 의해, 치아 외형의 재현이 용이 하였으며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도 우수하였다. 2 복합레진의 충전이나 중합에 있어서, 교정용 밴드의 견고성에 의해 수복물의 변형이 작다고 판단되었다. 3. 간격 유지 장치 등의 이유로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 소아치과 의사의 경우, 타과 전공 치과의사에 비해 비교적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하게 선택된 교정용 밴드는 위와 같은 장점들에 의해 수복 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 PDF

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무지외반증 Akin 절골술 (Fixation with Absorbable Suture Material in Akin Osteotomy)

  • 송무호;김부환;안성준;유성호;이두재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9-152
    • /
    • 2011
  • Purpose: The Akin osteotomy which is a closing wedge osteotomy of the proximal phalanx widely used for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has several methods of fixation. we tried to report the effects of the fixation using an absorbable suture material during the Akin osteotomy for the hallux valg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448 cases of 346 patients who were able for follow-up more than 12 months among the patients who had an Akin osteotomy together with the surgery of hallux valgus between March of 2006 and May of 2010. Absorbable suture material had been used in all cases. Radiologically displacement and union of osteotomy site were observed after the surgery, and clinically postoperative complication such as skin irritation, pain and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Radiologically all cases had showed complete union and no case had the loss of an correction due to loss of fixation. Also, any case had no skin irritation due to a knot. Three cases had a medial cortical breakage due to a strong knot, and the initial one case among them had additionally fixed the osteotomy site for four weeks using K-wire, and the remaining two cases had fixed a suture on an articular surface without any fixation of an additional wire. If a medial cortical bone was lost by carrying out an ostectomy due to proximal protrusion of proximal phalanx, three cases could show union through the fixation of suture on an articular surface.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fixation of the osteotomy site using an absorbable suture material in an Akin osteotomy was effective method and the advantage of this procedure was unnecessity of the material removal and no skin irritation.

Influence of the amount of tooth surface preparation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zirconia cantilever single-retainer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 Sillam, Charles-Ellie;Cetik, Sibel;Ha, Thai Hoang;Atash, Ram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4호
    • /
    • pp.286-290
    • /
    • 2018
  • PURPOSE. Conventional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RBFPDs) are usually made with a two-retainer design. Unlike conventional RBFPDs, cantilever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s (Cantilever RBFPDs) are, for their part, made with a single-retainer desig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tooth surface preparation on the bond strength of zirconia cantilever single-retainer RBFPDs. The objective i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se single-retainer RBFPDs bonded on 3 different amount of tooth surface prepa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extracted bovine incisors were categorized to 3 groups (n=10), with different amounts of tooth surface preparations. Teeth were restored with single-retainer RBFPDs with different retainer surfaces: large retainer of $32mm^2$; medium retainer of $22mm^2$; no retainer and only a proximal connecting box of $12mm^2$. All RBFPDs were made of zirconia and were bonded using an adhesive system without adhesive capacity. Shear forces were applied to these restorations until debonding. RESULTS. Mean shear bond strength values for the groups I, II, and II were $2.39{\pm}0.53MPa$, $3.13{\pm}0.69MPa$, and $5.40{\pm}0.96MPa$,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 one-way ANOVA test with Bonferroni post-hoc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01. Failure modes were observed and showed a 100% adhesive fracture.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paration of large tooth surface preparation might be irrelevant. For zirconia single-retainer RBFPD, only the preparation of a proximal connecting box seems to be a reliable and minimally invasive approach. The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영역기반 윤곽선 기법과 표면 분할 유동모델에 기반한 근위 등속 표면적 기법을 이용한 혈류량 추정 (Blood Flow Rate Estimation using Proximal Isovelocity Surface Area Technique Based on Region-Based Contour Scheme and Surface Subdivision Flow Model)

  • 진경찬;조진호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8권1호
    • /
    • pp.45-52
    • /
    • 2001
  • PISA 방법은 주로 승모판에서 역류하는 혈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PISA isotach의 기하학적 모양에 대한 모델링에 관한 것이다. PISA의 일반적인 유동모델은 isotach의 표면이 수식적으로 반구이거나 비반구임을 가정하여 계산된 것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영역기반방법으로 isotach를 추정한 후, 타원체의 높이에 기초한 실제적인 표면분할 유동모델을 이용하여 유체량을 추정하였다. 제안한 밥법을 평가하기 위해, $30cm^3/sec-60\;cm^3/sec$의 실제 유량을 가지는 동적인 180개의 유동영상에 대해서 기존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실험한 결과, 반구 유동모델의 유체량 평균이 $29\;cm^3/sec$로 실제 유체량 평균보다 35%정도 적게 추정을 하였고, 제안한 방법의 평균은 $45\;cm^3/sec$으로 비반구 유동모델의 평균과 같았고, 유체량 변화파형도 유사한 결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과 자엽의 기내 식물체 재분화와 배양 광조건 및 절편체 극성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in vitro Plant Regeneration of Apple Cotyledon and Light Condition, Polarity of Explant)

  • 안현주;예병우;임용표;신용억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23
    • /
    • 2000
  • 사과 자엽조직으로부터 기내에서 식물체를 재분화시키는 데에 있어서 배양 광조건 및 절편체 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사과‘Fuji’품종의 자엽을 재료로하여 광조건 및 광질을 달리하여 배양하였고, 또한 여러 가지 형태의 절편체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양환경조건 중 광조성에 따른 신초 재분화율을 본 결과 배양 초기 10일간 암배양한 후 명 배양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재분화율을 나타내었으며, 배양중기의 암처리는 효과가 없었다. 광질별로 비교할 때 전처리로 4일간 암배양한 후 청색광을 조사한 처리구에서 높은 신초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신초 재분화 유기와 절편체 극성과의 관계를 보면 모든 신초의 형성은 절제된 자엽의 기부 끝쪽에서만 이루어졌다. 즉, 기부쪽 절편체의 말단부 절단면에서보다는 기부쪽 절편체와 말단 절편체의 기부쪽 절단면에서 식물체의 재분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신초 유기는 배축의 기부쪽 자엽 절편체 에서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자엽의 말단부위에 가까운 곳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레이저 형광 원리를 이용한 우식 진단 기기의 구치부 인접면 우식 진단 능력 비교 (Comparison of Diagnostic Validity between Laser Fluorescence Devices in Proximal Caries)

  • 이창근;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26-43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형태의 레이저 형광원리를 이용한 우식 진단 기기(DD, DDpen)의 구치부 인접면 우식을 진단 하는 능력을 비교하고, 두 기기의 최적의 절단값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164개의 유구치 인접면과 438개의 영구치 구치부 인접면이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각 치면은 순서대로 두 가지 기기를 통한 검사를 시행하였고, 두 기기를 비교할 기준으로서 교익 방사선 사진 촬영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사진 촬영 결과는 우식의 깊이에 따라 유치열 3개의 군($pR_0$, $pR_1$, $pR_2$), 영구치열 4개의 군($PR_0$, $PR_1$, $PR_2$, $PR_3$)으로 분류하였다. 유치열에서 법랑질 우식과 상아질 우식의 AUC 값은 DD가 각각 0.851과 0.890으로 나타났고, DDpen은 각각 0.883과 0.917로 나타났다. 영구치열에서 법랑질 우식과 상아질 우식의 AUC 값은 DD가 각각 0.762과 0.886으로 나타났고, DDpen은 각각 0.828과 0.958로 나타났다.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 구치부 인접면 우식을 검사하는 데에는 DDpen이 DD보다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유치열에 대해서는 DD도 인접면 우식 검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