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l fracture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인에 대한 새로운 관절주위 잠김금속판의 해부학적 적합성: 사체를 이용한 연구 (Anatomic Conformity of New Periarticular Locking Plates for Koreans: A Biomechanical Cadaveric Study)

  • 윤용철;오종건;김영우;김학준;문홍주;김남렬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6권3호
    • /
    • pp.163-16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natomic conformity of the new periarticular locking plates designed by Zimmer on Korean adult bones and to identify the structures at risk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se implants.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humerus, radius, and tibia of 10 adult cadavers(6 males and 4 females) procured from the cadaveric lab of our hospital. Anteroposterior (AP) and lateral X-rays were taken to confirm that the cadavers were free of any unusual lesions or anatomic variations. We used the 3.5-mm proximal humerus plate, 2.7-mm distal radius plate, 3.5- and 5.0-mm proximal tibia plates, and 3.5-mm distal tibia plate developed by Zimmer, Inc. (Zimmer periarticular locking plate). The longest plate from each group was used to confirm anatomical conformity. Standard approaches were used for each area, and soft tissue was retracted in order to pass the plate beneath the muscle. The position of the plate was confirmed using standard AP and lateral view X-rays. After this procedure had been completed, the region was dissected along the length of the implant to determine the conformity of the implant to bone and the penetrations of screws into the articular surface or violations of any vital structures, such as nerves, blood vessels, or tendons. Results: Excellent anatomical conformity was observed with Zimmer periarticular locking plates for Korean adults. The tibial nerve and the posterior tibial artery were found to be structures at risk when applying a distal tibial plate. Conclusion: Additional posterolateral fixation is recommended when dealing with cases of tibial plateau fracture when the fracture line extends to the posterolateral cortex. We recommend taking proper views using 10~15 degrees of internal rotation to ensure correct screw length and, thus, avoid penetration of vital structures and tendons.

근위 상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삼각근 분할 도달법과 삼각 대흉간 도달법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 비교 (Comparison Study of Different Approach (Deltoid Splitting Approach and Delto-pectoral Interval Approach)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s)

  • 김승희;단진명;김병국;이윤석;김형종;류근정;이진현;김재화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1호
    • /
    • pp.17-26
    • /
    • 2013
  • 목적: 삼각근 분할 도달법 또는 삼각 대흉간 도달법을 이용하여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 술을 실시한 근위 상완골 골절의 환자에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위 상완골 불안정성 골절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골절의 정복 및 고정술을 실시한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38.2주의 추시를 하였으며 각 군에서 수술 후 상완골의 경간각의 변화를 방사선학적 결과로 측정하고, 기능적 결과로 KSS 및 Constant score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도달법에 따른 방사선학적 결과에서 상완골 경간각의 차이는 삼각근 분할 도달법에서 평균 12.04도와 삼각 대흉간 도달법에서 평균 10.20도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능적 결과에서 KSS의 차이와 Constant score의 차이는 삼각근 분할 도달법이 22.74점 및 13.78점으로 삼각 대흉간 도달법의 31.13점과 19.41점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불안정한 근위 상완골 골절의 치료에서 삼각근 분할 도달법을 통한 골절의 정복과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한 고정술이 기능적인 결과의 회복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전이성 골종양의 병적 골절의 수술적 치료: 종양대치 인공관절 치환술과 골절 고정술의 치료 성적 비교 (Surgical Treat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Skeletal Metastatic Lesion of the Proximal Femur: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for Prosthetic Joint Replacement and Osteosynthetic Fixation)

  • 신덕섭;김의식;곽해준;고영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4-50
    • /
    • 2011
  • 목적: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전이성 골종양의 병적 골절 혹은 임박 골절의 수술적 치료방법 중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대치 인공관절 치환술과 골절의 정복 후 골수강정을 이용한 고정술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5월에서 2009년 5월까지 근위 대퇴골 전이성 골종양으로 인한 임박골절 및 병적골절로 본원에서 수술한 37명(38예))을 종양대치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군(1군; 22명)과 골유합 고정술을 시행한 군(2군; 15명, 16예)으로 나누었다. 평균 연령은 1군은 59세, 2군은 60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수술 후 1군은 23개월, 2군은 11개월이었다. 두 수술군의 치료성적은 종양학적 성적과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scoring system, 1993의 기능적 평가방법, Kaplan-Meier 생존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Log rank test, T-te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생존기간은 1군은 24개월(3-110개월), 2군은 11개월(1-33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1군은 86% (19/22명), 2군은 50% (8/16명), 2년 생존율은 1군은 30% (5/22명), 2군은 9% (1/16명)였다. MSTS scoring system, 1993의 기능적 평가방법을 이용한 종합적인 성적에서 1군은 평균 26점(19-30점), 88%, 2군은 평균 15점(10-23점), 51%로 평가되었다. 결론: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전이성 골종양의 치료 방법 중 선택된 환자에서 실시한 광범위 절제술 후 종양대치 인공관절 치환술은 골절 고정술 보다 종양학적 성적 및 기능적 성적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중기 추시 결과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Intermediate-term Follow Up in $MUTARS^{(R)}$ Tumor Endoprostheses)

  • 강동준;김정일;오종석;문태용;이인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3
    • /
    • 2011
  • 목적: 사지의 악성 골 종양에서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중기 추시에서 합병증 발생과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받은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9.2세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39.8개월이었다. 후향적으로 최종 추시에서 합병증을 분석하고 Enneking 기능 점수와 ISOLS 방사선학적 대치물 평가 체계를 이용하여 기능적,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3명이 사망하였고 4명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1명이 국소 재발하였다. 12명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창상 및 심부감염 6명, 하지 부동 2명, 방사선학적 이완 2명, 대퇴골 골절이 1명, 나사못의 이완이 1명이었다. 최종 추시 시 기능적 분류 척도의 평균 점수는 근위 대퇴골에서 81.2%, 원위 대퇴골에서 77.4%, 근위 경골에서 78.1%, 근위 상완골에서 80.2%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기능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방법이지만 감염 등의 합병증에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Locking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Midshaft Clavicle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 정남식;홍기도;하성식;박성준;강정호;심재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68
    • /
    • 2006
  • 목적: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정복술 후 LCP를 사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LCP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금속내 고정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최종 평가는 방사선 결과와 fang s criteria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9.3주에 모든 예에서 지연유합 없이 골유합 되었으며 임상적으로 Kangs criteria에 따라 구분한 결과, 우수 이 상이 22례로 나타났다. 특히, 견관절 운동은 상완골 골절이 동반된 두 경우를 제외한 24례에서 2.9주내에 정상 범위로 빠른 회복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견관절 운동 장애 2례, 수술 절개 부위의 켈로이드 형성 1례였으며 그 이외에 다른 주요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서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금속내 고정술은 기존의 금속판에 비해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효과적인 골유합과 조기 견관절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 중 하나라고 사료된다.

  • PDF

다양한 형태의 생 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경골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ibial Defects in Lower Extremity With Various Versions of Vascularized Fibula Transfer)

  • 남상현;김범진;고성훈;정윤규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5권1호
    • /
    • pp.17-25
    • /
    • 2006
  • Twelve cases in eleven patients with segmental bone defects were treated with contralateral fibula free flap and ipsilateral island fibula flap in an antegrade, retrograde or bidirectional flow fashion. Five cases were managed with free flaps and seven were with ipsilateral fibula island transfer. Among seven cases, antegrade fashion was three, retrograde was three, and bidirectional was one. All patients were related with open tibial fractures and its sequelae except one who had open foot bone fracture. According to Gustilo's classification, ten patients were type IIIb and one was type IIIc. Basically, antegrade-flow flaps based on the peroneal vessels as in the conventional free flap were used for the proximal or middle one-third tibial defects. On the contrary, retrograde-flow flaps based on the communicating branch between the peroneal and posterior tibial vessels were used for the middle or distal one-third of the tibia. Bidirection-flow flap based on intact peroneal vessels were used for the middle portion of the tibia. The patients who have undergone ipsilateral fibula island flap had one of the following problems: a previously failed free flap, below-knee amputation of the opposite leg because of open tibial fracture, refusal to use the contralateral sound leg, or poor general condition to stand a lengthy operation. Six of the patients who have got ipsilateral fibula island flap also had an associated fibula fracture on the same leg, which was ultimately used as one of the osteotomy sites. The follow-up period was from 1 to 10 years. Two cases of free flap were failed: one patient had below-knee amputation and the other patient had ipsilateral fibula transfer. Other cases were successful and excellent hypertophy of the transferred fibula was achieved. Time to bone union ranged from 4 to 11 months. Time to full weight bearing was from 5 to 13 months after surgery. All of the transferred fibulas showed hypertrophy after weight bearing. In one case, stress fracture was developed during ambulation, which was healed conservatively. Nonunion occurred in two cases, which were treated with a long leg cast and cancellous bone graft, respectively. Length discrepancy of the legs was noted. The limb was shorter by an average 0.5 cm in three cases, longer by 1.1 cm in one case. In the case of island fibula transfer, limited arc of rotation was not a problem. Other disabling complications were not seen. We believe that these diverse modalities using a vascularized fibula will make us more comfortable to handle major bone defects.

  • PDF

오픈소스 기반 수술항법장치의 하지 골절수술 응용검토 (Open Source-Based Surgical Navigation for Fracture Reduction of Lower Limb)

  • 정상현;박재영;박철우;오창욱;박일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5호
    • /
    • pp.497-503
    • /
    • 2014
  • 골절 치료에서 최소 침습 수술 방법은 그 효용성이 입증 되었지만, 의료진이 골편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투시영상장치(C-armed fluoroscopy)에 의존하여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최소침습 수술은 환자에게는 감염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료진에게는 과도한 방사선 피폭과 부정확한 골절정복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술 항법장치와 수술 지원로봇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골편의 3D CT 모델을 실제 골편과 특징점을 이용해서 정합하는 오픈 소스 기반으로 구성된 수술 항법 장치와 2D 투시 영상에서 골편간의 회전 변위를 정상측 투시 영상과 비교하여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모델 뼈를 이용한 실험으로 제안한 방법의 임상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D CT-기반 수술 항법 장치의 모델 뼈와 영상정합 정확도는 약 2mm 로 정형외과 수술에서 요구되는 사양을 만족했으며, 2D 투시 영상에서는 ${\pm}15^{\circ}$범위의 골편간의 회전에서 $2.5^{\circ}$이하의 변별력을 나타내었다.

OPTIMAL PRESSABLE CERAMIC 금관의 변연형태에 따른 변연적합도와 파절강도에 관한 연구 (Marginal Fidelity and Fracture Strength of OPTIMAL PRESSABLE CERAMIC Crown according to Margin Types)

  • 이주석;김기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1호
    • /
    • pp.13-25
    • /
    • 2000
  • Optimal Pressable Ceramic is one of the all-ceramic restorations with a shaded translucent pressed core and layering porcel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fidelity according to margin types and measurement sites, and to evaluate fracture strength according to margin types. Twenty seven OPC crowns made according to 3 types of cervical finishing lines were used in this study. Marginal ga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ementation. A Steromicroscope(SZ-ST(R), Olympus, Japan) was used to measure the space between the margin of OPC crown and the finishing line of metal model. Marginal gaps were measured at the labial, mesial, lingual and distal site, which were demonstrated in advance. Fracture strength testing was carried out using an Instron(Model M100EC, Mecmesin, England) at a cross head speed of 5 mm/min. All crowns were loaded until catastrophic failures occurred. The result were as follow: 1. In comparison according to variable margin before cementation, the marginal gap were increased in chamfer margin($47.50{\pm}18.39{\mu}m$), $120^{\circ}$shoulder margin ($55.21{\pm}14.4{\mu}m$) and $90^{\circ}$shoulder margin($71.18{\pm}13.30{\mu}m$) in ascending ord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amfer margin and $90^{\circ}$shoulder margin, $120^{\circ}$shoulder margin and between $120^{\circ}$shoulder margin and $90^{\circ}$shoulder margin respectively(p<0.05). 2. In comparison according to variable margin after cementation, the gap discrepancies were increased in chamfer margin($60.78{\pm}30.37{\mu}m$), $120^{\circ}$shoulder margin($66.67{\pm}11.18{\mu}m$) and $90^{\circ}$shoulder margin($85.78{\pm}17.23{\mu}m$) in ascending orde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chamfer margin and $90^{\circ}$shoulder margin(p<0.05). 3. Labio-lingual points showed a better marginal fidelity than that of proximal point(p<0.05). 4. Chamfer margin($48.76{\pm}8.45kgf$) showed higher fracture strength than $120^{\circ}$ shoulder margin($40.57{\pm}7.90kgf$) and $90^{\circ}$ shoulder margin(32.7.90kgf) (p<0.05),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chamfer margin and $90^{\circ}$ shoulder margin(p<0.05).

  • PDF

원위 쇄골 불유합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 Nonunion)

  • 강호정;윤항섭;한수봉;김성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20-226
    • /
    • 2007
  • 목적: 원위 쇄골 골절은 근위부나 중간부 쇄골 골절과는 다른 생역학적 구조를 가져서 지연유합과 불유합이 많이 발생한다. 원위 쇄골 불유합 치료에 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원위 쇄골 골절 불유합에 대한 관혈적 정복 및 골이식의 수술적 치료 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8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원위 쇄골 불유합으로 수술 치료받은 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8.9($21{\sim}62$세)세였고, 지배 수지 6예였다. 수상 초기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이 4예, 보존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이 4예였고, 불유합 기간은 수상 후 평균 1년 5개월이었다. 전 예에서 자가장골 이식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내고정물은 금속판이 7예, 긴장대 강선 고정술이 1예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이었고, 방사선학적 골유합은 전 예에서 평균 8주에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추시상 견관절의 운동범위는 모두 정상 소견이었고, Kona 등의 평가표에 의한 기능적 평가에서 7예에서 우수한 결과를, 1예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원위 쇄골 골절 불유합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조기 재활이 가능하고 견고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추천할 만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하악 제3대구치 발치 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악하선과 설신경 손상: 증례보고 (Injury of submandibular gland and lingual nerve as complication third molar tooth extraction in mandible : a case report)

  • 임재성;윤현중;이상화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2호
    • /
    • pp.137-141
    • /
    • 2011
  • The extraction of an impacted third molar tooth is associated with many complications during the procedure and postoperative care. These complications include bleeding, swelling, pain, infection, as well as root fracture, proximal tooth injury, alveolar bone fracture, lingual nerve and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etc. With the exception of a fractured root dislocation in the submandibular space, no direct submandibular gland injury related to extraction surgery has been reported until now. A 40 year old man visited the department of oromaxillofacial surgery at Yeouido St. Mary's Hospital for an extraction of the right mandible third molar. A partial third molar impaction was diagnosed by a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A surgical tooth extraction was practiced including buccal cortical bone osteotomy. During socket curettage, an encapsulated cyst-like lesion and a verified $3{\times}3\;cm$ neoplasm in the apically lingual direction were found during process of dissection. A biopsy confirmed that the neoplasm involved the submandibular gland and nerve trunk. This unusual anatomical organ injury during the surgical tooth extraction procedure is reported as a new complication during impacted third molar ext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