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col Design and Verificatio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초

Verification of failover effects from distributed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networks in digitalized nuclear power plants

  • Min, Moon-Gi;Lee, Jae-Ki;Lee, Kwang-Hyun;Lee, Dongil;Lim, Hee-Tae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989-995
    • /
    • 2017
  • 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 communication networks, which use Fast Ethernet with redundant networks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have been installed in digitalized nuclear power plants. Normally, failover test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redundant networks during design and manufacturing phases; however, systematic integrity tests of DCS networks cannot be fully performed during these phases because all relevant equipment is not installed completely during these two phases. In additions, practical verification tests are insufficient, and there is a need to test the actual failover function of DCS redundant networks in the targ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the failover functions works correctly in certain abnormal conditions during installation and commissioning phase and identify the influence of network failover on the entire DCS. To quantify the effects of network failover in the DCS, the packets (Protocol Data Units) must be collected and resource usage of the system has to be monitored and analyzed. This study introduces the use of a new methodology for verification of DCS network failover during the installation and commissioning pha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sight into verification methodology and the failover effects from DCS redundant networks. It also provides test results of network performance from DCS network failover in digitalized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NPPs).

Attack and Correction: How to Design a Secure and Efficient Mix Network

  • Peng, Ku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8권1호
    • /
    • pp.175-190
    • /
    • 2012
  • Shuffling is an effective method to build a publicly verifiable mix network to implement verifiable anonymous channels that can be used for important cryptographic applications like electronic voting and electronic cash. One shuffling scheme by Groth is claimed to be secure and efficient. However, its soundness has not been formally proven. An attack against the soundness of this shuffling scheme is presented in this paper. Such an attack compromises the soundness of the mix network based on it. Two new shuffling protocols are designed on the basis of Groth's shuffling and batch verification techniques. The first new protocol is not completely sound, but is formally analyzed in regards to soundness, so it can be applied to build a mix network with formally proven soundness. The second new protocol is completely sound, so is more convenient to apply. Formal analysis in this paper guarantees that both new shuffling protocols can be employed to build mix networks with formally provable soundness. Both protocols prevent the attack against soundness in Groth's scheme. Both new shuffling protocols are very efficient as batch-verification-based efficiency-improving mechanisms have been adopted. The second protocol is even simpler and more elegant than the first one as it is based on a novel batch cryptographic technique.

공개정보를 이용한 메시지 보안 시스템의 인증 프로토콜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Applied Public Information 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in the Message Security System)

  • 김영수;신승중;최흥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43-54
    • /
    • 2003
  • 전자상거래는 개인과 개인, 기업과 기업, 개인과 기업 상호간에 메시지의 교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전자상거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메시지 인증으로서, 이는 거래당사자들이 수신된 메시지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메시지의 진정성은 위조불가, 부인불가, 변경불가, 출처인증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개키 암호화를 통해 수행 할 수 있다. X.400 메시지처리 시스템과 공개키 암호화에 기반을 두고 있는 PGP가 메시지 교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개키 암호화와 X.400 프로토콜 그리고 PGP상에 존재하는 메시지 인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NMAP로 명명된 공개정보 기반 암호화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 구현하였다. 구현된 메시지 인증 프로토콜의 검증을 위해 퍼지적분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와 비대화형 인증 서비스 제공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암호프로토콜 논리성 자동 검증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emi-Automated Formal Verification of Cryptographic Protocols)

  • 권태경;양숙현;김승주;임선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5-12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암호프로토콜의 논리성 검증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인 SVO 로직을 바탕으로 한 자동 검증 방법과 실험에 대해서 다룬다. 먼저 기존 SVO 로직 자동 검증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자동 검증을 고려한 ASVO 로직을 설계하고 검증하였으며, Isabelle/Isar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잘 알려진 NSSK 프로토콜 중심으로 추론 구성 사례를 소개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이미 Denning-Sacco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NSSK 프로토콜의 문제점들을 ASVO 로직의 자동화 검증을 통해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ASVO 로직의 자동화 검증을 통해서 발견된 취약점들을 개선한 NSSK7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수중 데이터 통신을 위한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 설계 (MAC Protocol Design for Underwater Data Communication)

  • 여진기;임용곤;이홍호;이승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619-2621
    • /
    • 2001
  • This study proposes a new efficient MAC(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to establish the ultrasonic communication network for under water vehicles, which ensures a certain level of maximum throughput regardless of the propagation delay of ultrasonic and allows fast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multiple ultrasonic communication channel. In this study, a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that allows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a surface ship and multiple underwater system is designed, and the proposed control protocol is implementde for its verification.

  • PDF

시뮬레이션 기반 네트워크 보안 취약점 분석 및 검증 방안 (A Simulation-based Analysis and Verification Method for Network Vulnerability)

  • 이현진;김광희;이행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659-666
    • /
    • 2019
  • MANET은 이동 노드들로 망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에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중앙의 제어나 관리 없이 분산 환경으로 망을 구성하여 사이버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MANET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방안을 적용하여 MANET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라우팅 메시지 변조 공격, 거짓 노드 공격, TLV 메시지 변조 공격에 대하여 모의하고, 실 시스템에서도 유사한 취약점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안은 사이버 공격자에 의해 발생 가능한 보안 취약점을 통신망 기술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함으로써 통신 기술 설계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근원지 및 도착지 은닉(제1부) : 프로토콜 설계 (Concealing Communication Source and Destin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Part I) : Protocol Design)

  • 차영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19-226
    • /
    • 2013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 전역 도청에 대응하는 통신 근원지와 도착치의 위치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속임수용 더미 패킷들이 지속적으로 발행된다. 근원지나 도착지를 포함하는 특정 크기의 보호구역들을 설정한 후, 이 안의 노들들에 대해서만 데이터전송 중에 더미 패킷들을 생성하도록 제한하여 근원지와 도착지의 위치기밀성을 제공하면서도 패킷발생량을 줄이는 접근방안을 고려한다. 제안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형식화한 상세한 프로토콜 명세서를 제시한 후, 주요 특성과 정확성을 검증한다.

저작권자의 주권 강화를 위한 DID 기반 검증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DID-based Verification Protocol for Strengthening Copyright Holders' Sovereignty)

  • 김호윤;신승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47-58
    • /
    • 2022
  • 디지털 콘텐츠는 그 특성상 원본과 복제본의 구분이 어렵다. 이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 원본에 대한 증빙과 희소성을 보장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NFT 구매자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가지는 것이 아닌 소유권을 가지는 것이다. 특히 NFT를 발행하는 민팅(Minting) 과정은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에 저작권자에 대한 저작권 위협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작권자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해 NFT를 발행하고 거래하는 과정을 DID에 기반 한 검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연구 사례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안전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NFT 발행은 DID를 통해 신원인증이 완료된 저작권자만이 발행할 수 있고 사용자 또한 인증이 완료된 자만 거래에 참여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무분별한 도용, 이용을 방지하고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원전 안전통신망을 위한 TDMA 기반의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TDMA-Based Protocol for Safety Networks in Nuclear Power Plants)

  • 김동훈;박성우;김정헌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5권7호
    • /
    • pp.303-312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the architecture and protocol of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safet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First, we establish four design criteria with respect to determinability, reliability, separation and isolation, and verification/validation. Next we construct the architecture of the safety network for the following systems: PPS (Plant Protection System), ESF-CCS (Engineered Safety Features-Component Control System) and CPCS (Core Protection Calculator System). The safety network consists of 12 sub-networks and takes the form of a hierarchical star. Among 163 communication nodes are about 1600 origin-destination (OD) pairs created on their traffic demands. The OD pairs are allowed to exchange data only during the pre-assigned time slots. Finally,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factors for the safety network. The design factors include a network topology of star, fiber-optic transmission media, synchronous data transfer mode, point-to-point link configuration, and a periodic transmission schedule etc. The resulting protocol is the modification of IEEE 802.15.4 (LR-WPAN) MAC combined with IEEE 802.3 (Fast Ethernet) PHY. The MAC layer of IEEE 802.15.4 is simplified by eliminating some unnecessary (unctions. Most importantly, the optional TDMA-like scheme called the guaranteed time slot (GTS) is changed to be mandatory to guarantee the periodic data transfer. The proposed protocol is formally specified using the SDL. By performing simulations and validations using Telelogic Tau SDL Suite, we find that the proposed safety protocol fits well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safet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안전한 QR-Login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의 설계 및 중요 정보의 안전성 보증을 위한 방법 (A Design Secure QR-Login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and Assurance Methods for the Safety of Critical Data Using Smart Device)

  • 이재식;유한나;조창현;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49-964
    • /
    • 2012
  • 최근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 등으로 사용자 PC가 위협받고 있다. 특히, 제로데이 공격 등 알려지지 않은 공격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어, 사용자 PC는 더 이상 안전하다고 확신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었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PC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존의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경우, 인증 정보의 도난 및 중간자 공격 등 다양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 해킹등과 같은 공격을 당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PC가 감염되었는지 인지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QR-Code와 통신기능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안전한 QR-Login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인터넷 서비스 이용 시 중요정보의 안전성 보증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알려지지 않은 공격으로부터 PC가 위협받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중요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금융거래와 같은 민감한 거래 시에도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