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uria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9초

단백뇨를 동반한 IgA 신병증 및 HSP 신염을 가진 소아에서 메틸프레드니솔론 충격요법과 경구 스테로이드 요법의 비교 (Comparison of the Therapeutic Efficacy of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and Oral Steroid Therapy in Children with IgA Nephropathy and HSP Nephritis Combined with Proteinuria)

  • 안지영;문정은;황영주;최봉석;고철우;조민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1호
    • /
    • pp.24-2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단백뇨를 동반한 IgA 신병증과 HSP신염을 가진 소아환자에서 메틸프레드니솔론 충격요법의 단백뇨 감소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신장조직검사를 통해 IgA 신병증 및 HSP 신염으로 진단받은 21명의 환자의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총 21명 중 15명 은 IgA 신병증으로, 6명은 HSP 신염으로 진단되었으며 이들 모두 진단 당시 혹은 경과 관찰 중 경도 이상의 단백뇨를 동반하였다. 이들 중 7명(IgA 신병증 5명, HSP 신염 2명; Group 1)에 대해서는 2개월 간격으로 모두 3회의 메틸프레드니솔론 충격요법이 시행되었으며 나머지 14명(IgA 신병 증 10명, HSP 신염 4명; Group 2)에 대해서는 경구 스테로이드요법이 시행되었다. 결과: Group 1의 평균 진단 당시 연령과 조직검사 당시 연령은 Group 2에 비해 어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내원 당시 두 군의 모든 환자는 혈뇨를 동반하였으며 Group 1의 5명(71.4%)과 Group 2의 14명 (100%)은 단백뇨를 동반하였다. 수축기 평균 혈압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는 두 군의 모든 환자에서 사용되었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단백뇨가 소실된 환자는 Group 1이 7명(100%), Group 2이 10명(71.4%)이었고 일회 소변 단백/크레아티닌의 비가 각각 0.12 (0.06-0.26) mg/mg, 0.30 (0.09-0.79) mg/mg으로 Group 1의 단백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결론: 단백뇨를 동반한 IgA 신병증 및 HSP 신염 환자에서 경구 스테로이드요법에 비해 메틸프레드니솔론 충격요법의 단백뇨 감소 효과가 더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전향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소아 IgA 신병증의 예후와 관련한 임상병리학적 고찰 (A Clinicopathologipal Study on the Prognosis of IgA Nephropathy in Children)

  • 권재훈;최은나;박지민;정현주;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23-29
    • /
    • 2003
  • 목적 : IgA 신병증으로 진단된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의 예후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조직생검을 통해 확진된 IgA 신병증 환아의 임상경과를 관찰함으로써 소아들에서 장기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부터 2000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신생검을 시행하여 병리 소견상 IgA 신병증으로 확진된 15세 이하의 57명 환아에서 후향적 방법으로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들은 조직 생검 당시 혈뇨나 무증후성 단백뇨($<40\;mg/m^2/day$)를 보였으며 정상 신기능 및 혈압을 유지하였다. 진단 당시의 임상검사소견, 병리소견 등을 바탕으로 IgA 신병증의 합병증인 심한 단백뇨(${\ge}40\;mg/m^2/day$), 약물복용을 요하는 고혈압. 만성 신부전 등의 발생에 대해 관찰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들의 진단 시 평균 연령은 4세에서 15세까지 $9.5{\pm}2.8$세였으며 42명(74%)이 남자였다. 단독 육안적 혈뇨는 20명(35%), 단독 현미경적 혈뇨는 3명(5%)이며 단독 단백뇨는 15(26%)이었다. 육안적 혈뇨와 단백뇨를 같이 동반한 경우는 15명(26%)이며 현미경적 혈뇨와 단백뇨는 15명(26%)에서 보였다. $7.0{\pm}3.5$년의 평균추적 관찰 기간동안 전체 57명의 환아 중 단백뇨 및 혈뇨가 완전히 소실된 경우는 38명(67%)이었고 진단 당시처럼 혈뇨나 단백뇨가 지속되나 IgA 신병증의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12명(21%)이었다. 반면, 단지 7명(12%)의 환아에게서 IgA 신병증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이 중에서 신증후군 정도의 단백뇨는 4명(7%), 약물복용을 요하는 고혈압은 1명(2%)이었고 2명(4%)의 환아는 말기 신부전으로 이행하였다. 발병 연령을10세 전후로 나누었을 때(P<0.01)와 Lee와 Haas의 병리조직학적인 분류(P<0.05)는 IgA 신병증의 합병증 발생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 반면, 진단당시 증상이나 성별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57명 중 7명의 환아에서 평균 $3.4{\pm}3.5$년후에 신조직검사를 재실시하였다. 이 중 3명의 환아는 처음 class와 같았으며, 1명의 환아는 class III에서 class IV로 진행된 반면, 3명의 환아는 class IV에서 각각 class I, class II 및 class III로 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소아의 IgA 신병증은 더 이른 시기에 진단 받았을 때 합병증의 발생 및 궁극적인 신부전으로의 이행이 적게 나타났다. 또한 추적 신조직 검사상 조직의 변화소견을 볼 때, 소아 IgA 신병증이 성인에서의 것보다 더 좋은 예후를 보이는 근거가 될 수 있다.

  • PDF

소아 Henoch-$Sch{\ddot{o}}nlein$ 신염의 추적 관찰 (Henoch-$Sch{\ddot{o}}nlein$ Nephritis in Children)

  • 장희숙;홍인희;고철우;구자훈;곽정식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2호
    • /
    • pp.120-126
    • /
    • 2000
  • 목 적 : Henoch-$Sch{\ddot{o}}nlein$ 신염은 소아 말기 신부전증의 중요한 원인 질환이며 발병시 심한 단백뇨를 보이거나 신증후군의 소견을 나타낼 때 및 고혈압, 질소혈증 등을 동반한 급성 신장염의 소견을 보일 때는 예후가 나쁘며 또한 신생검 소견상 병변이 심할수록 경과가 나쁘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예후 결정 인자로서 충분치 못하며 HS 신염 환아들은 장기 추적 관찰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10여년간 HS신염으로 입원하여 신생검을 받은 환아 59예를 대상으로 발병시의 임상 양상 및 신생검 소견에 따른 환아들의 임상 경과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후향적 조사 방법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 환아는 1987년부터 1999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HS신염으로 진단되어 신생검을 받은 환아 5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생검의 기준은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심한 단백뇨 (1일 1 g/m2 이상의 뇨단백배설), 신증후군 (심한 단백뇨 및 혈청알부민 2.5 g/dl 이하) 및 1년 이상 지속되는 혈뇨 또는 단백뇨를 동반한 혈뇨로 하였다. 환아는 임상양상에 따라 단독 혈뇨군, 단백뇨를 동반한 혈뇨군 및 심한 단백뇨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신생검 소견은 International Study of Kidney Disease in Children (ISKDC)의 분류에 따라 grade I-V로 분류하였다. 59예중 49예가 1-2년간 추적 관찰되었으며 30예는 3-4년 이상 추적 관찰되었다. 추적 관찰 기간 중 정규적인 뇨검사, BUN, creatinine 등의 혈청검사 및 Ccr또는 DTPA scan을 이용한 GFR을 측정하여 신기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의 연령 분포는 6-10세가 32예 (54.2$\%$)로 가장 많았으며 남아 33예 여아 26예로 남아가 다소 많았다. ISKDC 분류에 따른 조직 소견은 Grade I 이 2예, Grade II 44예, Grade III이 13예였으며 Grade IV, V는 한 예도 없었다. 고혈압, BUN 및 creatinine의 증가 및 Ccr이 감소된 경우는 없었으며 발병 초기에 심한 단백뇨를 보인 경우는 모두 25예였으며 이들은 Grade II 44예 중 19예 (43$\%$), Grade III 13예 중 6예 (46$\%$)로서 Grade II, III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아들의 임상 경과는 1-2년 추적 관찰된 49예중 정상뇨 소견 15예 (30.6$\%$), 현미경적 혈뇨 20예 (40.8$\%$) 중등도 이하의 단백뇨를 동반한 혈뇨 11예 (22.5$\%$) 였으며 심한 단백뇨가 지속된 경우는 3예 (6.1$\%$)였다. 3-4년 이상 추적 관찰된 30예에서는 각각 18예 (60.0$\%$), 2예 (6.7$\%$), 8예 (26.6$\%$) 및 2예 (6.7$\%$) 였다. ISKDC 분류의 Grad에 따른 임상 경과는 Grade II에서 뇨검사 소견의 호전율이 낮았으며, 지속적인 단백뇨 소견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p<0.05). 초기 임상 양상에 따른 임상 경과는 추적 관찰 기간 중 뇨검사 소견의 정상화와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심한 단백뇨군에서는 3-4년 이상 추적 관찰된 10예 중 2예에서 지속적인 심한 단백뇨를 보였다. 결 론 : ISKDC 분류에서 Grade I, II, III의 HS신염 환아의 예후는 대다수에서 3-4년 이내에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고 발병시 심한 단백뇨를 보인 환아에서만 추적관찰기간중 지속적인 심한 단백뇨를 보여주어 발병시 심한 단백뇨가 환아의 임상 경과와 유관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iveness of Cyclosporine in a 10-year-old Girl with C3 Glomerulopathy

  • Jang, Kyung Mi;Park, Yong Ho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60-164
    • /
    • 2017
  • C3 glomerulopathy (C3G) is a recently defined pathological entity characterized by C3 accumulation with absent or scant immunoglobulin deposition, leading to variable glomerular inflammation.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patients with C3G is highly variable, as they may present with symptoms ranging from microscopic or mild proteinuria to full-blown nephrotic syndrome, with or without renal impairment.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recommendation for specific treatment in children with C3G. Recently, new therapies have been suggested to target complement pathways, owing to an improv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C3G. C3G complement blockade with eculizumab, a monoclonal antibody targeted against complement C5, inhibits activation of the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We could not use eculizumab owing to its high price; thus, we administered oral prednisolone and mycophenolate mofetil (MMF). MMF was replaced with cyclosporine because proteinuria persisted, with a consistently low serum C3 level; we tapered off the prednisolone because of a Cushingoid appearance and amenorrhea. Thereafter, proteinuria improved, and the serum C3 level returned to normal. Thus, we report the effectiveness of cyclosporine in a patient with C3G and an inadequate response to prednisolone and MMF, who was detected via school urinary screening.

UBC 검사의 이상결과에 대한 연구 (Study UBC Inspection of the Over Result)

  • 박준모;유혜정;김한철;한걸순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101-106
    • /
    • 2013
  • Purpose: As UBC IRMA is being tested, patients out of the reference value are reacting within the value again a few days later the urine collection tested, which cause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 decrease as a result. In this study, we can assume that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factors would affect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hematuria and proteinuria in the sample as well as the interval time (3 hours or more recommended) have affected the results. As a result, we could discover the changes in factors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Materials and Methods: 468 people (female: 249, male: 219) who came for the check-up were presented herein for medical examination from 2013.3.15 to 2013.1.2. Some people out of 468 who have reacted onto the reference value were divided into group low titer zone, ow-middle titer zone, and middle-high titer zone and tested for hematuria and proteinuria. During that period, 48 outpatients were asked to fill in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urination interval time. The reagents used were (IDL Biotech AB, Sweden) and UBC IRMA. Results: Of the patients that are formed in the reference value of ($0.1-34.0{\mu}g/L$) turn out to be 52.7 years average age in their low concentration, ($mean{\pm}SD$) of the value of $0.10{\pm}0.02{\mu}g/L$. Among 80 people (50.8%, female: 49.2%), 16 patients (20%) have shown reaction to microscopic hematuria and 10 patients (12.5%) responded to proteinuria. In the average low concentration under 52.5 years of average age, 43 people (53%) have shown reaction to microscopic hematuria and 21 people (26.3%) are proteinuric patients out of 80 patients (male: 50.8%, female: 51.3%). In the middle high concentration of $11.8{\pm}4.82{\mu}g/L$ under the average age 51.7 years, 35 patients (53%) have responded to the microscopic hematuria and proteinuric patients are 26 people (39.3%) out of 66 people (men: 44%, women: 56%). In addition, in the concentration of $51.7{\pm}43.5{\mu}g/L$, some patients who get out of the reference value are observed as the average age of 52.0. 11 patients (78.6%) out of 14 (male: 35.7%, female: 64.3%) react to the microscopic hematuria. There show 6 people (42.8%) who turn out to be as proteinuric patients. As for the interval time, $1.67{\pm}3.71{\mu}g/L$ was the average value among 48 patients (female: 45.8%, male: 54.2%). Conclusion: We cannot see if proteinuria and hematuria directly affect abnormal results of inspection of 8,18 cytokeratin; however, we can find out that they statistically have an influence on highly generating UBC among several mechanisms. Also, although urination interval time was various every 15 minutes, we it does not affect these results.

  • PDF

ACE inhibitor가 소아 신증후군에서 단백뇨 소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 Inhibitor on Nephrotic Proteinuria in the Children)

  • 박은혜;김지홍;김병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3권1호
    • /
    • pp.42-47
    • /
    • 1999
  • 목 적 : ACE inhibitor는 주로 항고혈압제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정상 혈압을 가진 신질환 환자에서 단독으로 쓰일 경우 단백뇨를 감소시키고 신기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와 병합 투여할 경우 단백뇨 소실에 상승작용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신증후군 환아에서 스테로이드와 ACE inhibitor인 Inhibace의 병합투여가 단백뇨 소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원발성 신증후군으로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라 Prednisolone 2mg/kg/day를 단독으로 투여한 환아(대조군)와 Prednisolone 및 Inhibace 2.5mg/day를 같이 투여한 환아(Inhibace군)로 구분하였으며 이 중 치료에 반응을 보인 45명(대조군 29명, Inhibace군 16명)을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두 군간의 평균연령 및 남녀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병시 24시간 요중 단백량은 대조군 $699.6{\pm}1396.6 mg/m^2/hr$, Inhibace군 $624.9{\pm}275.1\;mg/m^2/hr$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스테로이드 투여 후 단백뇨 소실까지의 기간은 Inhibace군에서 $10.9{\pm}2.0$일로 대조군의 $13.6{\pm}4.0$일보다 유의하게 짧았고 (P<0.05)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치료 전후의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Inhibace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Inhibace군에서 치료 전후에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혈압의 변화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Inhibace 군에서 저혈압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와 ACE inhibitor의 병합투여는 스테로이드 단독 투여에 비해 완해에 이르는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장기간의 ACE inhibitor의 투여가 재발율 및 관해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레닌-안지오텐신계에 작용하는 항고혈압 약제의 단독요법과 병용요법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 Comparative Safety and Efficacy of Mono- and Combination Therapy of Anti-hypertensive Agents Acting on the Renin-Angiotensin System)

  • 최경업;김현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4-375
    • /
    • 2011
  • Given that single blockade with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CEIs) or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ARBs) can achieve only partial and undurable suppression of the Renin Angiotensin System (RAS),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dual blockage would be more beneficial in the management of blood pressure (BP) reduction and prevention of progressive chronic kidney disease (CKD) than either agent alone. Thu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ombination of an ACEI and an ARB might provide renal benefits to hypertensive patients over and above BP reduction. However, this might also expose patients to additive or synergistic side effects. We attempted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to evaluate the benefits and harms of combination therapy in hypertensive patients with or without kidney diseases. MEDLINE and KoreaMed were searched for relevant randomized clinical trials in adult hypertensive patients with or without diabetes (restricted to 1997, limited to trials published in English). Results were summarized using the random-effects model, and between-studies heterogeneity was estimated with $I^2$. A final analysis of ten trials (23,928 patients) revealed that the combination of an ACEI and an ARB reduced blood pressure (SBP/DBP) by 3.95/2.02 mmHg (95% confidence interval [CI], -4.38 to -3.53/-2.33 to -1.71) compared with ACEI monotherapy, and 2.83/2.64 mmHg (95% CI, -3.25 to -2.41/-4.95 to -0.33) compared with ARB monotherapy. Eight trials (391 pati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24h-proteinuria (weighted mean difference, 0.16 g/day, 95% CI, -0.26-0.05), but they did not translate into an improvement in GFR. Tests for heterogeneity showed no difference in effect among the studies. The combination therapy reduced proteinuria by 30% (95% CI, 23% to 37%) and 39% (95% CI, 31% to 48%) compared with ACEI monotherapy and ARB monotherapy, respectively. However, in patients who had proteinuria more than 0.5 g/day, the combination therapy failed to show significant reduction in urinary protein excretion. The current cumulative evidence suggests that diabetic patients with proteinuria on dual RAS blockade have an increase risk of adverse events such as hyperkalemia, hypotension, and so on, compared with ACEI or ARB alone. It is, therefore, proposed that the combination therapy should not be routin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with or without compelling ind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