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ive immunity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초

Immunization of mice with chimeric protein-loaded aluminum hydroxide and selenium nanoparticles induces reduction of Brucella melitensis infection in mice

  • Tahereh Goudarzi;Morteza Abkar;Zahra Zamanzadeh;Mahdi Fasihi-Ramandi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304-312
    • /
    • 2023
  • Purpose: Due to the many problems with commercially available vaccines, the production of effective vaccines against brucellosis is a neces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une responses caused by the chimeric protein consisting of trigger factor, Bp26, and Omp31 (TBO) along with aluminum hydroxide (AH/TBO) and selenium (Se/TBO) nanoparticles (NPs) as adjuvants in mous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Recombinant antigen expression was induced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bacteria using IPTG (isopropyl-d-1-thiogalactopyranosid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protein was conducted through NiFe3O4 NPs,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 NP characteristics, including morphology and particle size, were measured in vitro. The recombinant TBO was loaded on to AH and Se NPs and were administered subcutaneously. After mice immunization, measurement of antibody titter and protection assay was performed. Results: The average sizes of AH and Se NPs were about 60 nm and 150 nm, respectivel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showed that the serum of mice immunized by subcutaneous injection with both nanovaccines produced significant immunoglobulin G (IgG) responses against the chimeric antigen. The results of TBO-specific IgG isotype (IgG2a/IgG1) analysis showed that both AH and Se NPs induced a type to T-helper immune respons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challenge with the pathogenic strain of Brucella melitensis 16M showed that vaccinated mice with AH/TBO NPs indicated a higher reduction of bacterial culture than immunized mice with Se/TBO NPs and TBO alon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H NPs carrying chimeric antigen can be a promising vaccine candidate against brucellosis by producing protective immunity.

닭의 전염성 F낭병 바이러스 유전자백신에 의한 방어 면역에 Genetic Adjuvant (Chicken Interleukin-6)와 Chemical Adjuvant (Levamisole)의 효과 (Efficacy of Genetic Adjuvant (Plasmid-Expressed Chicken Interleukin-6) and Chemical Adjuvant (Levamisole) on the Protective Immunity of Genetic Vaccine against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 박정호;성환우;윤병일;박선일;권혁무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1-98
    • /
    • 2009
  • 닭의 전염성 F낭병 바이러스(IBDV)가 원인 바이러스인 전염성 F낭병은 전 세계 양계산업에 경제적으로 피해가 큰 중요한 질병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닭에서 IBDV에 대한 방어면역을 유도하기 위한 in ovo 초회항원자극(priming)과 불활화백신에 의한 보강접종 방법에 항원보강제(adjuvant)로 chicken interleukin 6 (pcDNA-ChIL-6;plasmid encoding chicken interleukin-6)와 levamisole (LMS)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IBDV의 VP2, VP, VP3 protein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백신인 plasmid DNA vaccine (pcDNA-VP243) 단독 또는 pcDNA-ChIL-6 또는 LMS와 함께 18일령 부화란의 양막낭(amniotic sac)에 접종하고 부화한 1주령의 병아리에 불활화 IBD 백신을 근육 접종한 다음 3주령에 고병원성 IBDV인 SH/92 주로 공격 접종하고 10일 동안 관찰하였다. 백신하지 않은 공격접종 대조군이 100%의 폐사율을 보인 반면 pcDNA-VP243 단독 접종군과 pcDNA-VP243에 pcDNA-ChIL-6 또는 LMS를 첨가한 실험군은 모두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공격접종 후 F낭의 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IBDV RNA의 검출, B/B ratio와 F낭의 병변지수(lesion score) 등을 분석한 결과 pcDNA-VP243에 pcDNA-ChIL-6 또는 LMS를 첨가한 실험군은 pcDNA-VP243 단독 접종군보다 향상된 방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실험결과는 유전자백신에 의한 in ovo 초회항원자극-불활화백신에 의한 보강접종법이 고병원성 IBDV로부터 닭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었으나 pcDNA-ChIL-6 또는 LMS의 첨가로 인한 방어효과의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치료실패 폐결핵 환자의 세포성면역반응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Cell-Mediated Immunity in Treatment Failure Pulmonary Tuberculosis)

  • 박정규;박장서;김화중;조은경;민들레;임재현;서지원;백태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13-25
    • /
    • 1999
  • 연구배경: 결핵은 대식세포와 T 림프구가 주로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에 의하여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특히 Th1 또는 Th2 림프구 가농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역반응의 결과에 따라 결핵균에 대한 감수성 또는 저항성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치료실패 폐결핵환자의 말초혈액단핵구를 PPD 또는 수용성 TSP 항원으로 결핵의 보호면역과 관계가 있는 Th1 반응과 결핵의 감수성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Th2 반응을 관찰하였다. 방법: 수용성 TSP 항원과 대조항원인 PPD 항원으로 건강인, 폐결핵으로 진단되어 단기치료지침에 의하여 균음 전화된 치료반응 환자 및 치료실패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대상으로 단핵구 증식반응과 Th1 반응 및 Th2 반응과 각각 관계가 있는 IFN-$\gamma$ 및 RANTES와 MCP-1 mRNA 발현 빈도를 역전사효소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PPD 피부반응 양성 건강인 모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자극지수 4 이상의 유의한 증식반응을 보였으나 PPD 음성 건강인 모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자극지수 4 미만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치유된 환자는 80%의 증식반응을 보였으나 치료실패 환자는 PPD 에 의하여 30.8% 그리고 TSP 항원에 의하여 15.4% 만이 자극지수 4 이상의 유의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치유된 환자의 1FN-$\gamma$ mRNA 발현빈도는 90.0% 이었으나 치료실패 환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23.1% 만이 유도되었다. PPD 양성 건강인의 말초혈액단핵구를 PPD, TSP 또는 PHA로 자극하면 RANTES가 모두 발현되었다. 치료실패 환자, PPD 피부반응 음성 및 치유된 환자를 PPD로 발현을 유도한 경우 각각 76.9%, 80.0%로 대상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TSP 항원으로 유도하면 건강 대조군 및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치료실패 환자는 46.2%로 발현빈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PHA로 자극한 경우에서도 치료실패 환자는 69.2%로 감소하여 IFN-$\gamma$ mRNA 발현율 감소 경향과 유사하였다. 치료실패 환자는 MCP-1의 발현빈도가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치료실패 환자에 있어서 PHA 자극의 53.8% 보다는 PPD 또는 TSP로 자극한 경우에 발현빈도가 각각 76.9%로 높았다. 그러나 PPD 양성 건강인 및 치유된 환자는 PPD 또는 TSP로 유도한 결과 40% 이었으며 PHA로 유도한 경우는 각각 80%와 90%로 결핵균 항원에서 낮은 발현 빈도를 보여 치료실패 환자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치료실패 환자는 PPD 피부반응 양성 건강인 및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말초혈액단핵구의 증식능, 1FN-$\gamma$ 및 RANTES mRNA 발현빈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Th1 반응이 억제되어 있었다. 반면에 MCP-1 mRNA의 발현빈도는 현저히 증가되어 Th2 반응의 증가로 결핵균 사균 능력이 치료실패 환자는 감소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우리나라 성인에서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에 대한 항체 평가 (Evaluation of Antibodies Against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in Korean Adults)

  • 이지현;김한울;이소영;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3호
    • /
    • pp.125-133
    • /
    • 2017
  • 목적: 1995년 한국에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백신이 도입된 이후, 2013년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되었다. Hib 백신 도입 시기 이후 다른 나라의 일부 연구에 따르면, 침습적 Hib 질환은 소아보다 성인, 특히 노인 및 면역 저하 환자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85세의 한국 성인에서 항-polyribosylribitol phosphate (PRP) 항체의 양적 및 질적 측정을 통하여 질병 감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혈청은 39명의 건강한 성인(20-50세)과 면역 저하 상태가 아닌 30명의 노인(75-85세)에서 수집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7일 이내에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았다. 항-PRP 면역글로불린 G (immunoglobulin G [IgG]) 항체가 및 혈청 살상능 역가(serum bactericidal index [SBI])는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과 혈청 살상능 평가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항-PRP IgG 항체가의 기하평균 및 SBI의 기하평균은 성인군에서 각각 $0.88{\mu}g/mL$ (95% 신뢰 구간, 0.17-3.85) 및 354 (95% 신뢰구간, 50-2,499)이었고, 노인군에서는 각각 $1.67{\mu}g/mL$ (95% 신뢰구간, 0.53-5.24) 및 449 (95% 신뢰구간, 146-1,376)이었다. 소아에서 Hib 감염에 대한 방어 농도로 인정하고 있는 0.15 및 $1.0{\mu}g/mL$을 적용하였을 때, 항체 양성률은 성인군에서 87.2%, 노인군에서 100%였다. SBI의 양성률($SBI{\geq}4$)은 성인군에서 82.1%, 노인군에서 100%였다. 결론: 대부분의 성인군과 노인군에서 양적으로나 기능적으로 Hib 질환에 대한 방어 면역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모두는 아니었다. 높은 면역력과 낮은 Hib 순환율은 인구에서 Hib에 대한 자연면역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Hib 면역과 질병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결핵균 특이 TB-14 재조합 단백질의 분리 및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Purification and Immunogenicity of TB-14 Recombinant Protei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 송호연;김영희;김창환;민영기;김대중;고광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3호
    • /
    • pp.239-247
    • /
    • 2006
  • 연구배경: Mycobacteria 배양액 여과 단백질은 결핵에 대한 세포성 면역반응 및 진단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결핵균 특이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약 14-kDa의 결핵균 재조합 단백질(TB-14)을 분리 정제 한 뒤 전혈 배양(whole blood culture)을 통해 재조합 단백질 항원의 자극에 따른 IFN-${\gamma}$ 분비 유도를 PPD와 비교 측정하여 TB-14 단백질이 결핵균에 대한 숙주의 세포성 면역반응 유도에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M. avium 배양 여과액에서 항혈청과 강하게 반응하는 하나의 M. avium 특이 단백질을 확인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규명한 뒤 이 단백질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는 M. tuberculosis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다량의 결핵균 재조합 단백질(TB-14)을 분리 정제하였다. 재조합 단백질 TB-14에 대한 세포성 면역 반응 유도를 알아보기 위해 결핵 환자(9명), PPD 양성 정상인(7명) 및 PPD 음성 정상인(7명)들로부터 얻은 전혈(whole blood)를 RPMI로 희석한 뒤 $10{\mu}g$의 PPD와 TB-14 단백질로 48 시간 동안 자극하여 상층액에 분비된 IFN-${\gamma}$ 농도를 ELISA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M. avium LR114F 균주의 배양 여과액 내에서 M. intracellulare 항혈청에 강하게 반응하는 새로운 M. avium 특이 단백질을 규명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확인하였다. 2. M. avium 특이 단백질과 상동성을 보이는 M. tuberculosis 특이 재조합 단백질인 TB-14은 14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3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signal peptides를 가지며 M. avium과 78%의 상동성을 보였다. 3. PPD 양성인의 전혈 배양에서 TB-14 단백질 항원으로 자극된 군에서 PPD로 자극된 군보다 월등히 높은 IFN-${\gamma}$ 분비를 나타내었다. 반면 결핵환자에서는 질환의 양상이나 치료 정도에 따라 IFN-${\gamma}$의 분비 양상이 일정하지 않았다. 결 론: 새로운 결핵균 특이 재조합 단백질 TB-14는 결핵에 대한 인체 내 세포성 면역반응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백질이라 생각되며 특히 PPD 양성자에서 높은 IFN-${\gamma}$의 분비 양상을 보여 정상인과 결핵 감염자의 감별진단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TB-14 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을 제작하여 환자의 가검물에 분비되는 결핵균 특이 단백질을 탐색하는 결핵의 진단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 Allium sativum이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lic Allium sativum on the immune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준희;우승호;엄용환;황분옥;권문경;방종득;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마늘 추출물과 착즙액이 넙치의 비특이적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과 투여 방법에 따른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마늘 추출물의 투여는 복강 주사법을, 마늘 착즙액은 침지법을 사용하였다. 마늘 착즙액 침지법은 일정 농도의 착즙액을 해수에 현탁하여 2일 간격으로 3회 침지하였다. 병원균의 공격 시험은 시험어에 마늘 추출물의 일정량을 2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한 지2일 후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늘 추출물의 복강 주사 시험구 중 5% 투여구에서 lysozyme의 활성이 가장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호중구의 수는 1, 5 및 10%를 주사하였을 때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p<0.05). SOD activity는 신장에서는 1, 3 및 5% 시험구에서, 간에서는 1 및 5%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NBT 환원 시험은 3 및 5% 시험구에서 높은 NBT 환원량을 나타내었다. 마늘 착즙액의 침지 시험에서는 0.25 g/L 시험구에서 체표 점액 lysozyme 활성과 혈청 lysozyme 활성이 가장 높은 유의적인 증가를 하였다. 림프구와 호중구의 수는 0.25, 0.5 및 1.0 g/L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p<0.05). SOD activity는 신장에서는 모든 시험구에서, 간에서는 0.1, 0.25 및 0.5 g/L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NBT 환원 시험은 0.1, 0.25 및 0.5% 시험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p<0.05). 시험구의 생존율은 S. iniae BS10과 E. tarda KE-1의 공격에 대하여 5% 마늘 추출물 복강 투여와 0.25 g/L 마늘 착즙액 침지 시험구의 상대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 추출물과 착즙액이 넙치에 면역능 향상과 어류 질병에 저항성 증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우스에서 조류 병원성 대장균의 P Fimbriae subunits을 발현하는 약독화 살모넬라균 경구 접종 후 면역 반응 유도 실험 (Induction of Systemic and Mucosal Immune Responses in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Recombinant Attenuated Salmonella Expressing Subunits of P Fimbriae of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 오인경;문보미;이존화;허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7-302
    • /
    • 2011
  • 조류병원성 대장균 (APEC)은 가금에서 많은 장관외 질병을 야기한다. 병원성 인자 중 하나인 P-fimbriae 또한 질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마우스에 P-fimbriae의 subunit 들인 PapA와 PapG를 발현하는 재조합 약독화 Salmonella Typhimurium 백신균주 접종 후 APEC 방어에 필요한 면역반응 유도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백신 균주로 경구 접종 후 각 항원에 대한 serum IgG 항체 역가는 접종 후 4주째부터 대조군에 비해 항체 역가가 높게 유도되기 시작하여 실험이 끝날 때까지 높은 항체 역가가 계속 유지 되었다. 한번 접종 된 경우보다 추가 접종 된 군에서 보다 높은 항체 역가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각 항원에 대한 mucosal IgA 역가 또한 높게 유도되었다. 두 균주를 혼합하여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각 백신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보다 높은 serum IgG와 mucosal IgA의 역가가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이들 백신 균주가 면역원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결과였다. 또한 helper T cells type을 알아보기 위해 IgG1과 IgG2a의 항체 역가를 측정하여 본 결과 각 백신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IgG2a의 항체 역가가 IgG1의 항체 역가 보다 월등히 높은 이들 백신 균주를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Th1-type의 면역 반응이 유도되지만 두 백신 균주를 혼합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Th1-과 Th2-type 모두를 유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이들 두 백신 균주를 혼합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세포성 면역뿐만 아니라 체액성 면역 모두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과위생사의 치과진료 감염방지기준에 관한 연구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ental Treatment Infection Control Standards of Dental Hygienists)

  • 유하나;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49-656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치과진료 감염방지기준 이행실태를 파악하기위해 실시되었다. 설문조사는 충남 천안시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을 통해 2012년 7월 25일부터 2012년 8월 01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B형 간염 예방접종은 '예' 또는 자동능동면역이 75.0%로 높게 나타났으나 최종간염예방접종 경과기간은 5년 이상이 48.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염예방 중요성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93.0%로 높았으나 감염교육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41.0%로 비교적 낮았다. 감염방지를 위한 개인보호용구 착용실태는 마스크착용, 의료용 장갑착용에 비해 보안경의 착용률이 낮았다. 진료 전 손세척은 '항상한다'가 56.0%로 진료 후 손세척 82.0%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치과진료 기자재의 멸균 전 기구세척, 포장 사용 및 포장 손상된 기구 재소독은 '예'가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나 수관관리는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가 39%로 낮게 나타났다.

CD40-CD40 Ligand Interactions in the Production of IL-12 and IFN-γ by Tuberculous Pleural Mononuclear Cells

  • Song, Chang-Hwa;Nam, Hyun-Hee;An, Jeun-Ok;Lee, Ji-Sook;Kim, Hwa-Jung;Park, Jeong-Kyu;Suhr, Ji-Won;Jung, Sung-Soo;Na, Moon-Jun;Paik, Tae-Hyun;Jo, Eun-Kyeong
    • IMMUNE NETWORK
    • /
    • 제2권3호
    • /
    • pp.142-149
    • /
    • 2002
  • Background: Our previous study showed that purified protein derivative (PPD)-stimulated pleural mononuclear cells (PMC) from tuberculous pleurisy (Tbp) produced significantly more $IFN-{\gamma}$ (10- to 70-fold) after in vitro PPD stimulation than freshly isolated pleural cells from malignant pleurisy.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blocking the CD40-CD40 ligand (CD40L) interaction decreases $IFN-{\gamma}$ production by altering IL-12 levels. Methods: IL-12 and $IFN-{\gamma}$ production after neutralizing anti-CD40L antibody treatment was compared to the efficacy of anti-CD80, anti-CD86, and a combination of anti-CD80 and CD86 (CD80+86) monoclonal antibodies (mAb). These activities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s)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fter in vitro stimulation with PPO antigen (Ag). Results: Neutralization of CD80, CD86 and CD80+86 did not decrease $IFN-{\gamma}$ and IL-12 production in Tbp-PMC, whereas neutralization of CD40L significantly depressed IL-12 p40 and $IFN-{\gamma}$. In addition, neutralization of CD40L completely inhibited IL-12 p40 and $IFN-{\gamma}$ mRNA expression. Conclusion: The CD40-CD40L interaction might play a major role in IL-12 and $IFN-{\gamma}$ production in Tbp-PMC, thus contributing to protective immunity in human tuberculosis.

폐결핵환자의 치료 시점에 따른 말초혈액 단핵구의 IFN-$\gamma$, TNF-$\alpha$ 분비능의 변화 (Change of IFN-$\gamma$ and TNF-$\alpha$ Producing Capacity in the Course of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임재준;이상민;이재호;유철규;이춘택;정희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149-154
    • /
    • 2000
  • 배 경: 결핵에 대한 인체의 면역반응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대식세포가 결핵균을 탐식하여 사멸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는 Interferon-gamma(IFN-$\gamma$)와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phytohemagglutinin(PHA) 혹은 purified protein derivative(PPD)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의 IFN-$\gamma$와 TNF-$\alpha$의 분비능이 폐결핵 환자들에서 치료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하였다. 방 법: 폐결핵으로 확진되었고 전형적인 임상상을 보이는 치료시작 전 환자 5명, 치료시작 후 4개월이내의 환자 11명, 치료시작 후 4 개월에서 9개월 사이의 환자 6명 그리고 치료를 종료한 환자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여 PHA와 PPD로 자극한 후 IFN-$\gamma$와 TNF-$\alpha$를 측정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각 군간에 PHA와 PPD로 자극한 후 말초혈액 단핵구의 IFN-$\gamma$와 TNF-$\alpha$의 분비능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전형적인 임상상을 보이는 폐결핵환자들에서 그 치료 시점에 따른 IFN-$\gamma$와 TNF-$\alpha$의 분비능의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