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nsity Score Matching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6초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이 수출성과에 미친 영향 (The Effect of the Us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on Export Performance)

  • 오세환
    • 무역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23-335
    • /
    • 2021
  •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rising interest in the impact of these changes on Korea's trade. While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very limited in the field of trade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an empirical analysis regarding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on the performance of exporters, based on the data of the Survey of Business Activities during 2017-2019 by the Korean government statistical office.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in combination with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the difference-in-difference (DID) analysis, this research confirms that the u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Korean exporters.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 (Analysis of Employment Effect on Assistive Technology Program for the Disabl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 전영환;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33-138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고용유지와 고용촉진을 위해 고용영역에서 수행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의 효과를 실증하는 데 있다. 분석에는 한국장애인고용단의 행정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비교집단의 오염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장애인에 비해 퇴사 비율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측면에서는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한 기업체가 그렇지 않은 기업체에 비해 장애인의 고용증대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고용에 효과적임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조공학기기 지원 대상을 취업자에서 구직자로 확대하고, 구직상담에서 직무배치에 이르는 일련의 고용서비스 전 과정에서 보조공학기기가 지원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근로장려세제(EITC)의 근로유인 분석 -2차 개정안 근로시간 증감 비교- (Analysis on the Effect of EITC(Earned Income Tax Credit) on Work Incentive -Focus on the second policy that was revised in 2011-)

  • 김건태;김윤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82-395
    • /
    • 2017
  • 본 연구는 2차 개정 근로장려세제(EITC)의 근로유인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복지패널 8차 웨이브(2013년)와 9차 웨이브(2014년)를 구축하여 2011년 변경된 정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먼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다음 성향점수분석(PSM)을 실시하여 양자 분석방법의 결과를 비교하도록 한다. 근로장려세제에 대한 인지여부와 근로장려금의 수령여부가 독립변수가 되고, 근로시간의 증감이 종속변수가 된다. 6,025가구 중 에서 조건에 일치한 가구 535가구를 선택하였다. 다중회귀분석과 성향매칭 분석 결과, 첫째로 근로장려세제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둘째로, 근로장로금 수령여부는 근로시간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경제위기 이후 실업률의 증가로 인해 저소득층의 취업여건이 매우 악화되었다. 이에 근로의욕을 자극할만한 인센티브를, 개정된 근로장려세제는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고 볼 수 있다.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 효과분석 (The Analysis for effect on Government R&D Subsidies by using PSM)

  • 최석준;김상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00-208
    • /
    • 2009
  • 우리나라 정부의 '06년도 연구개발예산은 8조77백억원 규모로 25년 사이에 670배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도 지난 10년간 10%대를 유지하였다. 정부의 연구개발예산 또는 연구개발보조금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이 민간 자체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부 연구개발 직접보조금이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를 진작 또는 대체 시키는지 여부 및 기업유형, 인종별 정부의 보조금 효과가 달라지는가에 대해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방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PSM 분석결과 정부의 연구개발 보조금을 받은 기업은 받지 않은 기업보다 연구개발 투자를 평균적으로 7억33백만원 더 지출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대기업과 서비스업의 보조금 수혜기업이 연구개발투자 지출을 더 많이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R&D 지원 정책이 기업 특성 등에 따라 보다 맞춤형으로 전환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식스 시그마 품질경영활동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지표에 미치는 영향연구: 경향점수매칭을 이용하여 (The Study on Relation between Implementation of Six Sigma Quality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 박병화;박태영;박민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41-35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whether the adoption of Six Sigma quality management by a firm positively affects its financial performa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Six Sigma implementation period and the financial status of the firm is investigated as well. Methods: We conduct the analysis using data from Manufacturing Industry Productivity Panel Survey 2013 provided by Korea Productivity Center 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ropensity score matching is used to reduce sample selection bias of observational study. Furthermore, we u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Six Sigma quality manage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turn on assets and ratio of net income to net sales are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 and implementation of Six Sigma as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The indication of this analysis is that implementation of Six Sigma quality management does not significantly enhance financial status. The firms that adopted Six Sigma quality management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period. Comparison of each group with the firms that do not adopt Six Sigma quality management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of financial status. Conclusion: In conclusion, both adoption and duration of six sigma quality management do not affect financial performance significantly.

정규직-비정규직 간 훈련격차와 임금효과 (On-the-job Training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nd Wage Effects)

  • 오호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33-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업주도 재직자 훈련(On-the-Job Training: OJT)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간 훈련격차와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OECD의 주관하에 조사된 국제성인역량조사(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원자료에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비모수추정법인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적용하였다. 비정규직을 처치집단으로 정규직을 대조집단으로 하여 훈련참여 및 훈련의 임금효과를 각각 추정한 결과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불리한 훈련기회에 직면하였고 훈련의 임금효과는 정규직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정규직에서는 훈련이 임금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정규직의 저숙련 함정 극복을 위한 정부개입의 근거를 제공하며 비정규직에 대한 훈련기회 확대가 미취업과 정규직을 잇는 가교로써 비정규직이 기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정부 재정지원이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on the Perform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cus on LINC Program)

  • 문형진;이희상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29-52
    • /
    • 2016
  • 정부는 국가의 지속적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산학협력 활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정책 및 지원 등을 추진해오고 있지만 의도한 성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이용하여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 산학협력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지원 여부가 대학의 기술이전 건수와 교원창업자 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기술이전 수입료와 학생창업자 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지만 성과의 확산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공공임대주택거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blic housing on depression)

  • 임세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5-30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7차년도를 이용하여 공공임대주택거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공임대주택거주가 개인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선택 편의를 줄이기 위해 PSM(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해 PSM의 매칭결과와 회귀분석을 결합하였다. 분석결과 단순비교(independent t-tes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던 공공임대주택거주자와 일반주택거주자간의 우울의 차이가 PSM매칭과 회귀분석을 결합하였을 때는 유의미성이 사라졌다. 이는 공공임대주택거주자의 높은 우울정도는 공공임대주택거주의 독립적인 효과라기보다는 공공임대주택거주자가 가지고 있는 본래적인 인구학적인 속성 혹은 소득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거주가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대한 정책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동시에 긍정적인 영향도 확인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저소득층에 한정하지 않은, 국민 대다수를 위한 임대주택정책을 제안하였다.

출산과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를 활용한 분석 (Childbirth and Socioeconomic Status Changes in Korean Wome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 정윤선;유창훈;권영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67-67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출산 여부에 따른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향점수 매칭방법을 이용해 출산 여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이중차이분석과 이중차이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출산이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산은 저축액의 감소, 여성의 경제활동 중단, 종사상 지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출산이 가정경제와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출산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직종과 지위에 관계없이 출산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가정 경제를 꾸려나갈 수 있다는 믿음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알레르기 비염에서 성향 점수 매칭을 이용한 의과·한의과 간 성과 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 자료 이용 (Outcomes Analysis for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Allergic Rhinitis: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 강채영;김희준;김정훈;황진섭;이동효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3-69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eatment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on Allergic rhinitis patients using national population-based claim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024 patients in the Korean medicine group and 30,024 in the Western medicine group who were diagnosed with Allergic rhinitis from September 1, 2018 to December 31, 2018. Propensity score analysis was used for matching age, sex, etc. at a ratio of 1:1. Cox regression and subgroup analysis were used to estimate the adjusted hazard ratio of recurrence, Asthma, and Atopic dermatitis in Korean medicine group and Western medicine group. In addition, the total treatment period, total treatment cost, and average cost per day of visit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 Compared to Korean medicine, Western medicine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recurrence at 1.701 times, Asthma occurrence risk at 1.609 times and Atopic dermatitis occurrence risk at 1.098 times. Compared to Western medicine, the total treatment period of Korean medicine was 14.27 days longer, the total treatment cost was 53,591 won more, and the average cost per day was 7,539 won more. Conclusions :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Korea to compare the outcomes of Allergic rhinitis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Further research is needed by considering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linking with addition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