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 Information Portal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EDI 신조류 (A Study on the New Trends of EDI based Internet)

  • 조원길
    • 정보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125-139
    • /
    • 2001
  • 전자상거래의 글로벌한 움직임과 관련하여 여전히 EDI는 전자상거래의 핵심요소로서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지만, 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인터넷의 등장과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로 말미암아 그 역할과 구현방법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 구현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기존의 EDI와 현재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EDI까지의 새로운 EBI조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품질문제 요인분석을 통한 데이터 품질 개선방안 연구:국가R&D정보연계 방식 중심 (Research of Quality Improvement by Factors Analysis Data Quality Problem:Focus on National R&D Information Linking Structure)

  • 손강렬;임종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09
  • 현재 국내의 정부 R&D 사업은 300여개에 이르고 있고, 이를 사업의 특성별로 16개 국가R&D 관련 부처 청의 15개 대표연구관리전문기관에서 각각 관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가 R&D에 대한 중복 투자와 체계적인 R&D연구과제 및 성과관리의 미흡으로 R&D 투자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는 국가연구개발의 기획에서 성과활용에 이르기까지 연구개발의 효율화를 지원할 수 있는 국가 R&D 포털시스템으로써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IS)을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TIS시스템의 인력/과제/성과 정보의 통합 DB 구축 및 연계방식과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위한 데이터 정제 프로세스를 고찰해 본다.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품질문제의 요인을 분석하여 NTIS의 데이터 품질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21C 종합항만을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 평가 (An Evaluation of Action Plan for Busan Port to grow as Complex Port in 21st Century)

  • 허윤수;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63
    • /
    • 2008
  • 최근 미국 LA항과 LB항, 로테르담항을 중심으로 친환경적인 항만을 개발하기 위한 Green Port 추진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싱가포르항, 상하이항, 두바이항 등은 화물, 사람, 정보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진정한 의미의 종합항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제 항만은 더 이상 여객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단순한 역할만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21C 종합항만은 항만 그 자체가 여객이나 화물, 정보, 금융의 집결지가 되고, 항만주변의 물류배후부지가 화물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을 통해 21C 종합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를 각 분야별로 도출하고, 도출된 추진과제를 정량요인(지역내 사업비중, 특화정도, 산업연관효과)과 정성요인(미래성장성, 경쟁력확보, 혁신역량)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추진과제별 평가값을 바탕으로 사업의 우선순위 도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이버교과서박물관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yber Textbook Museum Database)

  • 김은주;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7-84
    • /
    • 2009
  • 이미 발행된 교과서를 대상으로 원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 교과서 표현 메타데이터 정의, 원문 파일 포맷의 정의, 시스템의 개발과 이를 구체적으로 구축한 사례를 정부의 지식자원관리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한국교육개발원의 '사이버교과서박물관' 구축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사이버교과서박물관에서는 1890년대 이후 국내에서 제작된 교과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온라인상에서 열람 및 이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시스템 구축은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홈페이지 구축, 검색시스템의 개발, 교과서 원문서비스의 저작권에 따른 원문관리시스템의 구축, 서비스하는 교과서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 관리시스템(DRM)의 개발에 이르기까지 교과서 자료의 특수성에 따른 시스템 개발상에서의 차별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정책적, 기술적, 제도적, 활성화 안의 4가지 측면에서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크럼 방법론에서의 측정 지표 분석 및 사례 연구 (An Analysis of Measurement in Scrum Method and Its Case Study)

  • 김성근;황순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185-205
    • /
    • 2008
  • 오늘날 경영환경은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에도 큰 변화가 요구된다. 짧은 반복 개발을 통해 변화에 보다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Agile(애자일) 방법론이 대안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제법 많은 연구가 이 애자일 방법의 특징 및 장단점을 소개하고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가 애자일 방법의 표면적 특징에만 기초하다 보니 이들 연구결과가 애자일을 도입하려는 조직에게 많은 혼돈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측정 기준에 입각해 애자일 방법론 중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스크럼(Scrum) 방법을 분석하고 적용시 고려해야 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스크럼이 실제 기업에 적용되는 구체적 사례를 제공하였다. 여기서 나온 연구결과는 애자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촉진시키며 성공적인 애자일 방법론의 도입 및 적용을 확산시키는데 기여 할 것이다.

전염병 감시 체계 소개 및 평가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Communicable Disease Surveillance in the Republic of Korea)

  • 박옥;최보율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4호
    • /
    • pp.259-264
    • /
    • 2007
  • Effective communicable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are the basis of the national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Following the increase in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since late 1990s,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ived to enhance surveillance and response system. Since 2000, sentinel surveillance, such as influenza sentinel surveillance, pediatric sentinel surveillance, school-based sentinel surveillance and ophthalmological sentinel surveillance,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surveillance activities. Electronic reporting system was developed in 2000, enabling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database of reported cases. Disweb, a portal for sharing communicable disease information with the public and health care workers, was developed. In general, the survey results on usefulness and attributes of the system, such as simplicity, flexibility, acceptability, sensitivity, timeliness, and representa-tiveness, received relatively high recognition. Compared to the number of paid case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reported cases by national notifiable disease surveillance system, and various sentinel surveillance system,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high.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KCDC, the reporting rate of physicians in 2004 has also greatly improved, compared with that in 1990s. However,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further improve the communicable disease surveillance system. Awareness of physicians on communicable disease surveillance system must be improved by conduct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campaigns on a continuous basis. We should also devise means for efficient use of various administrative data including cause of death statistics and health insurance. In addition, efficiency of the system must be improved by linking data from various surveillance system.

분산 데이터의 통합시 데이터의 품질향상 방안: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 (A Data Quality Improvement Method in Integrations of Distributed Data: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s)

  • 손강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623-1636
    • /
    • 2009
  • 현재 국내의 정부 R&D 사업은 300여개에 이르고 있고, 이를 사업의 특성별로 16개 국가R&D 관련 부처 청의 15개 대표연구관리 전문기관에서 각각 관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가 R&D에 대한 중복 투자와 체계적인 R&D연구과제 및 성과관리의 미흡으로 R&D 투자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는 국가연구개발의 기획에서 성과활용에 이르기까지 연구개발의 효율화를 지원할 수 있는 국가 R&D 포털시스템으로써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S)을 구축하고 있다. NTIS와 같이 분산된 데이터의 통합시 동일한 의미의 데이터들이 각 조직에서 달리 명명되고 다른 데이터 유형으로 되어 있기에 통합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높은 수준의 품질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NTIS 시스템의 인력/과제/성과 정보의 통합DB 구축 및 연계방식과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위한 데이터정제 프로세스를 고찰해 본다.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품질문제의 요인을 분석하여 NTIS의 데이터 품질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자료포락분석을 통한 국가 나노기술 연구개발투자 결과의 혁신성 분석 연구 (Study on Innovation Measurement of National R&D Investments for Nanotechnolog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임정선;한혁;원동규;김상국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7-219
    • /
    • 2019
  • 국제적으로 정부의 연구개발 성과분석 활동은 증거기반 데이터를 통해 혁신성을 파악하고, 또한 객관적인 정책이행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진화중이다. 유럽연합의 경우 4차산업혁명/첨단제조업 부흥을 지원하는 나노기술 기반의 KETs(Key Enabling Technologies) 정책을 추진하여 왔으며, KETs Observatory 프로젝트를 통해 KETs가 도출한 정량적 혁신성과들을 유럽연합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였다. 유럽연합은 또한 FP7 및 Horizon2020이 지원한 혁신적 연구과제들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Innovation Radar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미국 역시 Federal RePORTER 시스템을 통해 나노기술을 포함한 연방의 연구개발 투자/성과를 정량적으로 집계/분석 하는 체계를 고도화 중이다. 한국 나노기술 분야의 경우 NTIS(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정보를 분석한 기초통계 자료들이 정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초 통계자료 수준을 넘어선 혁신성 분석 방법론의 고도화는 미국 유럽을 포함한 세계 각국의 정책 이슈이며, 또한 정부의 장기적인 연구개발 투자 영역이다. 본 연구는 한국 NTIS의 나노기술 연구개발 투자 결과와 투입-산출 기반의 효율성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정부 R&D 투자의 혁신 특성을 정량화 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통합자원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예약 기반의 네트워크 자원 할당 테스트베드 망 (A Reservation based Network Resource Provisioning Testbed Using the Integrat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 임헌국;문정훈;공정욱;한장수;차영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450-1458
    • /
    • 2011
  • 연구망에서 융합망이란 의료, 바이오, 항공우주, e-Science 분야 등의 응용 연구자들에게 슈퍼컴퓨터, 클러스터 등의 컴퓨팅 자원을 네트워크 자원과 동시에 동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연구망인 KREONET은 2008년도부터 융합망 프로젝트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먼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적으로 연결 지향형 네트워크를 구성 할 수 있는 제어평면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때에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을 예약, 할당해 줄 수 있는 통합자원관리시스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되어진 통합자원관리시스템을 이용허여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 및 할당이 가능한 테스트베드 네트워크를 소개한다. 사용자로부터 제공 되어진 예약정보를 받아 GRS와 NRM 간에, NRM와 라우터 간에 각각 GNSI, GUNI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예약 할당 할 수 있다. 예약 시각의 시작시점에 NRM으로부터 GUNI 인터페이스 메시지가 각 라우터에 전달되어지고 할당된 LSP (Label Switched Path) 경로를 통해 트래픽이 전송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