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fessional voice users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성도 공명을 중심으로 한 성악 전공 대학생의 발음법 연구 (Diction Problem of Student Singers Based on the Vocal Tract Resonance)

  • 김선숙
    • 음성과학
    • /
    • 제7권4호
    • /
    • pp.59-72
    • /
    • 2000
  • Vocal tract resonance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o voice sounds. Resonance frequencies determine vowel quality and the personal voice timb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effective diction program according to tuning formant frequencies by adjusting the vocal tract shape in professional voice users. Twelve male student singers and eleven female student sing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repeated five simple vowels /a, e, i, o, u/ in normal speech and singing. The spoken vowels and sung vowels were measured by formant frequencies and the singer's formant frequencies using CSL and DSP Sona-Graph. Separately, Plot formants program was used to draw the vowel char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formant frequencies of female singers were 11% higher than those of males singers in singing. (2) The F1 and F3 of sung vowels increased compared to F1 and F3 spoken vowels. However, The F2 of sung vowel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F2 of spoken vowels. (3) Posterior vowel /u/ were moved anteriorly. This phenomenon seemed to be due to head voice singing training. (4) Singer's formant frequencies in student singers appeared according to the part: 2560 Hz for baritone, 2760 Hz for Tenor, 2821 Hz for Mezzo soprano and 3420 Hz for soprano.

  • PDF

전문적 음성 사용자들의 음성에 대한 음향학적 비교 분석 연구 (Acoustic Anlaysis of Voices in Professional Voice Users)

  • 노동우;백은아;황보명;정옥란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4호
    • /
    • pp.47-59
    • /
    • 2002
  • Mean F0, Jitter, Shimmer, and NHR were measured in 21 opera singers, 13 Korean traditional 'pansori' singers, and 21 non-singers. Four voice sampling conditions were ordinary /α/ prolongation, /α/ prolongation using vocal technique as if the subjects were singing, oral reading of the words of a song, and singing. One-way ANOVA and Sheffe post-hoc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mean F0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groups in all conditions except for the ordinary /α/ prolongation condition. The opera singers produced lower jitter and NHR compared to 'pansori' singers and non-singers only in the singing condition.

  • PDF

원격으로 실시한 반폐쇄성도훈련이 영유아 교사의 주관적 음성평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 via telepractice on subjective voic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류형선;김재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67-74
    • /
    • 2021
  • 본 연구는 영유아 교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음성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10명의 여성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폐쇄성도훈련(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 SOVTE)을 원격으로 실시하였을 때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음성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원격 SOVTE의 효과는 한국어판 음성장애지수(Korean voice handicap index, KVHI), 음성 활동 및 참여 프로파일-한국판(Korean version of the voice activity and participation profile, K-VAPP), 음성노력도 및 GRBAS를 이용한 청지각적 평가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KVHI의 총 점수, 기능적 점수, 신체적 점수는 원격 SOVTE를 실시한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원격 SOVTE 실시 후 K-VAPP의 총 점수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음성노력도 또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GRB 척도는 원격 SOVTE 실시 전과 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 여성 교사에게 원격으로 실시한 SOVTE는 음성의 불편감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으며, 원격으로 실시한 음성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음성 및 모션 인식 기반 양방향 대화형 알고리즘 (Two-way Interactive Algorithms Based on Speech and Motion Recognition with Generative AI Technology)

  • 장대성;김종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97-402
    • /
    • 2024
  • 음성 인식과 모션 인식 기술은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단순한 명령어 인식 형태로 구성되어 단순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식 데이터에 대한 단순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문적인 명령어 수행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음성 인식과 모션 인식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설계한 주요 기술 프로세스는 음성 및 모션 인식 기능, AI 기술 적용,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등 기술을 이용한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I 기술을 적용한 디바이스와 음성인식과 모션 인식 기술을 통해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다양한 입력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성대에어로빅치료법이 음성장애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cal aerobic treatment on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 박준희;유재연;이하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69-76
    • /
    • 2019
  • 본 연구는 성대에어로빅치료법(vocal aerobic treatment, VAT)이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음성검사 상 음성장애로 진단된 20명(남 13명, 여 7명)이었다. 음향학적 평가는 CSL(computerized speech lab)의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VRP(Voice Range Profile)를 통해 평가하였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를 통해 평가하였다. MDVP를 통해 치료 전 후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소음대배음비(NHR)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VRP에서는 치료 전 후 주파수 범위(Fo range), 강도범위(Energy range)를 측정하였다. PAS에서는 치료 전 후 폐활량(FVC), 최대연장발성시간(PHOT), 평균호기류율(MEAF), 성문하압(MPAP), 음성효율성(AEFF)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후두스트로보스코피에서는 치료 전 후 양측 성대의 규칙성, 대칭성, 점막파동, 진폭 변화 소견을 알아보았다. 음성치료는 총체적 음성치료 접근법 중 하나인 VAT 프로그램을 환자별로 주 1회 실시하였다. 환자별 평균 치료 회기는 6.5회였다. 연구결과, MDVP에서는 Jitter, Shimmer, NH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1, p<.05). VRP 결과, 주파수 범위에서 Hz와 Semitones이 치료 후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p<.01, p<.05). PAS 결과, FVC, PHOT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p<.001).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결과 치료 후 기능적 음성장애, 인후두역류질환, 양성성대점막질환군에서 성대소견이 정상범주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VAT 프로그램은 음성장애환자의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측면에서의 음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연구에서는 동일 집단의 음성장애 환자에게 VAT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객관적인 음성 개선뿐만 아니라 주관적 음성 개선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대상으로 VAT 효과에 대한 적용연구가 필요가 있다.

비후성 비염환자에서 음성검사 및 음향비강통기도검사를 이용한 수술전후 비교 (Postoperative Change in Hypertrophic Rhinitis(Study Using Nasometer, CSL and Acoustic Rhinometer))

  • 유영삼;우훈영;윤자복;최정환;조경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4-38
    • /
    • 200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ized systems,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s of nasal speech and nasal geometry have become readily available by means of a simple, noninvasive technique.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nasality, nasal formant, nasal volume and nasal area in patients with hypertrophic rhinitis before and after turbinate surgery. Material and Method : With the nasometer, we measured nasalance, which reflects the ratio of acoustic energy output of nasal sounds from the nasal and oral cavities. With CSL 4300B, we measured nasal formants. We used acoustic rhinometer to measure nasal area and nasal volume. Postoperative changes of above factors were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s.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first nasal formant frequency, nasalance scores of three passages(baby, mamma and rabbit passages), minimal cross sectional area(MCA) of narrow side, nasal volume of narrow side and nasal volume of wide side had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urbinate surgery (p <0.05). The MCA and nasal volume of narrow side and MCA of wide sid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asalance score of rabbit passage and baby passag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asal volume of narrow side(p<0.05). Conclusion :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nasalance scores, first nasal formant frequency, MCA and nasal volume after turbinate surgery. Thus, we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voice changes postoperatively in professional voice users.

  • PDF

편도적출술이 구강 및 비강 음향스팩트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nsillectomy on Oral and Nasal Spectral Outputs for Sustained Vowel)

  • 최동일;공일승;이은정;소상수;양윤수;홍기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38
    • /
    • 2007
  • Background and Objectiv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onsillectomy possibly causes changes of voice because the morphology of the vocal tract is altered. This may cause serious problems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Materials and Method: Subjects were 26 patients. The oral and nasal sound spectrum of oral vowel /a/, /e/ and /i/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onsillectomy. The formant frequencies and intensities for oral and nasal spectra were compared. The nasality and fundamental frequencies for oral vowel were measured. Results: The first formant frequencies for oral spectra of all vowels were not changed after surgery, but the second formant frequenci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in the vowel /e/ and /i/. The first and second formant intensities for oral spectra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in the all vowels. The first and second formant frequencies for nasal spectra of all vowels were not changed after surgery, but their intensities for nasal spectra were increased after surgery. The nasalities for oral vowel were not changed after surgery. Conclusion : Tonsillectomy appeared to change the spectral features of oral and nasal components of oral vowel, especially spectral intensities.

  • PDF

우리나라 이비인후과 외래환자의 인.후두 역류증상 발병빈도 조사(One Week Survey 결과) (Prevalence of Laryngo-pharyngeal Reflux(LPR) Related Symptoms at the Out Patient Department in Korea : One Week Survey)

  • 최홍식;김형태;서장수;왕수건;조재식;최건;홍기환;김석일;이원철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7-97
    • /
    • 2000
  • 1999년 4월 일주일간 전국 101개 병의원의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한 신환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찰을 통하여 인.후두 위산역류중(LPR)의 발병빈도와 그와 관련된 사항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비인후과 신환 전체 진단 병명의 24%, 이비인후과 신환 환자 중 25%에서 LPR 관련 증상 또는 진찰소견이 확인되었다. 2) LPR 관련 진단명으로는 인두이물감증후군(Glo-bus syndrome)이 27%로 가장 많았으며, 역류성후두염, 만성후두염 등의 순이었다. 3) 여성에서 남성보다 많았으며, 40, 50, 60대에 흔하여 노인성 변화와의 관련이 의심되었다. 4) 비만도와는 큰 상관관계가 없었음. 5) LPR의 3대 주증상은 인두이물감, 만성적 목청소, 원인모를 쉰 목소리였음. 6) LPR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피곤함, 정신적 스트레스, 술, 담배, 자극성있는 음식, 커피 등이었음. 7) 목소리를 직업적으로 쓰는 사람에서 LPR 증상의 발현이 높았음. 8) 과거 병력상 위질환과 잦은 편도염이 많았음.

  • PDF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 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Issues on User Participation in Korean Disability Services : Implications from UK Community Care)

  • 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363-3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와 관련된 요소들의 검토를 통해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서 이용자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의 커뮤니티케어에서 채택한 핵심적인 전략인 시장기제의 도입을 통한 소비자주의 접근은 크게 다른 서비스 환경 때문에 현재의 우리나라 장애인서비스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방이양의 쟁점과 관련하여 서비스의 지방이양이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이용자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먼저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들에게 사정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이와 함께 사례관리 과정에 의해 운영되는 공식적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와 함께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식화된 이의제기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가들이 이용자들의 개별적인 서비스 과정에 대한 참여뿐만 아니라 집단적인 이용자 운동의 참여에 대해서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가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용자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장애인운동의 역할도 동시에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