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ity measurement mode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4초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건설 생산성 예측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Productivity Prediction Model Based on Data Mining)

  • 우기범;안지성;오세욱;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13-818
    • /
    • 2007
  • 건설 프로젝트에서 수집되는 생산성 정보는 공사 진행의 효율성 파악, 작업여건 및 투입자원의 분석, 프로젝트의 성과측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공사계획 수립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실적자료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산성 정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국내 건설 산업은 생산성 데이터의 수집 및 측정방법 등이 아직 체계화 되어있지 못하고 생산성 데이터의 활용도 미진하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공사계획 수립을 현장관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고 있어 계획 대비 실적에 대한 신뢰도가 그만큼 저하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건설 생산성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이를 향후 공사계획 수립에 유용한 실적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건설 생산성 예측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A 기법을 활용한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ing Model of Productivity Using DEA in Container Terminal)

  • 이선용;최형림;박남규;권해경;임성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1-336
    • /
    • 2004
  • 선박의 대형화, 선박의 운항시간 단축의 요구로 인한 항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이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은 어떠한 생산성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측정하는지와 투입요소인 장치장, 장비, 종업원, 시설 등의 개별적인 투입요소에 따라 서로 다른 측정 결과가 나온다. 그러나,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측정하는데 단순히 부분적인 생산성 평가 모델이나 기존의 일반적인 투입 요소만으로 생산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평자 모델에 관한 분석과 투입과 산출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려운 의사결정단위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정확한 투입량의 결정을 풍해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전체 생산성을 측정하고, 투입요소의 변화에 따라 생산성의 측정 결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 좀더 정확한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내생성을 고려한 환경규제 강화가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 생산성에 미친 영향 분석 (The Effe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 Considering the Endogeneity on the Productivity of Korean Manufacturing Sectors)

  • 김태영;김홍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6권4호
    • /
    • pp.473-498
    • /
    • 2017
  • 본 연구는 Porter 가설을 기반으로 내생성을 고려한 환경규제가 한국 제조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2003년부터 2013년까지의 "광업 제조업조사", "과학기술통계" 및 "환경통계 포털" 자료를 이용하고 패널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기존 연구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생성 중 누락변수편의를 없애기 위해 시장경쟁정도, 산업별 R&D 투자금액, 시장개방도 및 진입 퇴출율과 같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분석했으며, 측정오차 및 역인과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구변수 추정법을 이용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규제는 장기적으로 한국 제조업의 생산성을 개선시켜 Porter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누락변수에 의한 내생성은 분석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측정 오차 및 역인과성에 의한 내생성은 환경규제의 효과를 과소평가 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환경기술 R&D은 단기적으로 생산성을 감소시켰다.

컴포넌트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 측정지표 및 비용 추정 모델 (Cost Measurement Indicators and Maintenance Cost Estimation Model for Maintenance of Component-based Software)

  • 조주연;류성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3호
    • /
    • pp.353-360
    • /
    • 2009
  • 대부분의 정보시스템은 컴포넌트 기반으로 아웃소싱에 의해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된 소프트웨어들은 통합되어 유지보수 되고 있다. 그러나 유지보수의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반 연구인 비용 측정지표 및 비용 추정 모델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유지보수의 비용에 대한 측정지표를 제안하고, 제안한 측정지표의 의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 비용 추정 모델을 연구한다. 컴포넌트 기반의 유지보수 비용 측정지표를 추정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시된 지표들을 비교 정리하고, 정리된 측정지표가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유형에 따라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분류하고 유형별 비용 측정지표를 제안한다. 또, 제안한 측정지표를 이용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유형에 따른 비용 추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추정 모델의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유효성을 검증한다.

선체설계와 의장설계간의 정보인터페이스 기법 연구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Hull and Outfitting Designs)

  • 최영태;서흥원;이순섭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0권6호
    • /
    • pp.458-465
    • /
    • 2013
  • Ship design engineering refers to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shipbuilding architectures in a drawing which reflects all relevant manufacturing processes. This paper provides analysis methods for model-information interfaces between hull structure design and outfitting design, and a technical application for manufacturing phases reflecting the pipe support pad and angle item automatically. The existing information procedure of pipe support pad and angle system processes information using drawing without model specification. Outfitting design team directly distributes drawings to the shop floor then manual-based marking and installation work are conducted refer to the distributed drawings. As a result, this process has become time consuming and causes problems i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improvement due to the rework caused by omitted or incorrect marking. The pipe support pad and angle marking is a method that automatically updates model information to hull structure design using sets of data that analyse the generated model in outfitting design processes. Therefore, this approach provides an efficient solution through design references without manual activities such as a reflection of hull structure design, cutting process, numerical control work, and dimension measurement and marking. The conversion of a method from the existing procedure based on manual marking to the reflective and automatic approach would have enabled to proceed installation work without manual activities for the measurement. Therefore, this research study proposes an efficient approach using pre-data analysis of model information interfaces between design and manufacturing phases to improve productivity during construction for shipbuilding.

도로면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작업 생산성 분석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oductivity Analysis of Automated Pavement Crack Sealing Machines)

  • 서원중;유현석;김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89-1298
    • /
    • 2014
  • 도로면 크랙실링 공법은 균열발생 초기에 도로면을 보수하여 균열의 확산을 예방하는 유지보수공법으로써 북미를 중심으로 한 선진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도로 보수 물량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재래식 크랙실링 공법은 작업 특성상 교통량이 많은 일반도로나 고속국도에서 작업이 수행되므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가열된 실런트를 도로면에 직접 분사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노무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 외국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ARMM, OCCSM, TTLS 등의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해 왔으며, 국내에서도 2004년 APCS 장비와 2013년 ACSTM 장비를 개발 완료한 바 있다. 그러나 다수의 연구기관에서 서로 상이한 시기에 개발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는 각기 다른 테스트베드 조건과 생산성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개발 장비의 작업 생산성을 측정, 표기함으로써 각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동일한 환경 조건 내에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완전자동 맵핑 및 반자동 맵핑 방식에 따른 각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이미지 프로세싱 소요시간을 추정하고, 작업 프로세스상의 동작요소별 이동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국내 도로환경이 반영된 생산성 측정 테스트베드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에서 개발된 크랙실링 자동화 장비의 생산성을 동일한 조건 내에서 측정하고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사업 포트폴리오의 기술시너지 효과 : 50대 재벌의 패널자료분석

  • 김태유;박경민
    • 기술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15-43
    • /
    • 1997
  • This paper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business portfolio properties (particularly technological properties) and chaebol's performance using data on the 50largest chaebols in Korea.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indexes to measure diversification such as entropy index, we calculated inter-industry technological similarity using R'||'&'||'D expenditure data by industry and 1990 Input-output Table in korea, and obtained chaebol-level technological relatedness and internal transaction proportion from chaebols' business profile, inter-inustry technological similarity and 1990 input-output table. We applied factor analysis on 13 business portfolio property indexes and showed that they could be grouped into 3 dimensions. diversification scope, inter-business relatedness and degree of vertical integration. In this paper, using 50 largest chaebols' financial data (1989-1994), we analyzed empirically the effect of business portfolio properties on ROS(Return On Sales) which is conventional index for firm performance and on TFP(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which is a pure measure of firm performance. To utilize the advantage of panel data, FEM(Fixed Effect Model) and REM(Random Effect Model) were used.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entropy index as a measurement of inter-business relatedness in not significant but technological relatedness index is significant. OLS estimates on pooled data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FEM or REM estimates on panel data. By introducing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three variables for business portfolio properties, we obtained three findings. First, only VI(Vertical integr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OS. Second, when using TFP growth as an dependent variable, both TR(Technological Relatedness) and VI are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dependent variable. Thir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R and VI is significant and negatively affects TFP growth, meaning that TR and VI are substitutes. These results suggest strategic directions on restructuring business portfolio. As VI is increased, chaebols will get more profit. A higher level of either TR or VI will increase TFP growth rate, but increase in both TR and VI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FP growth. To summarize, certain business portfolio properties such as VI and TR can be considered "resources" themselves since they can affect profit rate and productivity growth. VI and TR have a synergy effect of change in profit rate and productivity growth. VI increases ROS and productivity growth, while TR increases productivity growth representing a technological synergy effect.t.

  • PDF

동태적 역량을 고려한 2단계 성과측정시스템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Two-Stag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Considering Dynamic Capabilities)

  • 권순만;한창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5-73
    • /
    • 2018
  • The dynamic capabilities of sensing market signals, creating new opportunities and reconfiguring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new opportunities in a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enterprise to create added value and survival. This study conceptualized a two-stage performance measurement framework based on the casual model of resource (input)-process-performance (output). We have developed a 'Process capability index' that reflect the dynamic capabilities factors as a key intermediary product linking resource inputs and performance outputs in enterprise performance measurement.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consists of four elements : manpower (level of human resource), operation productivity, structure and risk management. The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was applied to the developed performance indicators to analyze the branch office performance of a telecom company. Process capability efficiency (stage 1) uses resource inputs to reach a certain level of process capabilities. In performance result efficiency (stage 2), the process capabilities are used to generate sales revenues and subscribers. The two-stage DEA model derives intermediate output values that optimize the individual stages simultaneously. Some branch offices in the telecom company have focused on process capability efficiency or some other branch offices focused on performance result efficiency. Positioning map using two-stage efficiency decomposition and benchmarking can help identify the sources of inefficiencies and visualize strategic directions for performance optimization. Applications of two-stage DEA in conjunction with the case study that are meaningfully used in performance measurement areas have been scarce. In particular, this paper has the contribution to present a new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considering the organization theory, the dynamic capabilities.

객체 지향 프로그램에서 클래스 재사용성 측정 모델링 (Modeling for Measurement of Class Reusability in Object-Oriented Programs)

  • 윤희환;구연설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80-588
    • /
    • 1999
  • The reuse of software components from existing software system enhances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decreases the cost of production in software development. The extraction of software components with high reusability from existing software system is very important in software reuse. The reuse of a class is classified into white-box reuse to reuse with modification and black-box reuse to reuse without modification. A class has the property of procedural language and object-oriented language. Therefore, it must measure re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wo properties. In black-box reuse, independence of class is important quality. It can quantify through information hiding, coupling between objects, cohesion, etc. In white-box reuse, modification is the best important quality. It can quality through class complexity, coupling, cohesion, documentation, etc. We propose a new model for measurement of class reusability and the measure criteria in object-oriented program. A class that is measured by proposed model can judge whether the reuse with modification has the advantage or the reuse without modification has the advantage.

  • PDF

기상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머시닝센터의 기하오차 모델링 및 오차측정 (Modeling and Measurement of Geometric Errors for Machining Center using On-Machine Measurement System)

  • 이재종;양민양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2호통권95호
    • /
    • pp.201-210
    • /
    • 1999
  • One of the major limitations of productivity and quality in metal cutting is the machining accuracy of machine tools. The machining accuracy is affected by geometric and thermal errors of the machine tools. Therefore, a key requirement for improving te machining accuracy and product quality is to reduce the geometric and thermal errors of machine tools. This study models geometric error for error analysis and develops on-machine measurement system by which the volumetric erors are measured. The geometric error is modeled using form shaping function(FSF) which is defined as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between form shaping motion of machine tool and machined surface. The constant terms included in the error model are found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of on-machine measurement system. The developed on-machine measurement system consists of the spherical ball artifact (SBA), the touch probe unit with a star type stylus, the thermal data logger and the personal computer. Experiments, performed with the developed measurement system, show that the system provides a high measuring accuracy, with repeatability of ${\pm}2{\mu}m$ in X, Y and Z dire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