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liability rul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Consumer Misperceptions, Product Liability Law and Product Safety

  • Lee Jong-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2호
    • /
    • pp.63-72
    • /
    • 2005
  • This paper considered the impact of changing the product liability rule from consumer to producer liability on product safety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has been attempted to remove several constraints on antecedent studi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under the misperception of the risk on a product, consumers may underestimate the probability of product failure. In this case, the accident rate can be lowered under the producer's liability rule. However, even under the asymmetric information, a consumer's estimation on the probability may be converged with the expected risk level, which could be called the 'rational expectation.' In this situation the probability of product failure can be lowered under the strict liability with contributory negligence.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product failure when a legal rule that imposes liability on cheapest cost avoider is admitted.

판례를 통해 본 중국의 제조물책임주체 (The Defendants in Chinese Product Liability Cases)

  • 이시환
    • 무역상무연구
    • /
    • 제37권
    • /
    • pp.35-59
    • /
    • 2008
  • In most products liability cases, the only or principal defendant is the manufacturer that designed, manufactured, and marketed the product which injured the plaintiff. In this regards, most national laws and international convention stipulates the definition of the producer. But there is no rule about the definition of the producer in China. Yet parties in the product distribution chain other than ordinary manufacturers, notably retail seller, often profit from moving products from factories to consumers and so may bear some responsibility when product hazards injure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the "producer", "seller" who is responsible for products liability claims in China. This paper will contributes to help the Korean exporters, manufacturers to build up the proper countermeasures regarding products liability in China.

  • PDF

제품사용설명서의 작성원칙이 소비자의 제품사고예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Writing Rules of Product User Guide on Consumer Accident Prevention)

  • 서준혁;배성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509-52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writing rules of the product user guide affect consumers' understanding of products and the prevention of product accidents. Methods: We surveyed consumers to see how the writing rules of the product user guide help consumers to understand products and prevent product accidents. Results: We derived the importance, necessity, usability, and readability of the principle of making product manuals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Usability is the writing rule of the product user guide that the consumer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product use and the product accid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ke product user guide so that consumers can understand the function and safety of products by using video and various image media. Also, It is the obligation to explain all stages of the product and to communicate through the product user guide how to prevent the product accident step by step.

형법상 제조물책임과 인과관계의 확정 (Product Liability and Causation in Criminal Law)

  • 이석배
    • 의료법학
    • /
    • 제17권2호
    • /
    • pp.3-28
    • /
    • 2016
  • 민사법에서 제조물 책임이 전문용어로 정착된 반면, 형사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전문용어는 없다. 민사법에서 제조물책임과 달리 형사책임에서는 개개인의 책임성과 규범질서의 장애가 중요하다. 즉 구체적인 개개인의 의무위반행위가 그리고 제조물이 법익위태화 또는 법익침해라는 결과를 야기했다는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형법에서 제조물 책임은 일반 거동범을 제외하고는 상해죄 또는 과실치상죄, 살인죄 또는 과실치사죄가 주로 문제가 된다. 물론 결과발생과 관련된 행위가 작위인지 부작위인지 구별되어야 하고, 그 행위와 결과사이에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하며, 고의 혹은 과실도 인정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독일, 스페인 등에서 실제로 문제가 되었던 판례들을 분석하여 인과관계의 확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특히 제조물과 관련된 형사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핵심문제인 인과관계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인과관계의 검토단계를 자연과학적 인과법칙과 규범적 인과관계로 나누어 2단계로 검토하는 견해를 따랐다. 이 절차에 따른 제조물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인과관계의 입증은 우선 그 제조물의 특정물질이 결과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일반적인 위험성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전제로만 구체적인 사안에서 인과관계의 검토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일부 판례와 학설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일반적 인과관계 자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유심증에 의해 구체적 인과관계를 확정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 인과법칙에 반하는 것이 아니며, 법관의 심증을 경험법칙보다 우위에 놓은 것도 아니므로 구체적 인과관계의 인정이 가능하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이 글은 구체적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위한 전제인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의심없는 인과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법관은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in dubio pro reo)" 원칙에 따라 무죄를 선고해야 하며, 사실상 입증책임의 전환의 효과가 있는 자유심증이라는 방식으로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사실에 대한 부담을 피고인이 지도록 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법관의 임무는 인과관계가 100% 확실하다는 데 대한 합리적 의심이 없어야 한다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추정하는 것이지만, 일반적 인과관계가 100% 확실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미의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