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Review

검색결과 1,588건 처리시간 0.035초

The Effect of Review Behavior on the Reviewer's Valence in Online Retailing

  • Oh, Yun-Ky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1-50
    • /
    • 2017
  • Purpose - Online product review has become a crucial part of the online retailer's market performance for a wide range of product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an individual reviewer's review frequency and timing affect her/his average attitude toward produ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conduct reviewer-level analysis, this study uses 42,172 posted online review messages generated by 6,941 identified reviewers for 59 movies released in the South Korea from July 2015 to December 2015. This study adopts Tobit model specification to take into account the censored nature and the selection bias arising from the nature of J-shaped distribution of movie rating. Results - Our estimation results support that the negative impact of review frequency and timing on valence. Furthermore, review timing has an inverted-U relationship with the user's average valence and enhance the negative effect of review frequency. Conclusions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growing literature on the understanding how eWOM is generated at the individual consumer level. On the basis of the main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building a recommendation system in online retail store based on the consumer's review history data - frequency, timing, and valence.

평점이 수렴되지 않는 리뷰의 제품들이 더 좋을 수도 있을까?: 제품 리뷰평점의 분산과 소비자의 조절초점 성향에 따른 소비자 태도 변화 (Could a Product with Diverged Reviews Ratings Be Better?: The Change of Consumer Attitude Depending on the Converged vs. Diverged Review Ratings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

  • 이은주;박도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3호
    • /
    • pp.273-293
    • /
    • 2021
  •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온라인 시장의 규모가 급속하게 커졌다. 일상에서의 비대면화는그동안 기술수용에 늦은 소비자마저 온라인구매의 편리함을 경험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들은 팬데믹 이후에도 온라인구매의 이점을 선호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소비자가 취할 수 있는 제품 정보는 편평한 디스플레이상의 시각적 정보만으로 축소되었다. 회사들은 차별적이고 경쟁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AR/VR, Streaming 기술 등을 도입하고 있지만, 정직한 사용자들이 남긴 리뷰는 회사가 제공하는 잘 가공된 정보만큼 소비자에게 강력하게 인식되고, 회사의 상품개발과 마케팅 및 판매 전략을 위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인식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서, 구매 의사결정 전에 참고하는 리뷰의 평점이 크게 어긋난다면, 소비자들은 어떻게 리뷰정보를 처리할까? 수렴되지 않은 평점은 늘 신뢰할 수 없고 가치 없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개인 성향으로 볼 수 있는 조절초점 성향이 어떻게 사고방식을 지배하여 수렴되지 않은 정보를 수용하고 처리하는지 보이고자 하였다. 실험은 화장품을 대상으로 제품 리뷰 평점의 분산(높음 vs 낮음)이 소비자의 조절초점(예방초점 vs. 향상초점)에 따라 제품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x2 연구로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예방초점의 소비자는 분산이 작을 때 높은 제품 태도를 보이지만, 향상초점의 소비자는 분산이 클 때 높은 제품 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로, 본 논문은 동일한 평균값의 평가점수를 가진 제품이라도 후기의 분산 값에 따라 소비자의 조절초점 성향이 영향을 미쳐 제품 태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평점이 수렴되지 않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처리의 메커니즘을 밝힌 이론적 공헌이 있으며, 실무적으로 기업은 리뷰가 축적됨에 따라 개인화되고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등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식경영을 응용한 고객경험설계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사용자 리뷰 분석을 통한 제품 요구품질 도출 방법론 (Methodology for Deriving Required Quality of Product Using Analysis of Customer Reviews)

  • 유예린;변정은;배국진;서수민;김윤하;김남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2호
    • /
    • pp.1-18
    • /
    • 2023
  • Recently, as technology development has accelerated and product life cycles have been shortened, it is necessary to derive key product features from customers in the R&D planning and evaluation stage. More companies want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consumer-tailored products based 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achieve this, the need to correctly grasp the required quality, which is a requirement of consumers, is increasing. However, the existing methods are centered on suppliers or domain experts, so there is a gap from the actual perspective of consumers. In other words, product attributes were defined by suppliers or field experts, but this may not consider consumers' actual perspective. Accordingly, the demand for deriving the product's main attributes through reviews containing consumers' perspectives has recently increased. Therefore, we propose a review data analysis-based required quality methodology containing customer requirements. Specifically, a pre-training language model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Korean reviews was established, consumer intent was correctly identified, and key contents were extracted from the review through a combination of KeyBERT and topic modeling to derive the required quality for each product. RevBERT, a Korean review domain-specific pre-training language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further pre-training. By comparing the existing pre-training language model KcBERT, we confirmed that RevBERT had a deeper understanding of customer reviews. In addition, all processes other than that of selecting the required quality were linked to the automation process, resulting in the automation of deriving the required quality based on data.

Oriental medicine mangifera indica

  • Rai, Sujay;Basak, Souvik;Mukherjee, Kakali;Saha, BP;Mukherjee, Pulok 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1-10
    • /
    • 2007
  • Mangifera indica Linn. (MI) (Family: Anacardiaceae) is commonly known worldwide as mango and ‘Aam’ in India. MI shares an important place in treatment of several diseases in various ancient system of medicine like Ayurveda and other Indian System of Medicine and some other Traditional Medicines world wide. Almost all the parts of MI have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so in this review attempt has being made to review the history, traditional uses, phytoconstituents 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mango.

Determinants of Online Review Helpfulness for Korean Skincare Products in Online Retailing

  • OH, Yun-Ky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10호
    • /
    • pp.65-7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o review contents of experiential and utilitarian products (e.g., skincare products) and how to affect review helpfulness by apply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s 69,633 online reviews generated for the products registered at Amazon.com by 13 Korean cosmetic firms. The authors identify key topics that emerge about consumers' use of skincare products such as skin type and skin trouble, by applying bigram analysis. The review content variables are included in the review helpfulness model, including other important determinants. Results: The estimation results support the positive effect of review extremity and content on the helpfulness. In particular, the reviewer's skin type information was recognized as highly useful when presented together as a basis for high-rated reviews. Moreover, the content related to skin issues positively affects review helpfulness. Conclusio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treme reviews and helpfulness of reviews challenges the findings from prior literature. This result implies that an in-depth study of the effect of product types on review helpfulness is needed. Furthermore, a positive effect of review content on helpfulness suggests that applying big data analytics can provide meaningful customer insights in the online retail industry.

긍정/부정 비대칭도를 이용한 소수상품평의 검색 (Retrieving Minority Product Reviews Using Positive/Negative Skewness)

  • 조희련;이종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3호
    • /
    • pp.121-128
    • /
    • 2015
  • 소수 의견을 포함하는 온라인 상품평은 긍정 또는 부정 일변도인 상품평에서는 찾기 어려운 유익한 정보를 내포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상품평 집합 속에서 소수상품평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개별 상품평을 먼저 긍정/부정 상품평으로 자동분류한 뒤, 주어진 상품평 집합의 긍정/부정 상품평의 비대칭도를 계산하여 소수상품평을 검색한다. 소수상품평 검색에서는 긍정/부정 자동분류 성능이 소수상품평 검색성능에 영향을 주는데,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에 특화된 감성사전과 그렇지 않은 일반적인 감성사전을 가지고 상품평을 긍정/부정으로 감성분류한 뒤 비대칭도를 계산하여 소수상품평 검색성능을 비교한다. 스마트폰과 영화를 다룬 온라인 영문 상품평에 대하여 도메인에 특화된 감성사전을 가지고 소수상품평 검색성능을 평가한 결과, F1점수는 각각 24.6%와 15.9%였고, 정확도는 각각 56.8%와 46.8%였다. 이는 스마트폰과 영화의 개별 상품평 긍정/부정 분류 정확도가 각각 85.3%와 78.8%일 때의 성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또 긍정/부정 자동분류 성능이 주어졌을 때의 이론적인 소수상품평 검색성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Helpfulness of Online Reviews: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Price)

  • 백현미;안중호;하상욱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3-112
    • /
    • 2011
  • 최근 온라인 쇼핑 활동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들은 온라인상에서의 제품에 대한 리뷰를 합리적인 구매 결정을 내리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많은 양의 온라인 리뷰 중 그들의 구매 결정에 유익하게 활용될 리뷰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교화 가능성 이론(elaboration likelihood model)을 바탕으로, 유익한 온라인 소비자 리뷰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에 따라 유익한 리뷰를 결정짓는 요인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분석을 위해 아마존 닷컴의 75,226개의 온라인 소비자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고, 리뷰 메시지의 감정어 분석 (sentimental analysis)을 통해 메시지 내용에 대한 정량변수도 확보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리뷰 점수, 리뷰어에 대한 랭킹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적 단서(peripheral cues)와 리뷰 메시지의 단어 수, 부정어 비율의 중심적 단서(central cues) 모두 리뷰의 유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가격 제품과 저가격 제품에서 유익한 리뷰를 결정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중립도 기반 선택적 단어 제거를 통한 유용 리뷰 분류 정확도 향상 방안 (Increasing Accuracy of Classifying Useful Reviews by Removing Neutral Terms)

  • 이민식;이홍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3호
    • /
    • pp.129-142
    • /
    • 2016
  •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들의 구매 의사결정에 판매 제품을 이미 구매하여 사용한 고객의 리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고객들이 제품 리뷰를 남기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구매고객들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 한 제품에 대한 고객 리뷰가 너무 많아져서 구매하려는 제품의 모든 리뷰를 읽고 제품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 되었다. 전자상거래 업체들과 연구자들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리뷰들 중에서 유용한 리뷰들의 속성을 파악하거나 유용한 리뷰와 유용하지 않은 리뷰를 미리 분류하는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고객들에게 유용한 리뷰를 필터링하여 전달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서-단어 매트릭스에서 단어의 제거 기준으로 온라인 고객 리뷰가 유용한 지, 그렇지 않은지를 구분하는 문제에서 단어들이 유용 리뷰 집합과 유용하지 않은 리뷰집합에 중복하여 등장하는 정도를 측정한 중립도를 제시한다. 제시한 중립도를 희소성과 함께 분석에 활용하여 제거할 단어를 선정한 후에 각 분류 알고리즘의 성과를 비교하였다. 최적의 성과를 보이는 중립도를 찾았으며, 희소성과 중립도에 따라 단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실험은 Amazon.com의 'Cellphones & Accessories', 'Movies & TV program', 'Automotive', 'CDs & Vinyl', 'Clothing, Shoes & Jewelry' 제품 분야 고객 리뷰와 사용자들의 리뷰에 대한 평가를 활용하였다. 전체 득표의 수가 4개 이상인 리뷰 중에서 제품 카테고리 별로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1,500개의 리뷰와 유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1,500개의 리뷰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데이터 집합에 따라 정확도 개선 정도가 상이하며, F-measure 기준으로는 두 알고리즘에서 모두 희소성과 중립도에 기반하여 단어를 제거하는 방안이 더 성과가 높았다. 하지만 Information Gain 알고리즘에서는 Recall 기준으로는 5개 제품 카테고리 데이터에서 언제나 희소성만을 기준으로 단어를 제거하는 방안의 성과가 높았으며, SVM에서는 전체 단어를 활용하는 방안이 Precision 기준으로 성과가 더 높았다. 따라서, 활용하는 알고리즘과 분석 목적에 따라서 단어 제거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항공기 체계 설계 검토용 가상목업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Virtual Mockup System(ViMS) for a System Design Review of Aircraft)

  • 김천영;박영근;김문열;김성래;류태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7-104
    • /
    • 2007
  •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n integrated aircraft development environment which can support virtual design and development for Systems Engineering and IPPD(Integrated Product and Process Development). We have also proposed the ViMS(Virtual Mockup System) which can perform a system design review on an integrated aircraft development environment. The ViMS is an integrated virtual design support system with immersive design review functionality to make a virtual mockup instead of a physical mockup through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functionality of the ViMS consists design data management, design technology, design verification, and design assessment. We have described the detailed development artifact, case studies and conclusions of using the ViMS functionality.

토픽 모델링에 기반한 온라인 상품 평점 예측을 위한 온라인 사용 후기 분석 (Online Reviews Analysis for Prediction of Product Ratings based on Topic Modeling)

  • 박상현;문현실;김재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3-125
    • /
    • 2017
  • Customers have been affected by others' opinions when they make a purchas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people are sharing their experiences such as reviews or ratings through online or social network services, However, although ratings are intuitive information for others, many reviews include only texts without ratings. Also, because of huge amount of reviews, customers and companies can't read all of them so they are hard to evaluate to a product without rating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to predict ratings based on reviews for a product. In a methodology, we first estimate the topic-review matrix using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echnic which is widely used in topic modeling. Next, we predict ratings based on the topic-review matrix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hich is based on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Through experiments with actual reviews, we find that our methodology can predict ratings based on customers' reviews. And our methodology performs better with reviews which include certain opinions. As a result, our study can be used for customers and companies that want to know exactly a product with ratings. Moreover, we hope that our study leads to the implementation of future studies that combine machine learning and topic 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