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ymidon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8초

Benzimidazole계 및 N-phenylcarbamate계 살균제에 다중 저항성인 잿빛곰팡이병균의 발생 (Occurrence of Multiple Resistant Isolates of Botrytis cinerea to Benzimidazole and N-phenylcarbamate Fungicides)

  • 김병섭;임태현;박은우;조광연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6-150
    • /
    • 1995
  • 1994년, 1995년에 주요 채소 작물에서 분리한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방제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1994년 분리된 713균주 중 610균주(85.6%)가 benzimidazole계에 저항성(Ben\ulcorner)이었고, 249균주(34.9%)는 dicarboximide계 살균제에 저항성(Pro\ulcorner)이었으며, benzimidazole계 및 N-phenyl carbamate계 두약제 모두에 저항성인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다. 1995년에는 현재까지 520균주를 분리하였는데, 그중 Ben\ulcorner이 317균주(61%)이며 Pro\ulcorner은 214균주(41.2%)이었고, Ben\ulcorner이며 NPC\ulcorner인 균주(Ben\ulcorner+NPC\ulcorner)는 15균주(2.9%)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항성 균주의 최소 억제 농도는 carbendazim 1,000 $\mu\textrm{g}$/ml 이상, diethofencarb 1,000 $\mu\textrm{g}$/ml 이상이었다. 또 Ben\ulcorner+NPC\ulcorner인 15균주 중 3균주는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procymidone에도 저항성이었으며, 한 균주를 제외한 모든 Pro\ulcorner 균주는 Ben\ulcorner로 나타났다.

  • PDF

Prochloraz에 저항성인 잿빛곰팡이균(Botrytis cinerea)의 유기 및 이들 균의 생물학적 특성 (Induction of Prochloraz-Resistant Isolates of Botrytis cinerea in Vitro and Their Biological Properties)

  • 김병섭;박은우;박정헌;노성환;조광연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26-230
    • /
    • 1996
  • 1994~1995년 사이에 대전, 공주, 논산, 부여와 김해 등지에서 채집한 병든 딸기, 토마토, 오이에서 총 1,504 균주의 잿빛곰팡이병균을 분리하여 10 $\mu\textrm{g}$/ml의 약제를 넣은 PDA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약제반응을 조사한 결과, benomyl에 대하여는 1,147(76.3%)균주, procymidone에 대하여는 614(40.8%)균주, prochloraz에 대하여는 189(12.6%)균주가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UV 처리 및 약제 배지에서의 누대배양을 통하여 prochloraz저항성 균주를 선발하였는데, 이들의 생육 억제 최소 농도(MIC)는 8 $\mu\textrm{g}$/ml 이상이었고, 감수성균의 MIC는 2 $\mu\textrm{g}$/ml 이하였다. 병원력, 포자 발아율, 균핵형성과 같은 적응력과 관련된 생물학적 특성 비교에서 저항성 균주들은 감수성 균주보다 열등하거나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 PDF

Compatibility of Entomopathogenic fungus Lecanicillium attenuatum and Pesticides to control Cotton Aphid, Aphis gossypii

  • Kim, Jeong-Jun;Kim, Kyu-C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143-146
    • /
    • 2007
  • Concerns of entomopathogenic fungi as alternative pest control agents are increasing even though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as the main control agents for pests and diseases in crop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influence of fungicides and insecticides on an isolate of Lecanicillium attenuatum that was reported to have the pathogenicity against cotton aphid, because fungicides and/or insecticides can apply with mycopesticides simultaneous, before and/or after. Fungicides fenbuconazole+thiram and propineb inhibited the spore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L. attenuatum CS625; dimethomorph and procymidone did not affect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 insecticide abamectin, deltamethrin, imidachropride, and spinosad had no detrimental effects on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areful selection of pesticides and fungicides can be applied to the integrated pest and disease control with microbial pesticide.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Pesticide Residue Survey and Estimate Intake Amount of Vegetables in Noeun Wholesale Market, Daejeon)

  • 한국탁;이규승;이은경;이용재;고광용;원동준;이정원;권순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0-214
    • /
    • 2003
  •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6종의 채소류 중 농약잔류량을 조사한 후 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00건의 분석시료 중 농약이 검출된 시료의 비율은 46.0%이었고, 잔류허용기준 초과비율은 6.0% 이었다. 검출비율이 높은 시료는 상추(85.0%), 깻잎(80.0%), 오이(60.0%) 순이었고, 상추 3건, 깻잎 3건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제는 dicarboximide계, 유기염소계, azole계 농약, 살충제는 유기인계, 합성 pyrethroid계 농약이 많이 검출되었다. 검출빈도가 높은 성분은 procymidone, chlorpyrifos, chlorothalonil, cypermethrin, EPN의 순이었다.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농작물에 대한 농약의 추정 섭취량과 ADI를 비교한 결괴 허용기준을 초과한 깻잎의 bitertanol, triflumizole, iprobenphos가 다른 성분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각 농산물의 식이섭취량이 적어 ADI에 대한 추정섭취량의 비율이 0.46% 이하로 나타나 그 영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유통 약용식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Medicinal Plants)

  • 안지운;전영환;황정인;김정민;석다롱;이은향;이성은;정덕화;김장억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8
    • /
    • 2013
  • 약용식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2012년 전국 9개 도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인삼과 도라지에 대하여 전체 112점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22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및 HPLC-UVD를 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12점의 시료에서 7종의 농약이 검출되어 10.7% 검출률을 보였다. 농약 성분별 검출 빈도는 procymidone, kresoxim-methyl, endosulfan, cypermethrin, tralomethrin, tetraconazole, chlorfluazuron 순이었다. 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2점으로 1.8% 검출률을 보였으며, 도라지 1점에서 tetraconazole, 인삼 1점에서 cypermethrin이 검출되었다. 해당 작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품목고시 되어 있지 않은 시료는 10점에서 5종의 농약이 검출되어 8.9% 검출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농약이 해당 약용 식물의 섭취로 인체에 유입될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 섭취추정량은 최저 0.006%에서 최고 0.333%로 낮은 %ADI 값을 보여 인체 위해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006~2008년 부산지역 농산물도매시장 경매 전 농산물의 잔류농약 조사 (Pesticide Residues Survey on Agricultural Products before Auction at Whole Market in Busan Area during 2006~2008)

  • 권순목;박은희;강정미;조현철;진성현;유평종;류병순;정기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6-94
    • /
    • 2010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부산지역 농산물도매시장으로 유입되는 경매 전 농산물 7,237건에 대해 다종농약다성분법으로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1,164건 (16.1%)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231건 (3.2%)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기준초과된 농산물은 대부분 해당 농산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잠정기준을 적용받는 경우로서 기준초과된 231건 중 181건으로 78.4%가 이에 해당한다. 농약성분별로 endosulfan, procymidone, chlorothalonil, ethoprophos, chlorpyrifos, diethofencarb, kresoxim-methyl, EPN 순으로 잔류허용기준이 초과되었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1,164건의 농산물 중 211건에서 두 종류 이상 농약이 검출되었고 이 중 37.9%에 해당되는 80건이 기준초과되었다. 본 연구에서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요인은 해당 농산물에 대한 미적용 농약의 사용, 두 종류 이상의 농약사용으로 나타났다.

인천광역시 유통 농산물의 최근 3년간의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조사 (A Survey on the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Markets in Incheon Area from 2010 to 2012)

  • 김혜영;이수연;김철기;최은정;이은주;조남규;이제만;김용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9
    • /
    • 2013
  •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인천광역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총 16,025 건에 대한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한 결과 부적합률은 1.2%, 0.8%, 0.7%로 약간의 감소 추세를 보였다. 최근 3년간 부적합이 이력이 높은 농약은 endosulfan, chlorpyrifos, diazinon, lufenuron, chlorothalonil, flutolanil, procymidone, ethoprophos 순이었으며, 전체농산물 중 엽채류가 75% 이상을 차지하였고, 엽채류 중에서 취나물, 들깻잎, 쑥갓이 전체의 35%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경기, 인천, 충남, 전남에서 생산된 농산물에서 부적합 빈도가 높으나 지역별 출하 농산물의 검사건수 대비 부적합률은 모두 1% 내외로 큰 차이는 없었다. 특히 인천의 경우, 농산물의 부적합률이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적합이 자주 발생하는 10 종의 농약 모두에서 1인1일 농약섭취량 대비 1일 추정섭취량은 무와 파를 제외하고 3% 미만으로 인체에 대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Ulocladium atrum을 이용한 백합 잎마름병 및 오이 잿빛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otrytis Leaf Blight of Lily and Botrytis Gray Mold of Cucumber by Ulocladium atrum)

  • 이남영;권은미;김진철;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19-323
    • /
    • 2004
  • 본 연구는 부생성 균류인 Ulocladium atrum을 이용하여 Botrytis spp.에 의한 백합 잎마름병 및 오이 잿빛곰팡이병의 방제효과를 조사하고 그 작용특성을 규명함으로서 U. atrum의 생물학적 방제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토마토 잎의 표면과 조직 속에서 분리한 Ulocladium sp. CNU 9037과 CNU 9054 균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U. atrum로 동정되었으며 이것이 U. atrum의 국내 최초의 보고이다. 토마토 및 오이의 고사된 잎을 이용하여 U. atrum의 Botrytis spp. 포자형성억제력을 실내검정으로 조사하였던 바, U. atrum은 고사된 잎 절편에서 Botrytis의 포자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Botrytis의 포자형성억제력은 U. atrum을 Botrytis보다 먼저 처리했을 경우 효과가 높았다. 백합 잎마름병 방제를 위한 포장(온실)실험 결과 U. atrum CNU 9037 균주의 포자현탁액 처리는 백합 잎마름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방제가는 70%, 77%로 procymidone 약제 처리구의 방제가(58%)보다 우수하였다. U. atrum(CNU 9037, CNU 9054) 포자현탁액처리는 오이 잿빛곰팡이병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방제가는 66${\sim}$71%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U. atrum 균주가 오이, 백합의 Botrytis병의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얼갈이 배추와 열무에 엽면 살포된 농약의 김치 제조 및 김치냉장고 저장에 의한 변화 (Change of Pesticide Residues In Field-sprayed Young Chinese Cabbages and Young Radishes During Kimchi Preparation and Storage in Kimchi Fridge)

  • 권혜영;손경애;김택겸;홍수명;조남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1-227
    • /
    • 2014
  • 얼갈이 배추와 열무를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여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농약을 살포하고(얼갈이배추: diazinon EC, dimethomorph WP, imidacloprid WP, 열무: diazinon EC, imidacloprid WP, procymidone WP) 수확한 후 김치로 제조하고 67일 동안 $-1.8^{\circ}C$의 김치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잔류농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얼갈이 배추의 김치 담금 및 저장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율을 살펴보면 절임 및 세척시 31~52%, 양념 첨가시 57~74%, 상온에서 14시간 숙성시 61~76%, 김치냉장고 저장 39일차에 70~82%의 제거율을 보였고 이후로는 변화가 없었다. 열무의 경우 양념 첨가시 57~85%, 상온에서 17시간 숙성시 59~86%, 김치냉장고 저장에 11일째에 74~91%의 잔류농약이 제거된 이후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절임과 세척 과정이 저장기간 동안의 발효 과정보다 더 효과적으로 농약을 제거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