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atic Behavior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5초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 여대생의 음주관련 지식, 음주거절 자기효능,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Reducing Alcohol Program on Drinking related Knowledge, Drinking Outcome Expectancy and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of Women College Students)

  • 박경;최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64-373
    • /
    • 2015
  • 본 연구는 음주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이 음주관련지식, 음주결과기대 및 문제음주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음주여대생과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음주예방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WHO의 문제음주 절단점 기준인 AUDIT 8점 이상인 실험군 22명, 대조군 24명 총 46명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주관련지식(F=14.33, p<.001)은 더 높았고, 음주결과기대(F=18.28, p<.001)와 문제음주행위(F=5.57, p=.003)는 더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자기효능증진 절주프로그램은 음주 여대생 뿐만 아니라 캠퍼스 내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절주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들의 우울 및 자살관련 행태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s with smartphone use among Korean adolescents)

  • 강민정;이명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47-158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suicidal behaviors with smartphone use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Youth Health and Life Skills Survey' in 2013. The survey was based on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915 grade 7th and 8th students at four middle schools in Gangdong-gu, Seoul, Korea in 2013 to evaluate the effects of 'Youth Health and Life Skills' program.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s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experience rate, and smartphone use behaviors were measured with average hours of smartphone use a day and overindulged behaviors in smartphone use by using 5-point Likert scales.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s with smartphone use behaviors by using t-test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21.5% of respondents have ever felt depressed or hopeless to lose interest in school life almost everyday for 2 weeks or longer in the past year. The experience rate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 and suicidal attempt were 21.1%, 6.1%, and 5.7%, respectively. The mean of average hours of smartphone use a day was 3.9 hours, and the mean score of overindulged behaviors in smartphone use was 2.99.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s were more likely to have more smartphone using time and higher scores of overindulged behaviors in smartphne use than those who have not.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for preventing addictive or problematic smartphone use behaviors among adolescents we should consider and develop more positive strategies for the moderate use of smartphone than regulatory measures, which include the implementation of skill-based health education program including life skills at 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s useful for resolving mental stress and promoting mental health.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행동 군집유형과 영향요인 (Health related behavior pattern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조원섭;유승현;김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7-31
    • /
    • 2015
  •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health related behaviors patterns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and discusses their application to health promotion strategie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7,591 immigrant wives in Gyeonggi province who participated in health examinations conducted by the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in 2011-2013.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sociodemographic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factor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Results: A 3-latent-class model of health behaviors was identified related to 'lack of physical activity', 'abnormal diet', and 'not experienced medical check-up': 'high risk class', 'middle risk class', and 'low risk class'. Most of the participants belong to 'middle risk class'. Country of origin, age, length of stay, number of children, work status, health insurance status, and unmet health care needs were associated with problematic health behaviors in middle risk health behavior class. Conclusions: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family members need to consider the health behavior patterns of physical inactivity, abnormal diet and no medical check-up and develop multiple behavior intervention with pre-existing program modification.

시간관리 프로그램의 적용이 문제음주 대학생들의 음주습관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Time Management Program on Drinking-Habit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 With Problematic Drinking)

  • 박영주;김유석;박수정;박지연;방지현;송지원;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7-66
    • /
    • 2015
  • 목적 : 시간관리 프로그램의 적용이 문제음주 대학생들의 음주습관 개선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제음주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 사전-사후 검사로 진행되었다. 두 집단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나눈 후 실험군은 주 2회, 5주간 총 10회기 동안 시간관리 프로그램 중재를 받았고 대조군은 중재를 받지 않았다. 연구도구로 음주습관 개선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중재 후 두 집단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한국형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집단 내 중재 전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한국형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와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한국형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시간관리 프로그램은 문제음주 대학생의 음주습관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활동 참여, 정서,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Participation in Activities, Emotions, and Problem Behaviors of Elderly with Dementia Residing in Nursing Homes)

  • 고인순;강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5-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활동 참여, 정서, 문제행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관찰조사연구이며, 치매노인 81명을 대상으로 활동참여 여부와 정서, 문제행동을 각 대상자 당 20분 간격으로 1일 12회 4시간 관찰 측정하여 총 7일간 6,804회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인지기능은 중증이 90.1%이었다. 정서는 7점 만점 중 4.0점이었다. 활동 참여는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등의 목적 없는 활동을 대부분 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활동을 할 때 대상자의 정서는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은 반복적인 행동과 소음발생 행동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시간대별 문제행동 유형의 발생빈도는 다소 달랐다. 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정서, 문제행동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따라서 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활동참여를 높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보이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시간대별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을 낮추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의 경향 및 유아 문제행동의 일반적 특성 (Problematic Behaviors in Preschool: A Socio-Demographic Analysis)

  • 고인숙;이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33-4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The aim was to acquire basic information that could be used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target of this study were 823 preschoolers, the reporting on which was conducted through the responses of 81 teachers. Analysis consisted of partitioning behavioral problems by demographic variables in order to ascertain differences by age, sex, and cut-off score of the high risk group. Overall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offer a foundation for diagnosis, intervention, and therapy for preschoolers with problem behaviors.

빈곤과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종단 분석 (A Pane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 구인회;박현선;정익중;김광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57-79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에 이르는 3개년에 걸쳐 종단적으로 관찰된 빈곤경험이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동의 빈곤경험을 지속빈곤, 일시빈곤, 비빈곤으로 나눠 발달산물을 비교한 결과, 학업성취에서 빈곤아동과 비빈곤아동 사이의 격차가 두드러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빈곤경험과 발달궤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에서는 비빈곤아동은 시간이 갈수록 성취수준이 향상되는 긍정적 변화방향을 보이나 빈곤아동은 성취수준이 낮아지는 부정적인 변화방향을 보였다. 또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비행의 발달궤적 변화에서는 빈곤아동은 비빈곤아동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아동의 개인적, 가족적 특성을 통제한 결과 빈곤의 영향은 학업성취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PDF

부모의 양육행동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 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5-12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321 children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index,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index.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t-test, one-way ANOVA(Dunca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children's gender, income, mother a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arenting behavior, warmth acceptance and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s, and to the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It was also found that children's gender, family income, warmth acceptance behavior, permissiveness nonintervention behavior, ope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Implica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children' multiple intelligence, parents should be warmer and more accepting and have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운전 상황에서의 개인특성과 생활스트레스가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ri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Life Stress on Traffic Fafety)

  • 이수란 ;정은경 ;권재영 ;손영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3호
    • /
    • pp.305-320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일반 성격특성과 위험운전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것과 달리, 운전상황에서 특정적으로 나타나는 개인의 특성(운전분노, A형 운전행동)이 교통안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생활스트레스가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고려하여 일반성격(자극추구성향, A형 성격유형, 법규위반성향)과 생활스트레스, 교통안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사업용 운전자 1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사고관련 자료(교통안전도지수)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운전분노와 A형 운전행동 등 운전 상황에서의 개인특성은 일반성격을 통제하고도 유의하게 사고위험(교통안전도지수)을 예측하였으며, 생활스트레스는 일반 성격특성과 교통안전도지수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을 예측할 때, 일반성격 뿐만 아니라 운전 상황에서의 특성 및 생활스트레스 수준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 밖에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연구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 PDF

사회상황이야기와 동작활동을 결합한 사회기술훈련이 ADHD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Combined with Social Stories and Movement Activities on Children with ADHD)

  • 박영아;장세희
    • 아동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5-14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combined with social stories and movement activities designed to change the 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ADHD. Six first-grade children with ADHD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15 sessions over 2 months. Our results indicated that:(1)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were reduced after the training. Anxiety was reduc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Depression, delinquency, and hyperactivity were also reduced, but these did not reac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2)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improved after the training.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 were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operation was also improved, but it did not reac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3) Children's social behaviors became more prosocial afte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program. Children were also found to be able to express positive feeling more often, recognize social rules, and explain their ideas regarding friend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