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iotic mixtur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열매 추출물의 Lactobacillus plantarum 젖산발효를 통한 고농도 GABA 함유 발효음료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everage fortified with high content of gamma-amino butyric aci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 이효선;권순영;이승욱;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6-334
    • /
    • 2016
  • 오미자 열매를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를 강화시킨 오미자 젖산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오미자 열매 추출액을 젖산 발효시킨 경우 발효 2일 동안 생균수 $4.0{\times}10^7CFU/mL$수준을 유지하면서 젖산균 증식이 미비하였지만 영양성분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경우 50배 정도 증가된 $2.2{\times}10^9CFU/mL$생균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젖산발효 3일 동안에 대조군, MSG, YE를 각각 첨가군에서 초기 pH 3-4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반면에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발효물은 pH가 증가되면서 pH 5.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산도 1.74%에서 발효 3일에 0.56%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오미자 열매 추출물인 대조군과 2% MSG 또는 0.5% YE만을 첨가한 조건에서는 GABA로 소량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MSG와 YE를 함께 첨가한 경우 젖산발효 1일째부터 GABA가 생성되면서 3일째에는 MSG 2%를 거의 소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PLC 정량분석으로 0.92% GABA 생성이 확인되었다. MSG와 YE함께 첨가한 발효조건에서는 젖산발효 1일째부터 발효물은 붉은 색이 퇴색되면서 황색으로 변화하였으며, 발효 초기에 적색을 나타내는 a값이 15.74에서 발효 후에 5.39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 맛, 향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관능평가에서 오미자 착즙 원액과 발효물 100%인 실험군에서 점수가 각각 4.50, 4.33을 기록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에 발효물 50% 첨가한 실험군이 6.33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 점수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매 추출액에 오미자 발효물을 50% 첨가함으로서 기호성이 우수하며 고농도 GABA와 probiotic을 함유한 오미자 발효음료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Effect of Green Tea Probiotics on th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Pigs

  • Ko, S.Y.;Yang, C.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339-1347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een tea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pigs, an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green tea probiotics for antibiotics in diets of finishing pigs. This green tea probiotics is made by mixing green tea powder and excipients (defatted rice bran and wheat bran) and fermenting the mixture with beneficial bacteria. A total of 90 crossbreed "Landrace$\times$Yorkshire" finishing pig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72.5{\pm}2.5kg$ were assigned to 5 dietary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ach treatment had 3 replications with 6 pigs per replication. The five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antibiotic (0.003% chlortetracycline added) and 0.1, 0.5 and 1.0% of green tea probio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l body weight, daily weight gain, daily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the green tea probiotics and antibiotic treatments (p>0.05). Crude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0.1 and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groups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at content of the meat among the treatments. The TBA value of meat was significantly lowered with 0.5 and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s compared to that of controls and statistically similar to the antibiotic treatment after 3 weeks of storage (p<0.05). The growth of spleen cells stimulated with Con A (0.1 and $1.0{\mu}g/m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p<0.05). The growth of spleen cells stimulated with LPS (1.0, 3.0 and $10{\mu}g/m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0.5% green tea probiotics group compared to the antibiotic group (p<0.05). In Con A ($1.0{\mu}g/ml$) medium, IL-6 production of spleen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p<0.05). In LPS ($10.0{\mu}g/ml$) medium, TNF-${\alpha}$ production of spleen cell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p<0.05). Finally it can be summarized that addition of green tea probiotic has a positive effect similar to antibiotic and 0.5% is the suitable dietary supplementation dose for finishing pig production.

Kefir를 이용하여 다양한 Cancer 생성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 (Beneficial Effects of Kefir in Preventing and Treating Human Cancers)

  • 김동현;천정환;김현숙;이수경;김홍석;임진혁;송광영;강일병;김영지;정다나;박진형;장호석;서건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165-172
    • /
    • 2016
  • Kefir, originating from Caucasus, is an acidic, alcoholic fermented milk product with little acidic taste and a creamy consistency. It is recognized in having beneficial effects in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For example, Kefir has possesses a chemopreventative effect on carcinogenesis. There has recently been a strong focus on fermented milk foods containing a mixture of several functional organic substances and various probiotic microorganisms. Hence, the purpose of this review paper was to evaluate th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ects of kefir on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Some of we analyzed and summarized data-relating to the effects of kefir on cancer. The cacers that kefir has an effect on are as follows: colon cancer, breast cancer, leukemia, sarcoma, skin cancer, gastric cancer. This review suggests that (1) kefir could be associated with cancer prevention, (2) kefir has beneficial effects in cancer treatment, and (3) kefir has various bioactive components including peptides, polysaccharides and sphingolipids, which contribute tofor itsthese anti-cancer properties. Furthermore, furthermore,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as to get the scientific evidence of kefir's anticancer activity: (1) improved protective effectiveness in vivo (human subjects or animal model), (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arious bioactive components, and (3) mechanisms associated with beneficial effects.

지렁이 분변토 발효사료가 고품질 닭고기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earthworm cast feed o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chicken meat)

  • 고용균;김진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07-817
    • /
    • 2017
  • 본 연구는 Bacillus subtilis를 포함하는 3개의 균주를 지렁이 분변토에 접종하여 제조한 생균제인 분변토 발효사료가 육계의 사양성적 및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육계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대조구,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제조된 상업용 생균제 (CP) 0.2%, 분변토 발효사료 0.3% (FECF3), 분변토 발효사료 0.5% (FECF5)로 구분하였다. 평균 체중 증가량, 흉선, 비장, F낭의 무게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혈액 IgG 함량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증가하였다. 맹장 Lactobacillus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으나 Escherichia, Salmonella, Coliform bacteria 및 total aerobic bacteria는 FECF 처리구가 낮았다. 닭고기의 보수력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닭고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γ-Aminobutyric Acid 및 생균제 급여가 여름철 육용 종계의 계란 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γ-Aminobutyric Acid and Probiotics on the Egg Quality, Blood Parameter, Stress Level in Broiler Breeder)

  • 고유돈;김지헌;성하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47-253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름철에 육용 종계에게 γ-Amino-butyric(GABA)와 생균제를 급여하였을 때, 계란품질, 혈액 생화학 조성 및 corticostero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49주령의 육용 종계 총 72수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3 처리(대조구, GABA, 생균제)를 두었고, 시험구당 8반복으로 반복당 3수씩 완전임의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GABA와 생균제는 배합사료 내 각각 50 mg/kg과 0.1%의 농도로 급여하여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6주 후 육용 종계의 난중, 난백고 높이, Haugh units, 난황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모든 혈액 내 생화학 조성에서 GABA와 생균제 급여로 인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corticosterone 농도는 CON의 14.18 ng/mL에비하여 GABA는 8.02 ng/mL 그리고 생균제는 8.30 ng/mL으로 크게 감소하였다(P<0.05). 이와 같은 corticosterone 수준의 감소는 스트레스 완화와 상호작용적 반응을 일으킨 것이라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여름철 고온으로 인한 육용 종계 스트레스는 GABA 및 생균제 급여로 인하여 감소하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보다 더 다양한 세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