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abilistic Data Association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2초

A Comparative Review of Radiation-induced Cancer Risk Models

  • Lee, Seunghee;Kim, Juyoul;Han, Seokju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130-140
    • /
    • 2017
  • Background: With the need for a domestic level 3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Korea-specific code. Health effect assessments study radiation-induced impacts; in particular, long-term health effects are evaluated in terms of cancer ris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test cancer risk models developed by foreign organizations and to compare the methodology of how they were developed. This paper also provides sugges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cancer risk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A review of cancer risk models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latest models: the NUREG model (1993), the BEIR VII model (2006), the UNSCEAR model (2006), the ICRP 103 model (2007), and the U.S. EPA model (2011). The methodology of how each model was developed is explained, and the cancer sites, dose and dose rate effectiveness factor (DDREF) and mathematical models are also described in the sections presenting differences among the models. Results and Discussion: The NUREG model was developed by assuming that the risk was proportional to the risk coefficient and dose, while the BEIR VII, UNSCEAR, ICRP, and U.S. EPA models were derived from epidemiological data, principally from Japanese atomic bomb survivors. The risk coefficient does not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the values were calculated in terms of population-averaged cancer risk per unit dose. However, the models derived by epidemiological data are a function of sex, exposure age, and attained age of the exposed individual. Moreover, the methodologies can be used to apply the latest epidemiological data. Therefore, methodologies using epidemiological data should be considered first for developing a Korean cancer risk model, and the cancer sites and DDREF should also be determined based on Korea-specific studies.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Based Radioisotope Identifiers for Plastic Scintillation Detector

  • Jeon, Byoungil;Kim, Jongyul;Yu, Yonggyun;Moon, Myungkook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204-212
    • /
    • 2021
  • Background: Identification of radioisotopes for plastic scintillation detectors is challenging because their spectra have poor energy resolutions and lack photo peaks. To overcome this weakness,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radioisotope identification studie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however, the effect of data normalization on radioisotope identification has not been addressed yet. Furthermore, studies on machine learning-based radioisotope identifiers for plastic scintillation detectors are limited.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machine learning-based radioisotope identifiers were implemented, and their performances according to data normalization methods were compared. Eight classes of radioisotopes consisting of combinations of 22Na, 60Co, and 137Cs, and the background, were defined. The training set was generated by the random sampling technique based on 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s acquired by experiments and simulations, and test set was acquired by experiments. Support vector machine (SVM),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ere implemented as radioisotope identifiers with six data normalization methods, and trained using the generated training set. Results and Discussion: The implemented identifiers were evaluated by test sets acquired by experiments with and without gain shifts to confirm the robustness of the identifiers against the gain shift effect. Among the three machine learning-based radioisotope identifiers, prediction accuracy followed the order SVM > ANN > CNN, while the training time followed the order SVM > ANN > CNN. Conclusion: The prediction accuracy for the combined test sets was highest with the SVM. The CNN exhibited a minimum variation in prediction accuracy for each class, even though it had the lowest prediction accuracy for the combined test sets among three identifiers. The SVM exhibited the highest prediction accuracy for the combined test sets, and its training time was the shortest among three identifiers.

스킵리스트를 이용한 인터넷 토론 게시판 댓글 관리 (Using Skip Lists for Managing Replying Comments Posted on Internet Discussion Boards)

  • 이윤정;김은경;조환규;우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8-50
    • /
    • 2010
  • 최근 웹 블로그나 인터넷 게시판과 같은 가상 커뮤니티가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댓글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이용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실제로 댓글 활동이 활발한 인터넷 토론 게시판에서 수천 개의 댓글이 달린 게시물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웹 블로그나 인터넷 게시판에서는 댓글이 작성된 시간에 따라 목록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을 뿐 기본적인 검색 기능조차도 지원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의 댓글 분석을 통해 댓글 작성자의 분포가 거듭제곱 법칙을 따르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댓글의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는 스킵리스트 기반의 댓글 검색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주안점 댓글 작성자들의 확률적 특성을 데이터 구조에 반영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제안 방법이 B-트리나 일반적인 스킵리스트의 이론적인 계산 복잡도인 logN에 비해 더 빠른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인다.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사들의 과학적 설명: 논리적 형식과 담화적 특징 분석 (Scientific Explanations by Earth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nalyses of the Logical Forms and Discursive Features)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7-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교사들이 제공하는 과학적 설명을 논리적 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서로 다른 형식의 과학적 설명이 지니는 특징과 과학적 설명을 위한 담화 행위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03년과 2004년에 해외 단기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구과학 교사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총18차시에 해당하는 지구과학 수업 녹화 자료와 전사본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지구과학 수업에서는 연역-법칙적 설명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였고, 연역-법칙적 모형은 과학적 설명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과학 법칙이나 상위의 원리가 잘 정립된 문제에 알맞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지구과학의 후진적 추론 과제를 다루는 상황에서는 귀추적 설명이 제공되었고, 일기 속담이나 기상 이변과 같이 지구과학에 특징적인 대상을 설명할 때에는 각각 통계-확률적 모형과 통계-유관성 모형에 부합하는 설명이 활용되었다. 지구과학수업에서 과학적 설명은 주로 교사의 단독적인 발화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과학적 설명을 구성하기 위한 담화 행위에서 주로 소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가 과학 수업과 과학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점들을 논의하였다.

Rewards, Satisfaction and Economic Trends under Nonlinear Assumption

  • KHALID, Komal;SH OAIB, Adn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2호
    • /
    • pp.287-29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rewards on job satisfaction and whether economic trends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rewards or not.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ward is linear or nonlinear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diminishes or improves with predictor inclusion.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online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y adopting cluster sampling technique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Pakistan. Results based on 2160 responses suggest that economic trends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reward while assuming the economic trends as perceived rewards. The logit model was adopted to probabilistic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ward in moderation with economics trends. The moderations magnify the impact of rewards on job satisfaction. The job satisfaction is more sensitive to extrinsic reward as compared to intrinsic reward.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reward is nonlinear for both extrinsic and intrinsic reward suggesting the diminishing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rewards. This study has pivotal implication for the higher education sector as it helps the sector to align the rewards with economic and trends and can normalize the reward after assessing the nonlinear stricture of relationship.

The Impact of Foreign Ownership on Capital Structure: Empirical Evidence from Listed Firms in Vietnam

  • NGUYEN, Van Diep;DUONG, Quynh Ng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2호
    • /
    • pp.363-370
    • /
    • 2022
  • The study aims to probe the impact of foreign ownership on Vietnamese listed firms' capital structure. This study employs panel data of 288 non-financial firms listed on the Ho Chi Minh City stock exchange (HOSE) and Ha Noi stock exchange (HNX) in 2015-2019. In this research, we applied a Bayesian linear regression method to provide probabilistic explanations of the model uncertainty and effect of foreign ownership on the capital structure of non-financial listed enterprises in Vietnam. The findings of experimental analysis by Bayesian linear regression method through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technique combined with Gibbs sampler suggest that foreign ownership has substantial adverse effects on the firms' capital structure. Our findings also indicate that a firm's size, age, and growth opportunities all have a strong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its debt ratio. We found that the firms' profitability, tangible assets, and liquidity negatively and strongly affect firms' capital structure. Meanwhile, there is a low negative impact of dividends and inflation on the debt ratio. This research has ramifications for business managers since it improves a company's financial resources by developing a strong capital structure and considering foreign investment as a source of funding.

강우앙상블 예측자료의 공간적 특성 및 적용성 평가 (Appraisal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of the predicted ensemble rainfall data)

  • 이상협;성연정;김경탁;정영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1호
    • /
    • pp.1025-1037
    • /
    • 2020
  • 본 연구는 호우경보에 사용되는 Limited area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 강우예측자료에 대한 공간적 특성 및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LENS는 13개의 강우앙상블 멤버를 가지고 있어 호우경보를 발령하는데 있어 확률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LENS의 자료의 접근성은 매우 낮아 강우예측자료의 적용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구역별로 활용되는 호우경보 시스템에 따라 하나의 지점값과 면적평균값을 관측값과 비교하여 평가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LENS의 발령시간에 따르는 각 앙상블 멤버들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LENS는 멤버별로 과대 혹은 과소 예측의 불확실성을 보여줬다. 면적단위의 예측이 지점단위의 예측보다 더 높은 예측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다가오는 72시간의 강우를 예측하는 LENS 자료는 수재해의 영향성이 있을 수 있는 강우 사상에 대하여 예측성능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후 국지강우앙상블시스템(LENS) 자료는 행정구역 또는 유역면적 단위의 홍수 대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loSea5 모델의 자료처리 시스템 구축 및 시·공간적 재현성평가 (Data processing system and spatial-temporal reproducibility assessment of GloSea5 model)

  • 문수진;한수희;최광순;송정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9호
    • /
    • pp.761-771
    • /
    • 2016
  •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제공하는 전지구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5)자료를 활용하여 용담댐유역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GloSea5는 예측자료(Forecast; 이하 FCST)와 과거재현자료(Hindcast; 이하 HCST)로 제공되며 공간 수평해상도는 N216 ($0.83^{\circ}{\times}0.56^{\circ}$)으로 중위도에서 약 60km이다. 이를 유역단위 물관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 공간적인 상세화가 필요하므로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수행하여 변수가 갖는 계통적인 지역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HCST자료는 앙상블 형태로 주어지며 용담댐 유역의 앙상블 평균에 대한 6번 격자의 통계적인 상관성($R^2=0.60$, RMSE=88.92, NSE=0.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계절분석시 여름철의 경우 원시 GloSea5 강우량이 600.1mm로 관측값인 816.1mm 대비 -26.5%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상세화 후 GloSea5 강우량은 -3.1%의 오차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과소 모의된 결과가 여름철 홍수기에 해당되는 강우로 상세화 이후 강우가 회복되는 매우 중요한 결과를 보였다. 계절별 Moran's I 지수를 이용한 공간적 자기상관분석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냄으로써 자료의 불확실성을 개선하고 시 공간적인 정확도와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HCST기간에 대한 GloSea5의 앙상블 강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수문학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충분한 가능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시 공간적인 재현성에 대한 평가결과는 향후 유역단위 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분산 환경에서 경로 질의 기반 서브 그래프 탐색 기법 (Subgraph Searching Scheme Based on Path Queries in Distributed Environments)

  • 김민영;최도진;박재열;김연동;임종태;복경수;최한석;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41-151
    • /
    • 2019
  • 개체 간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그래프 데이터 형태의 네트워크가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술의 발달로 처리해야할 네트워크의 크기가 점점 커짐에 따라 하나의 서버에서 이를 처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분산 처리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그래프 데이터가 분산 저장되어있는 환경에서 서브 그래프 탐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분산 처리시스템을 제안한다. 불필요한 탐색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의 통계정보를 활용해 확률적인 스코어링을 통해 탐색 순서를 정한다. 그래프 네트워크의 정점과 차수의 관계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포적 특성을 갖는 그래프에 대해 다른 스코어링 방법을 통해 불필요한 탐색을 줄이기 위한 스코어를 계산하여 탐색 순서를 결정한다. 결정된 순서에 따라 그래프가 분산 저장된 서버에서 순차적으로 탐색한다. 성능평가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 기법과의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 기법보다 탐색 시간이 약 3~10% 향상됨을 보였다.

미계측 중소하천의 계획홍수량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the Design Flood of Ungauged Small River Basins)

  • 침순보;안보훈
    • 물과 미래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1976
  • 본 논문은 미 계측 중심하천의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을 산정 하는 수 문학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수위유량자료가 전무한 중소하천 유역의 지상학적 특성분석을 시행하여 제상관관계로부터 하천의 유출율을 결정하고 사용 가능한 인근 항우관측소로부터 빈도처리된 량량자료를 사용하므로서 합리식의 안전한 사용을 시도하였으며 유역특성이 비슷한 인근유역의 기 유도된 단위도의 관계식을 활용하므로서 첨두유량을 산정 상호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금강의 제2지유이며 유역면적 $192.2\textrm{km}^2$로써 유역의 종합개발을 위한 기초수문자료가 시급한 무심천을 선정하여 하천 소구간별로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과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여 인근유역인 미호천유역의 실측자료로 구한 첨두유출량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검정해 본 결과 상관계수 r=0.93을 나타내므로 계산한 계획홍수량의 실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