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house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8초

생활한옥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 전남지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Living-Hanok - Focused on Jeon-Nam Province -)

  • 이우원;강만호;주석중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8-34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planning of Living-Hanok which bases on inherited and developed traditional lifestyle in Jeon-Nam province. After that arranged the characteristic in order which was divided by 9 items such as pattern of developed Hanok, type of floor plan, structure, pattern of using inside space, number of bedroom, the exist of private bathroom in the each bedroom or not, number of bathroom, the exist of storage space in the house or not, style of entrance and the exist of Utility Room or not. Additional, there was interview with resident who have been lived in Living-Hanok since after completion due to investigate resident's concerning of the Hanok. As a result, the last goal of analyze and interview is to presentation of more developed planing factors for Living-Hanok.

  • PDF

3대 동거형 아파트의 입주후 실태분석 -상계지역의 경우-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Living in the Three Generation Sharing Apartment Houses -A Case of Sang-Gye Area-)

  • 신경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9-102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of living and housing needs of three generation family in the sharing apartment houses in Sang-Gye area. 1. General family type was one which is living with single parent (female), middle-aged couple and their children togeter. 2. Their main mobility to move in this houses was because of the special design of sharing apartment houses. 3. Most of actual dwelling activities of old parents and middle aged couple were performed in condition of space-integration except a few activities. 4. The "Space-compromise type" was proved as the most ideal type of three generation sharing house in our country. In which, private spaces (such as bed rooms and bath rooms) are planned to be used seperately, public spaces (such as living room and dining room) together. 5. It would be better if massionette type was taken in the case of more than 30 pyung (net area).net area).

  • PDF

주거환경을 생각한 주택단지 조성기법의 실태 -일본 소야원지구의 사례 연구- (Current Techniques for Residential Site Design -The Case of Onohara District, Japan-)

  • 김한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03-113
    • /
    • 2000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useful infonnation for residential site design in Korea by analyzing Japanese cas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esign techniques are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can be expressed as "eco-friendly" and "public order". The patterns of spatial use also focuses on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Second, variety replaces unity in internal mobility plans. For example the width of street, size of park are not same in a site boundary. Third, to avoid street parking and commodity exhibition, commercial buildings are set-back and public parking lot is constructed. Fourth, fences of private house are made of trees rather than bricks. It connects green environment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of houses.nal space of houses.

  • PDF

부유식 초대형 해상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법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Construction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 이한석;송화철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65-380
    • /
    • 1999
  • In this thesis the legal systems related to real estate and sea area utilization are studied in order to improve them for construction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Main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1) Whether can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be accepted or not as real estate like house and land\ulcorner 2) How can the sea area which is occupied by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be utilized\ulcorner As the conclusion, the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can be registered as real estate even though it is not specified by Korean law for the present. The design concept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can be interpreted as satisfying enough necessary conditions and factors for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to become real estate. In the near future, we have to make improvement on the laws rel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so that private sectors can joint the construction. In additions, a new law for various floating structures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 PDF

장수명 실증주택 인필 시공: 이론과 현실적 한계 (Long-Life Demonstration Housing Infill Construction : Theory and Practical Limits)

  • 김수암;양현정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9-9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and construction conditions based on theory for support (S) and infill (I) distinction and separation in long-life housing, and to search for future direction. To do this, the SI theory is summarized and the construction situation is examined in the demonstration house and the differences and limitations are analyzed. In order to realize SI separ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et the position of pipe shafts for sewage and drainage, buried in the structure and Ondol layer of the private pipes, buried various wires in the inner wall,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inner wall.

  • PDF

고령자 그룹홈의 운영과 거주자의 생활 실태 (A research on the management condition of group homes for the elderly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 김현진;임희경;안옥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2005
  • To investigate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of group homes for the elderly and their living environment, four group homes and 26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group home were surveyed. As the resul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dministrator and the elderly were acceptable, but the group homes seem suffer from insufficient administrative supports. The most required in the group homes was a conversational partner service. Moreover, the most satisfactory point for the elderly living in group homes was the settlement of food, clothing, and housing. The unsatisfactory things were the service related to medical, leisure, and house work and an invasion of their private life. The resident elderly in group homes were fully satisfied with their liv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anager and the people in the facility. They, however, do not have much chance to make an exchange with their neighbor. Overall, the elderly want to stay continuously in the group homes where they are living current.

  • PDF

일기(日記)를 이용한 조선중기 양반관료의 여행 연구 (Research on an aristocratic officer's travels in the mid Chosun Korea by analysing Yu Hee-chun's diary)

  • 정치영
    • 역사민속학
    • /
    • 제26호
    • /
    • pp.71-106
    • /
    • 2008
  • 이 연구는 유희춘(柳希春)이 쓴 생활일기인 "미암일기(眉巖日記)"를 자료로, 조선중기를 살았던 한 양반관료의 여행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희춘은 1567년 10월부터 1577년 5월까지 총 83개월 간 일기를 썼는데, 그 내용에서 추출한 26회의 여행기록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살펴보면, 유희춘의 여행은 그 목적에 따라 공무여행과 사적인 여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 16회에 걸친 공무여행은 전라감사로서 군현의 순시, 예조참판으로서의 능의 관리와 참배, 산제(山祭)의 봉행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희춘은 줄곧 관직에 있었기 때문에 사적인 여행이 쉽지 않았다. 사적인 여행은 모두 10회였는데, 조상 묘소의 성묘와 정비, 자신과 부인의 신병치료, 새로운 집의 건축 등을 위해 이루어졌으며, 모두 장기간에 걸친 장거리 여행이었다. 유희춘이 여행한 경로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오간 서울-담양 간의 여정에 '해남로'를 이용한 것을 비롯하여, 주로 국가가 관리하는 주요 간선도로를 이용하였다. 그 이유는 간선도로가 대개 직선루트로 이루어져 가장 빠른 길이기도 했지만, 그 보다는 길가 곳곳에 역(驛) 원(院)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중간에 말을 갈아타고 숙식하는 데 가장 편리하였기 때문이었다. 한편 유희춘은 전라감사로 근무하는 동안 전라도의 군현들을 4회에 걸쳐 시찰하였는데, 그 여정은 전라도 전 지역을 샅샅이 도는 노선으로 짜여졌다. 현직관료였던 유희춘은 임금으로부터 여행 허가를 받는 것으로 여행 준비를 시작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여행에 필요한 물품들을 준비하였는데, 교통수단인 말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다. 모든 여행 준비가 끝나면, 임금에게 '숙배(肅拜)'라는 작별인사를 드리고, 평소 알고 지내던 친지들과 '전별(餞別)' 행사를 가지고 길을 나섰다. 유희춘이 이용한 주된 교통수단은 말이었고, 여기에는 역마(驛馬), 쇄마(刷馬)(지방관아의 관용 말), 그리고 개인소유의 말이 모두 동원되었다. 그 밖에 전라감사로서의 순시에는 가마가 주로 이용되었다. 현직 관료였던 유희춘은 여행을 하면서 대부분 지방관아의 객사(客舍)에서 숙박하였다. 여정에 따라 객사에서의 숙박이 여의치 않을 때에는 역(驛)이나 친지의 집을 이용하였으며, 드물게 사찰에서 숙박한 사례도 있었다. 여행 중의 식사는 대개 지방관아에서 제공받았다. 유희춘의 여행 중의 활동은 여행 목적에 따라 상당히 달랐다. 먼저 사적인 여행은 조상들의 묘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묘소를 정비하는 일이 가장 주요한 활동이었으며, 경로 상에 있는 친지를 방문하였다. 전라감사로서의 공무여행 중의 활동은 규칙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 주요 내용은 군현의 공무 처리, 향교(鄕校) 방문 등이었으며, 중간에 틈을 내어 친지를 방문하거나 명승지를 둘러보았다.

가평 이천보(李天輔) 고가(古家)의 정원 현황과 원형 복원을 위한 제안 (A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the Garden and Restoration Proposal for the Original Garden of Yi Cheon-bo's Historic House in Gapyeong)

  • 노재현;최승희;장혜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118-135
    • /
    • 2020
  • 우리나라 사대부 민가 정원 중 그 형태는 물론 정원의 구조와 기능 등이 온전히 남아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이천보 고가(경기도문화재자료 제55호)는 명문가로서의 내력이나 장소성 그리고 잔존하는 건물과 자연문화재 등의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정원 유산으로 판단되지만, 현재는 사랑채를 제외하고는 그 진가를 찾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천보 고가를 비롯하여 경기 북부와 가평군 관내 민가 정원의 배치 양식 등을 문헌 연구, 현장 연구, 1954년 항공사진 비교 검토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천보 고가의 가치를 조명하고, 이천보 고가의 정원 원형을 추론하는 등 산림채와 정원 복원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원의 장소성이 그나마 잘 보존된 반계천 일대의 반계동문(磻溪洞門) 암각서와 반석암의 존재를 통해 외원의 영역과 경관상을 살피고 이천보 고가의 입지 및 풍수 형국 그리고 조망축을 해석하였다. 이와 함께 사랑채에 걸린 상고당(尙古堂), 반계정사(磻溪精舍) 그리고 옥경산방(玉聲山房) 3개의 편액을 통해 사랑채의 경관성과 용도 및 상징성을 추론하였다. 더불어 내원에 현존하거나 존재했던 수목에 대해서는 실측 조사를 병행한 결과, 연하리향나무(경기도기념물 제61호)는 안내판이나 문화재 정보 등의 실제 규격보다도 과소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 아니라 행랑채 전면에 잔존하는 향나무 또한 제원 조사 후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내원에 남아 있는 사랑채와 이전된 행랑채의 배치와 형태 그리고 사랑채 누마루와 지붕 측면부 합각 형태의 비대칭성 등을 통해 소실된 안채의 모습을 유추하였다. 또한 소실된 안채 및 사당 등의 복원을 통해 정원의 완전성을 추구할 목적으로 원래 모습을 추정한 결과, 안채는 사랑채 우측(북쪽)에 '구(口)자' 또는 '튼구(口)자'형태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이천보 고가에 대한 복원 대안을 제시하였다.

일본국(日本國) 경도(京都)의 정가(町家) 유형(類型) 연구(硏究) -신경정가(新京町家)의 "후끼누께" (취발(吹拔))를 통하여 본 "열림" 성향(性向)에 대하여- (THE OPEN-ORIENTED CHARACTERISTICS OF THE NEW TOWN HOUSE 'MACHIYA' IN KYOTO FROM ITS 'HUKI-NUKE' SPACE POINT OF VIEW)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5권1호
    • /
    • pp.50-72
    • /
    • 1996
  • The typical Japanese house has the characteristics of open dwellings to make them cool in the hot and humid summer. And then the traditional town house 'Machiya', being built very closely to each other and walled up both sides, it has taken the open-oriented characteristics i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open-oriented of traditional 'Machiya' has been succeeded to the new 'Machiya' in the latest. The new 'Machiya' shows the open-oriented, taking the ventilative 'Huki-nuke' space of traditional 'Machiya' as the new spatial formal elements, in the changes such as scale material space 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Huki-nuke' space are represented as follows ; 1. The facade of the traditional 'Machiya', which has taken on a semitransparent qualty, has been generally changed to the closing qualty except for the open parts of shop and garage. This facade of the new 'Machiya' has been taken to be in keeping with the existing town as much as possible. 2. A series of three rooms, composed of shop/living dining kitchen/room from the road, have been dispersed to every floors in a building with a very extensive scale. But this serial and linear type remains as the loosefit space, and the long dwellings of the upper stories are divided by type each dwelling unit. 3. 'Tori-niwa', which is a consecutive and penetrating space, connects the road with the rooms of dwelling and functions as the circulation of man thing energy, The new 'Machiya' changed to the multi-story, the corridor and the stair have been fumed up as the elements in the place of 'Tori-niwa' The 'Huki-nuke' space was locted in the hall, stairwell, living dining kitchen room, and so on. 4. The small court yard 'Tsubo-niwa' and back yard 'Ura-niwa' at the both ends of living spaces would be made a hole in a series of rooms and enclosed by the neighboring 'Machiya'. On the contrary the new 'Machiya' at present takes in the private and closing organization enclosing the innercourt. 5. The open-oriented ${\ulcorner}$In${\lrcorner}$ or ${\ulcorner}$Out${\lrcorner}$ is not brought out because of the delicate spatial formal configuration in the traditional 'Machiya'. But the open-oriented ${\ulcorner}$In${\lrcorner}$, all sides being closed by walls, is well brought out in the new 'Machiya'.

  • PDF

위기에 처한 대통령기록물관리, 문제의 인식과 해결을 위한 접근 방식 (Presidential Archives Management in Crisis - An Archival Approach to the Solutions -)

  • 이상민
    • 기록학연구
    • /
    • 제18호
    • /
    • pp.281-315
    • /
    • 2008
  • 이글에서는 노무현 전대통령의 "대통령기록물 유출" 사태에 대해 기록학적인 검토를 시도했다. 이번 사태에서 촉발된 주요 이슈를 기록학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대통령기록관리를 포함한 국가기록관리의 제도적인 개선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번 훼손된 국가기록관리의 원칙은 쉽게 회복될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결핍되어 있는 국가기록관리기관의 정치적 중립성은 국가기록 관리를 제대로 하기위한 필수적인 요소임이 새삼 강조되었다. 이번 대통령기록물 현안 문제에서 핵심적인 쟁점은 공공기록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제도화, 대통령기록물의 정의와 기록물 사본의 관리문제, 대통령기록물의 보호와 그 필요성, 대통령기록물과 국가기록관리기관의 책무,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전직 대통령의 접근권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쟁점을 외국에서의 대통령기록관리의 경험과 사례에 비추어 보았다. 그러나 각기 다른 역사적 문화적 정치제도적 맥락에서 수립된 외국의 제도를 단순비교하는 것을 지양하고, 현재 전세계의 아키비스트들이 지향하는 기록관리 원칙과 전문가 윤리강령에 따라 "국가기록관리 중요성의 인식제고"와 현행 "대통령기록관리의 제도적 개선"이라는 목적으로 제기된 쟁점을 검토했다. 대통령 기록물의 정의와 전자기록물의 사본의 법률적 위치를 본다면 대통령 전자기록물의 사본의 사적인 보유는 공공기록물관리의 원칙에는 어긋나지만 대통령에게 부여된 의 접근권 특권 관점에서 보면 불법이라 하기 어렵다. 다만 이러한 전자사본에 존재하는 개인정보와 비밀정보 등이 사적으로 관리되는 것은 국가기록관리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 대통령기록관리제도의 미비점을 찾아내고 개선을 도모해야지, 대통령기록물 보호의 핵심제도인 지정기록물제도와 대통령기록관리위원회의 기능을 약화시키거나 해체하면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