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child-care cente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 인성에 관한 인식 차이 - 기관유형, 경력을 중심으로 -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on Personality - Focusing on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ing Experiences -)

  • 박정빈;조미영;황은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9-16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in different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ing experiences. Methods: A cluster random sampling of 236 child care center directors in Seoul and Gyeonggi-do was taken. The participants answer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acute{e}$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ational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were rated higher than family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sonalities. Seco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ith more than of 16 years of experience were rated higher than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ith 6-10 years experience in regards to personality. Conclusion/Implications: Academic and educational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cultivate the person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 who has to perform various roles for young children, infants, parents, staff, and the community.

보육환경의 방향제시를 위한 야간 보육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A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in 24 Hours Child Care Centers)

  • 장상옥;안경온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47-55
    • /
    • 2003
  • This project, conducted in Korea, sought to investigat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24 hurs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suggest desirable perspective on it. For this study, documentary research, interviews and survey methods were used. Materials of the 24 hurs child care center were reviewed. The interviews and survey were conducted in 25 public and private centers in Seoul, Busan, Ulsan and Jinju. Caregivers were surveyed children's daily living and regarding the evalu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of kitchen, bathroom and restroom of the center. The result of the documentary review indicates that there need to be increased the number of the 24 hr child care centers with quality. Mostly, caregivers were satisfied with the physical indoor environment of the center. However, they wanted the sleeping room and bathroom with bathtub for 24 hurs caring children. This result would be helpful to create useful database for planning the 24 hrs child care center.

보육시설 급식소의 공동조리 요구도 조사 (Need Assessment for Central Food Production in Child Care Center Foodservices)

  • 곽동경;장미라;홍완수;이혜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4권2호
    • /
    • pp.225-234
    • /
    • 1998
  • Nutrition during childhood is essential for growth and maintenance of health. Good food habits developed during the childhood will contribute both to the healthy growth and the prevention of the degenerative disease of later life. Both parents and the providers in child care centers play an important role for children's good eating behavior. Therefore all child care programs should achieve recommended standards for meeting children's nutritional and educational needs in a safe, sanitary, and supportive environment to promote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nd assess the needs for a Central Production Unit by contacting the child care center' providers. This approach was achieved using a variety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l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needs for a Central Production Unit. An indepth face-to-face interview with structured-questionnaires was undertaken at 32 representative child-care centers in Seoul.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AS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ANOVA. The number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sectors were 11 respectively, followed by 10 licensed home day-care centers. Total average number of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was 54.3 $\pm$48.5. The foodservice productivity index in child-care centers was 4.8 minutes per meal for public child care centers, 6.0 for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9.8 for home child care centers. Home child care centers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productivity index which indicated inefficient foodservice practice. The important factors in group purchasing were menus(39.6%) or close distance(39.6%) > type of foodservice operation(32.8%) > total number of meals(19.9%) > food costs(16.2%) in order. Average score of the efficiency for central food production in child-care centers was 3.80 $\pm$0.84 out of 5.

  • PDF

어린이집 원장의 기관유형에 따른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A Comparison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regarding Parent Education)

  • 권이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21-330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기관유형에 따른 부모교육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충북, 세종, 전북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원장 147명이며 자료조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을 이용하였으며 원장의 인식과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ANOVA 및 사후검증으로는 Tukey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기관 유형에 따라 어린이집 원장의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모교육의 주제, 부모교육의 운영방법, 부모교육의 평가 영역에서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원장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교육/사교육 (Early Private Learning)

  • 우남희;김유미;신은수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249-265
    • /
    • 2009
  • In this study we overviewed the early private learning for children in Korea. For last 20 years the number of children who were involved in it increased and the starting age had been lowered. Now more than 90% of the children are exposed to it before going to school. Mean number of private lesson per child is between three to four (33.6%). 32.7% of preschoolers take more than 5 kinds of private lesson per week. Because of the frantic enthusiasm of the parents, most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are providing extra curricula in their programs. The main problem of the learning in Korea is that it does not run by government or universities with educational purposes but by commercial companies for profit.

  • PDF

여성의 유치원.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유형 분석 (Analysis of Women's selection Pattern on Kindergarten/Child Care Centers and Private Tutoring for Young Children)

  • 이경선;김주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64-47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유치원 보육시설 및 사교육 선택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자료(KLoWF)중에서, 만2세 이상 만6세 이하의 유아를 두고 있는 여성 1,8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아대상 교육기관은 크게 세 가지(유치원, 보육시설, 사교육)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관에 유아를 보내는 여성의 특성에 따른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아연령이 어릴수록 보육시설만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유치원만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 보육시설 및 사교육의 중복선택은, 만6세에서 유치원과 사교육 함께 이용하는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교육과 유치원, 보육시설을 병행하는 비율은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나, 사교육을 병행하는 비율이 유치원과 보육시설만 이용하는 비율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일자리유무와 일자리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가 제시되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사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 비교 (A Comparison of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Job Performing Abilities from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전윤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0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어린이집 운영추체별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교사 각 35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능력단위 12개 영역에 근거하여 추출된 45개의 하위 능력단위요소를 토대로 작성된 하위요소 230개를 문항으로 작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28명, 민간어린이집 교사 30명, 가정어린이집 교사 30명, 법인어린이집 교사 29명 총 117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가지 모든 직무수행능력단위에 있어 네 집단 간 중요도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12가지 직무수행능력단위에 대하여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중, "어린이집 운영방침 수립", "어린이집 활경구성", "보육활동운영", "영유아놀이지도", "신체 예술활동지도", "언어, 수 과학활동지도", "건강 안전 영양지도"의 일곱 가지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교사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국공립어린이집 교사와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법인어린이집 교사들과 가정어린이집 교사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교사들과 민간어린이집 교사들 간에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다섯 가지 직무능력단위인 "보육평가", "영유아발달지원", "가정 지역사회와의 협력", "보육운영관리", "보육연구"에 있어서는 법인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민간어린이집 교사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가지 하위 능력단위요소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유아기 프로그램 평가 연구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n Day Care Centers)

  • 이순형;이옥경
    • 아동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1-16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in day 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283 day care centers in Korea.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was evaluated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using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was moder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by type of day care center ;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programs in national and private centers was high than in family day care. Future directions were presented for quality day care.

  • PDF

한국 보육시설의 영아기 프로그램 운영 평가 (Evaluation of Infant/Toddler Programs in Korean Day Care Centers)

  • 이순형;이옥경
    • 아동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140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programs in 200 day care centers in Korea.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programs was evaluated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the programs was moder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programs by type of day care center, i. e.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programs in national and private day care centers was higher than in family day care. Future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quality day care.

  • PDF

어린이집에서의 아동학대와 아동권리 모니터링을 통한 해결방안 (Through Monitoring Solution Child Abuse and Children's Rights at Child Care Center)

  • 서진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5-66
    • /
    • 2013
  • 아동 학대는 아동의 생명을 좌우하고 평생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긴박하면서도 중요한 사안이다. 특히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경우,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학대에 취약하여 그 학대 후유증이 심각하며 심할 경우 아동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학대받은 아동의 억울함을 대변하고 도움을 청할 주체가 부재하기 때문에 아동학대는 늘 아이들의 안타까운 희생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보육시설종사자들은 아동학대는 더 이상 가정 내의 사적인 문제가 아니라 심각한 범죄라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고 신고의무자로서 학대조기발견 및 신고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 보육시설 종사자들이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며, 신고 이후 아동보호전문기관과 보육시설간의 협력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보육시설은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을 보호하는 아동안전망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