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brand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 제휴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소재 브랜딩을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s to the Alliance between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Focused on Ingredient Branding-)

  • 조성도;정강옥;박진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2호
    • /
    • pp.3-22
    • /
    • 2004
  •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는 경쟁관계로 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유통업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저품질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조업자 브랜드와 제품의 일치 정도가 중간일 때 소비자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에서 기능적 위험이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능적 위험이 높을 때는 소비자들이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의 높은 일치성의 경우에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능적 위험이 낮을 때는 중간정도 일치할 때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다.

  • PDF

유통업체와 제조업체 브랜드의 성공적 제휴 : 가격과 품질 민감성의 조절효과 (Successful Alliance Between Private and National Brands : The Moderating Effect of Price and Quality Sensitivity)

  • 박경도;박진용;전승은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4호
    • /
    • pp.109-125
    • /
    • 2007
  • 유통업체 브랜드는 가격경쟁력을 갖지만 품질은 제조업체 브랜드에 못 미친다고 인식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제조업체 브랜드와의 제휴가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통업체 입장에서 유통업체 브랜드가 제조업체 브랜드를 요소브랜드로 사용했을 때 제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통업체와 제조업체에 대한 태도의 효과를 확인하고 제휴 평가 시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와 품질 민감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통업체가 유통업체 브랜드의 성장을 위해 제조업체 브랜드를 요소브랜드로 사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인 브랜드 제휴가 가능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 PDF

독립 브랜드를 가진 제조업체의 유통업체 브랜드(Private Brand) 공급 전략 (Why Do Manufacturers Produce the Private Brand, Even if They Have Their Own National Brands?)

  • 송태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8
    • /
    • 2012
  • With the enormous growth and various applications of private brands, national brand manufacturers are confronted with a dilemmatic situation. That is, paradoxically, some manufacturers have come to produce private brands of retailers which are potential competitors to their own brands. This study reveals why manufacturers with their own brands let themselves do the consignment production of retailers' private brands although those private brands may become strong competitors of their own brands and then investigates the condition in which manufacturers may benefit from such consignment production. Through an analysis of a game theoretical model assuming a monopoly market, the present study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ovides new insights about consignment production of manufacturer with its own brand for retailer's private brand. First, such consignment production can play a role in mitigating the loss in the consignee manufacturer's own brand sales caused by the private brand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Second, the effectiveness of such role is affected by the quality of the private brand produced under consignment. In other word, only if the consignee manufacturer keeps the quality of the private brand low, the manufacturer can maintain the benefit from its own brand. In addition, a consigner retailer needs to consider the final objective of launching its private brand, when it chooses its consignee manufacturer of the brand. Finally, a manufacturer with its own brand may consider consignment production as not merely an unavoidable option compelled by a retailer's power but a reasonable strategic choice to reduce the risk from competition.

의류제품의 유통업자상표 선호에 대한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Customers' Proneness Model of Private Brand Apparel)

  • 권순기;고애란;오세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28-63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of private brands proneness form-ation considering the six private brands proneness-related variables simultaneously. Since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various areas, it serves as an integrative one. Data were collected via intercept surveys conducted at nine regional branches of two major department stores situated in Seoul. Participants(n=1,120),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women's private brand apparel,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during two weeks from March 15, 1999 to March 28, 1999. LISREL and SPSS PC+ were used to test the model and analyze its variables. The fitness of the model show the reasonable fit between all indices(RMSR=.036, GFI=.99, AGFI=.92, and NFI=.95). The proposed model supports all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Private brands proneness increases as perceived money value of products, familiarity, positive store image of private brands, and satisfaction of individuals' differentiated needs increase. Furthermore, perceived money value of products increase as perceived risk of private brand purchase and perceived quality variation between private brand products and manufacture's products decrease.

  • PDF

유통업체 PB상품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A Political Proposal for the Private Brand Activation)

  • 조혜정;이승창;류성민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3-128
    • /
    • 2012
  • 최근 유통업체 브랜드 즉, PB(private brand)의 시장점유율이 커지고 있다. PB의 매출 및 시장 점유율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관심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PB는 제조업체 브랜드 대비 20~30%의 높은 마진율등의 장점을 기반으로 대형 마트를 중심으로 매출 향상과 차별적인 마케팅을 위해 PB 브랜드 상품의 판매 비율을 높이려는 공격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에서도 PB상품의 영향력은 유통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통업체의 PB확대 방향은 중소유통업체 및 제조업체의 영업이익을 감소시키고, 기존의 제조업체 브랜드의 인지도 약화 등이 우려될 수 있다. 특히 제조업체 브랜드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유통업체에 PB상품을 납품하는 제조업체는 큰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PB상품에 대한 인식과 PB상품 현황조사를 통해 체계적인 분석을 실시한다. 소비자, 유통사, 제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PB 상품이 제조업체 및 중소업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힘의 불균형을 시정하고 보완하는 정부의 규제가 시급하다. 둘째, 상호동반성장 정책을 통해 PB상품을 활성화 시켜야한다. 셋째, 상표권등록 관리를 강화하여 유사상표 침해로 인한 피해사례를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PNB 상품 활성화를 통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상호성장을 도모해야할 것이다.

  • PDF

이미지 일치성 관점에서 본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의 선행 변수들 (Antecedents of Attitudes Toward Private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Image Congruence)

  • 이동대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8권1호
    • /
    • pp.21-46
    • /
    • 2003
  • 유통업체 브랜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이 진행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을 이미지 일치성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 즉, 유통업체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 점포와 유통업체 브랜드로 사용되는 제품군 간의 이미지 일치성, 점포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 등 세 가지 종류의 이미지 일치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하며 상호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 자신과 유통업체 브랜드 간의 이미지 일치성은 세 가지 이미지 일치성 중에서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와 제품군 간의 이미지 일치성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점포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이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가설과는 반대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해석도 제공되고 있다.

  • PDF

유통업자상표 의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Influential Factors on Customers Purchasing Intentions of Private Brand Apparel)

  • 박진용;권순기;오세조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4권2호
    • /
    • pp.59-74
    • /
    • 1999
  • Private bra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ulating the marketing strategies of fashion goods. Merchandisers of Korean department stores are now realizing that the effective marketing of private brands can increase customers store loyalty as well as store profitability. Thus, it is important to better understand customer's decision making processes underlying the purchase of private brand apparels. However, Little research had been undertaken to examine integrated factors influencing purchases of private brand apparel.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of purchasing intentions of private brand apparel.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1) perceived value, (2) familarity, (3) store image, (4) differenciated needs, (5) perceived risk, and (6) perceived quality variation of private brand. The proposed model supports all hypotheses presented in the paper. Purchase intentions of private brand increased as perceived money, familiarity, positive store image of private brands, and satisfaction of individuals differentiated needs increase. Furthermore, perceive value of private brand increased as perceived risk and quality variation of private brand increased.

  • PDF

소셜커머스와 브랜드 유형간의 이미지 일치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뢰와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 - (Effects of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fashion brand types on purchase intention - Moderating effects of trust and price sensitivity -)

  • 박현용;최형우;이현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2호
    • /
    • pp.81-9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fashion brand types affects purchase intention and how trust and price sensitivity moderate this relationship. National brands, private brands, and non-brands were used as brand types in the present study. The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to gather the data, and 232 data samp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Consumers perceived greater image congruity between social commerce and non-brands, followed by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The significant perception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mean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non-brands on purchase intention. However, in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for image congruity between social commerce and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In addition, trust and price sensitivity positively predicted social commerce purchase intention.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rust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non-brands. A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image congruity of social commerce and private brand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social commerce concerning implementing diverse fashion brands as well 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mpact of the Expansion of Private Brands on Korean Retail and Manufacturing

  • LEE, JINKOO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2호
    • /
    • pp.1-21
    • /
    • 2018
  • The private brands (PB) of corporate retailers are booming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rise of PB on Korean retail and manufacturing. By utilizing both store-level data and firm-level data, I find that the expansion of PB elevates the profits of corporate retailers bu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and in some cases even reduces, those of subcontracting manufacturers. This occurs not only because sales of national brands (NB) decline due to the launch of similar PBs but also because the imbalance in the bargaining positions of the two parties has caused retail margins to be set high while manufacturers' operating profits are set low. The paper provides policy recommendations for fair contracts and cooperative development between retail and manufacturing companies.

점포이미지가 유통업체상표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전국유통업체와 지역유통업체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tore Image on Private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s - Comparison of National Distributors with Local Distributors in Pusan -)

  • 신종국;공혜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49-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유통업체상표이미지, 구매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해보는 건으로 부산지역의 전국유통업체와 지역유통업체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점포이미지가 유통업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점포별 점포이미지가 유통업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점포이미지와 유통업체상표이미지가 유통업체상표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유통업체상표이미지에 있어 점포이미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점포별로 점포이미지가 유통업체상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포이미지와 유통업체상표이미지가 유통업체상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으며 점포이미지의 영향보다는 유통업체상표이미지의 영향이 구매의도에 더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통업체는 점포이미지의 개선을 통해 유통업상표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점포속성들중에서 특정요소를 부각시킴으로써 유통업체상표를 관리할 필요성을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