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Green Spac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공개공지 조성지침 시대별 특징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for Ameliorating Design Guidelines to Vitaliz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POPS))

  • 김도연;최윤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105-116
    • /
    • 2018
  • POPS(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 that vitalize the city by private sectors providing open-spaces to the public. It holds great significances and possibilities within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which lack open-space and green-space. Despite of its importance, a large number of problems such as deficient accessibility for the public and being unpractical from constructing only with formality occur in existing POPS. POPS should be for both owners and public because it is a public space located within a private estate. To vitalize POPS, functions like "diversity",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and "usability" are essential. Providing diverse types of spaces makes dynamic city, and the spaces must have easy access by public and variety of functions. Managements by diverse types of POPS are necessary to improve availability and to provides suitable spaces. To make diverse types of POPS, advanced classifications of type and clear criteria are required. From aspect of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firstly detailed instructions for the arrangement are necessary for reinforcement. Specific research on means of connection such as how many faces of POPS should adjoin streets and in which direction it should be facing should be applied. Purposes of POPS must be specified depending on the type of POPS. By connecting adjacent buildings with POPS, one of the main principal of vitalizing POPS, inflow of peopl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improvements of design guidelines in "diversity",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and "usability" can be suggested to vitalize POPS. With these concerns in mind, this paper analyzes problems of current Seoul POPS guidelines with three aspects.

그린빌딩화를 통한 청사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사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 제 1, 2청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s awareness for Workable Environment Improvement of Public Building by Green Building Renovation - Focus on the 1st & 2nd Building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오창훈;김태일;양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62-171
    • /
    • 2010
  •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he sustainable architectural concept, "green buildings,"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the concept has not yet been converted to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y. The leading role of public sector has been socially and economically influential in the nation, hence green public buildings are significant to stimulate the spread of green buildings in the nation. This study is to draw an appropriate method of implementing the green building concept to the two mai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ased on the plan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it is also to provide long-term directions of implementing policies and reference for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to utilize the green building concept. Its research methodology was the survey method. A total of 142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government employees of the two buildings. It accounts for 20% of the total number of 711 workers of the buil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have a positive evaluurned toward the introduction of green buildings due to their expecturned for the possible i the buildingstheir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showed more interest in space planning with natural ventilation than automatic systems regarding applied methods for green buildings.

일본 민설공원 제도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of Private Development Parks in Japan)

  • 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9-128
    • /
    • 2016
  • 민간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특례제도가 도입된 이후, 보다 매력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기 위하여 법률 개정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공원의 취지에는 적극 찬성하지만 공익성을 강조해야 하는 공원에서 과연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바탕으로, 민간공원의 정책모델이었던 일본의 민설공원제도의 배경과 함께 입지, 조성, 관리의 기준이 책정된 근거와 특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민설공원은 녹지 네트워크 구축과 방재 기능에 유효하도록 입지와 공간계획이 이루어졌으며, 최소면적은 약 1.42ha였다. 공원과 같은 공간의 최소 면적인 1ha는 방재성과 실현가능성, 사회적 수용가능성을 감안한 수치였으며, 건축 부문은 제2종 중고층 주거전용지역의 기준과 지역 거버넌스와의 협의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용적율 100%, 건폐율 30%, 최고높이 11층 등 허용한도의 최저 수준으로 건설되었다. 관리비는 월 300엔/$m^2$을 기준으로 35년간 소요되는 비용을 사업자가 일괄 납부하였으나 과다한 관리비가 수반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시가 비용을 지출하여 민관이 함께 관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한편 입지, 허용용도, 도입시설의 한계로 매력적인 수익시설 도입이 어려우며 관리주체와 비용부담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민간공원에 대해서는 도시공원 조성의 우선순위를 선정한 후 민간공원의 적정입지를 선정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수준의 입지, 조성, 관리 기준 정립 등의 개선과제를 제안하였다.

주거환경을 생각한 주택단지 조성기법의 실태 -일본 소야원지구의 사례 연구- (Current Techniques for Residential Site Design -The Case of Onohara District, Japan-)

  • 김한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03-113
    • /
    • 2000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useful infonnation for residential site design in Korea by analyzing Japanese cas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esign techniques are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can be expressed as "eco-friendly" and "public order". The patterns of spatial use also focuses on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Second, variety replaces unity in internal mobility plans. For example the width of street, size of park are not same in a site boundary. Third, to avoid street parking and commodity exhibition, commercial buildings are set-back and public parking lot is constructed. Fourth, fences of private house are made of trees rather than bricks. It connects green environment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of houses.nal space of houses.

  • PDF

영국의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UK Park and Green Space Policies for Inclusive Urban Regeneration)

  • 김정화;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8-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계획과 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내 도시공원의 조성 현황 예산 법률 제도를 검토하고, 도시공원의 포용성 수준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 1인당 공원 면적과 녹지율과 같은 공급자 중심의 지표를 지니는 도시공원 제도는 양적 확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둘째, 도시공원의 분포는 불균등하고, 공원녹지의 질적 수준은 취약계층 거주지일수록 낮다. 다음으로 영국 중앙정부와 런던, 에든버러, 카디프, 벨파스트, 리버풀 등 다섯 개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와 포용성 확대를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수립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밝혔다.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포용적 사회 건설의 필요성에 대한 정부의 인식, 물리적 재개발에서 사회경제적 재생으로 도시재생정책 방향의 변화, 공원녹지와 불평등 건강 웰빙의 상호관계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정책 수립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영국 국토계획의 목표에 포용적 사회 만들기가 반영되었으며, 여러 지방정부의 공원녹지 정책에 박탈 지역과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공원녹지 공급과 질적 개선 전략이 포함되었다. 또한 공원 결핍 분석 도구와 공원의 질적 평가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와 함께 각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별도의 기금 마련과 매칭 펀드 활용과 같은 다양한 재원 프로그램, 그리고 정부 조직 간 협업 기구 설립과 민간 조직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성화와 같은 파트너십 구축 방안이 마련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원녹지의 불평등과 포용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 수행, 공원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전략 개발, 정책 필요 지역 분석도구 개발,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사업 유형 개발, 다양한 파트너십 구축과 지원제도 마련 등, 다섯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개발제한구역의 친환경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내셔널트러스트의 도입방안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Trust Approach for the Environmental-friendl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Greenbelts in Korea)

  • 김선희;차미숙
    • 환경정책연구
    • /
    • 제5권4호
    • /
    • pp.85-105
    • /
    • 2006
  • 우리나라는 도시의 무분별한 확산방지와 도시주변의 자연환경 보전 및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 확보를 위해 1971년 개발제한구역을 지정하여 엄격한 개발행위 제한조치를 취해 왔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 내 토지소유자의 재산권 요구 증대와 체계적인 관리대책 미흡 등으로 1990년대 후반 개발제한구역제도는 획기적인 전환을 겪었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해제 및 구역조정작업을 거치면서, 개발제한구역제도는 구역경계의 불변성 원칙이 붕괴되었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은 향후 도시주변의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도시녹지지대(greenbelt) 및 도시민에게 개방적이고 친환경적인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로써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보전과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개발제한구역의 친환경적인 보전 및 관리의 기본방향과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유용한 정책대안으로서 내셔널트러스트 방식의 도입가능성과 제도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개발제한구역의 친환경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내셔널트러스트의 도입방안 검토에서는 내셔널트러스트의 원리 및 구성요소와 개발제한구역의 친환경적 관리 패러다임과의 연관성, 개발제한구역 트러스트의 설립유형 및 운영방식, 개발제한 구역 트러스트의 대상지 선정기준, 그리고 법제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생집단의 도시 공원녹지에 대한 의식에 관한 연구 -대구시 달성공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Values for Urban Green Space in terms of University Students -The Case of Talsong Park in Taegu-)

  • 김수봉;김정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83-888
    • /
    • 199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basic guidelines for the urban park development policy in Taegu. Th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essay on <private inquiry of urban park in Taegu>. Talsong Park, the most popular site for the students' essay,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focused on the general images of the park, negative images of the park and aspirations and demands for the park in relation with Talsong Park redevelopment policy. The research of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renovation of Talsong Park from zoo-oriented park to the historic & cultural park status. The other main suggestion was consideration of public participation from the planning stage for the betterment of park management.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local people was stressed in order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f environment for the solution of our common environmental problems in relation with Local Agenda 21.

  • PDF

대지의 조경 제도에 대한 관련 주체의 인식 비교 분석 (Recognition of Stakeholders Regarding Building-Related Landscape Systems)

  • 김용국;이상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9-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주, 공무원,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통해 대지의 조경 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 모두 도시녹지 확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사적재산권을 제한하더라도 공공 편익을 위해 녹지를 확보해야 한다는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대지의 조경 제도에 대한 관심 수준 역시 보통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건축주 집단을 포함해 설문 응답자들은 현재보다 대지의 조경 면적 기준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많은 지자체에서 건축조례 개정을 통해 대지의 조경 면적 기준을 완화하는 것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대다수의 지자체는 대지의 조경 업무를 추진할 수 있는 조직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 조경 설계 및 유지 관리 전문분야 공무원을 신규 채용하거나, 관련 부서와의 협의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건축주들은 조경에 관심은 있지만 구체적인 관리 방법을 알지 못해 조경 공간을 방치하고 있다. 지자체는 건축주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건축물 조경 설계 및 시공방법을 안내하고, 수목 등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조경 공간 관리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건축물 조경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대지의 조경의 효과 검증과 공감대 확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차원에서는 도시재생사업 등과 연계해 건축주들이 조경 공간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우수 조경 설치 사례를 시범사업 등을 통해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방식 연구 (A Study of Urban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 김용국;한소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83-97
    • /
    • 2011
  • 본 연구는 도입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실태 분석결과를 성숙단계에 있는 다양한 국외사례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계획과정(민 관 파트너십 형성${\rightarrow}$공원조성${\rightarrow}$공원 운영 관리) 속에서 비교분석(Gap Analysis)함으로써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전개방향과 파트너 십 활성화를 위한 단서를 찾는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내외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를 비교분석 결과, 앞으로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전개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겠다. 첫째, 지금까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가 지자체 중심의 단일 또는 소수 파트너가 주도해 조성 관리했다면 앞으로는 도시공원의 유형별로 효율적인 다 부문간의 파트너십(Multi-Sector Partnership)을 형성해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공원은 공익이 우선 시 되는 공간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민 관 부문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반영시켜야 하겠다. 둘째, 도시공원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만들어져 가는 공공 공간이다. 따라서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사례분석 결과, 민 관 파트너십의 개념이 도시공원의 조성과정에 적용되는데 치우쳐 있다는 것은 도시공원의 양적 확충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공원이 지역사회 내에서 공공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결국 공원의 조성과정뿐 아니라 이후 운영 관리 과정에서의 민 관 파트너십이 요구된다. 셋째,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관리가 효과적이고 지속적이기 위해서는 결국 지역사회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겠다. 지역사회의 참여는 도시공원의 가치에 대한 민 관 부문 모두의 의식 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그린트러스트와 같은 비영리단체가 민 관 파트너십을 통해 크고 작은 도시공원을 조성 및 관리하면서 성공사례들이 축척 될 필요가 있겠다.

한.중 대학생의 주거관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Viewpoi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안옥희;조영미;학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21-129
    • /
    • 2009
  • Today, we are living while interchanging with various countries in multilateral measures and residential culture have been changed while interchanging in the same manner. In order to become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er in this environment, we must understand the housing viewpoint of residents in that country first.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obtain the useful material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of Korea and China by comparing the housing viewpoint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Korean students. A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05 Korean students and 193 Chinese students (Chinese race) from Y University on a random sampling basis. The result of survey is as follows. First, as bo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a similar tendency on previous house type, current house type, and desired house typ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y are similar each other in the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house type. Second,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and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residence, bu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more functions of residence than Korean students. And,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consider a living room as the most important space among housing spaces, but Chinese consider a private room more importantly than Korean. Thir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stronger desire to possess houses, and desire to purchase houses with larger and more rooms at earlier time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urth, when selecting the hous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give a higher consideration in terms such as , , , , and than Korean university students. Fifth,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students on current houses was average as a whole, and most Chines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houses. Sixth, as both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consideration in the items such as safety>, , , , , , , , , , and compar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thought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ose items in housing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