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y index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4초

딥러닝을 이용한 도로 문제점의 심각도 판단기법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Development of a Severity Level Decision Making Process of Road Problems and Its Application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 전우훈;양인철;이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535-54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심각도에 따라 구분하고, 이미지 객체검출을 통해 도로관리자의 우선처리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도로불편신고 플랫폼인 척척앱의 신고내용을 이용하여 구분하였고, 각 문제점들의 심각도 가중치를 도로위험도 분석에서 사용되는 EPDO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정립된 방법론의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해 실제 척척앱에서 추출된 이미지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실제 이미지 테스트를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다. 심각도가 높은 로드킬과 차로 장애물, 노면균열 등의 검출률은 90% 이상으로 나타나 실제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순 민원접수 및 해결에서 벗어나 실제 도로현장에서 접수되는 문제점을 심각도로 구분함으로써 실제 민원 처리의 우선순위 선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첩 코딩 다중화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스케줄링 방법 (Multi-user Diversity Scheduling Methods Using Superposition Coding Multiplexing)

  • 이민;오성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A호
    • /
    • pp.332-340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중첩 코딩 다중화를 이용하여 다중 사용자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스케줄링 방법들을 다룬다. 이 방법들은 다중 사용자 신호들을 동시에 전송함에 따른 제1순위 및 제1 순위 이후 사용자 우선 순위 선정 전략과 사용자 별 전력할당 전략을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스케줄링 방법들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1 순위 사용자 선정 전략으로는 1) 채널상태 우수 사용자 순서, 2) PFS(proportional fair scheduling) 사용자 순서, 3) 평균 제공 전송률 낮은 사용자 순서를 따르는 3가지 전략들을 고려한다. 제1 순위 이후 사용자순서도 제1 순위 사용자와 동일한 전략을 고려한다.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들이 선정되어야 하는 경우, 한번의 PFS 순서를 따르도록 하거나 매 추가 사용자마다 잔여전력과 사용자간 간섭을 고려하여 PFS 기준에 따라 하나의 사용자를 단계적으로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전력할당 전략으로는 우선적으로 사용자 별 최대 허용 전송률을 제공하는 전력을 할당하거나 사용자 별 최소 전송률을 제공하는 전력을 할당하고, 잔여전력을 각 사용자에게 재할당하는 두 가지 전략들을 고려한다. 스케줄링 목적으로는 전송률 합 최대화, 형평성 극대화, PFS 방법에 준하는 형평성 유지 및 전송률 합 최대화의 3가지를 고려한다. 또한 각각의 목적을 위하여 max CIR (carrier-to-interference power ratio), max-min fair, PF 스케줄링 방법들([1]과 해당 참고문헌들 참조)을 각각의 목적별 비교 기준으로 정하고, 전송률 합 또는 형평성 측면에서 기준 방법에 준하거나 우수하면서 나머지 척도인 형평성이나 전송률 합이 우수한 방법들을 후보 스케줄링 방법들로 선정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스케줄링 방법의 사용자 수에 따른 전송률 합과 JFI(Jain's fairness index)에 따른 형평성을 분석한다.

Investigation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Contamination around an Abandoned Metal Mine in Korea

  • Lee, Jong-Wha;Kwak, Soon-Sun;Hong, Sung-Chul;Park, Sang-Il;Jang, Bong-K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56-464
    • /
    • 2010
  • Recently, heavy metals contamination of the agricultural soil and crops surrounding mining areas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South Korea.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in Korea conducted a Preliminary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PNEHS) in abandoned metal mines in 2007. The priority for a subsequent detailed examination was ranked from the results of PNEHS. The studied mine which was ranked as being of the highest priority is located in the midwestern part of Korea and was operated from 1911 to 1985.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he heavy metals in the abandoned metal mine were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the average daily dose (ADD), target hazard quotient (THQ) and target cancer risk of the heavy metals were evaluated. The concentration of arsenic (As) in all of the tailings from the mine was higher than its countermeasure standard of Korea. In particula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s, 330 mg/kg, was up to 15 times higher than its countermeasure standar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s in agricultural soils was higher than the warning standard of Korea, and higher than its countermeasure standard at six site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he analyzed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soil were below the warning standard, but concentrations of cadmium (Cd) and lead (Pb) at 4 sites were higher than its warning standar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s in surface water exceeded the warning standard of Korea. The value of the THQ of As for the tailings was higher than the health protection standard 1. The value of THQ of As for the farmlands was lower than the standard, while the hazard index (HI) of As was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value of target cancer risk (TCR) of As, $6.44{\times}10^{-4}$, were higher than the health protection standard of a lifetime risk for TCR at $1{\times}10^{-6}$. This suggests that the residents around the metal mines are exposed to As pollution with a carcinogenic risk.

생태하천 복원사업 우선순위 선정에 대한 연구: 한강하구를 중심으로 (Priority Determination of the Projec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Stream : Case Study for Han River Estuary)

  • 백선욱;이준학;이승민;이하늘;김형수;김수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4-73
    • /
    • 2023
  • 2022년 이전에는 하천 관리 주체가 이원화되어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계획 및 시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혼선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2022년 환경부가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주관하게 되며,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는 복원사업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수역과 람사르 습지가 위치하여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가 필수적인 한강하구 지역을 대상으로 복원사업이 필요한 하천 구역을 선정하였다. 우선,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세부 조사항목을 기반으로 하천의 물리적, 화학적, 공간/인문학적,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평가지수에 순위정렬(ranking), 스케일 재조정(re-scaling), z 점수(z-score), t 점수(t-score) 표준화(normalization)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도출된 값을 비교·분석하였다. 이후 각 평가지수에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entropy weight method)을 적용하였다. 해당 과정을 통해 한강하구 지역 내에서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를 목적으로 복원사업이 요구되는 하천(목감천, 안양천 등)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거수의 건강 위험도 평가 요소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Health Evaluation Indicators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 시아티엔티엔;장종펑;강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49-159
    • /
    • 2017
  • 노거수의 건강 및 보호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어 왔지만, 경험적인 판단 또는 원론적인 조치 등에 집중되고 있다. 건강 위험도 평가는 노거수의 현황 및 위험 순위를 반영할 수 있어 노거수의 보호 방안 수립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노거수의 건강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6개 대분야와 46개 지표인자를 2개 층으로 나누고, AHP 및 PCA 기법을 이용하여 각 위험 대분야와 지표인자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AHP 기법은 각 대분야 간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평가 기법으로 평가 결과, 노거수의 자체노화가 위험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PCA 기법 평가 결과, 수간의 부패 상태, 수광 상태, 외과수술 흔적, 진균병해, 토양 건습도, 낙뢰 등이 각 대분야의 가장 중요한 지표 인자로 나타나 보호 관리 시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각 세부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건강 위험도 평가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노거수 위험도 평가에 객관적인 판단 근거가 되며, 노거수 보호 관리에 지침이 될 것이다.

교육시설 안전 등급 인증과 학교 안전도 심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door Environment Safety Level Certifi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School Safety Level Evaluation)

  • 김명관;권영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2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and weight determina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al safety area, which has the most frequent accidents, among the safety certification evalua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s been conducted since May 2021. As a preceding study, the evaluation items of the school safety evaluation checklist being implemented in the US state of Vermont were compared, and the causes of accidents judged by teachers in the accident experiences written by 200 Korean teachers were compared with the safety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belong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addition, research literature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on safety ris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ina and safety evaluation index study cases of 539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donesia were analyzed. Through these preceding studies, measures to add and adjust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and the validity and importance rankings of evaluation items were calculated through AHP questionnaires to teachers and safety expert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104 ordinary people to verify the results of expert analysis. As a result of expert AHP analysis, 'safety education and disaster response training (.396)' was the highest priority for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rst layer, followed by 'safety measures (.387)' and 'building materials'. Safety (.216)' was found to be the highest priority. In the overall importance ranking of the 13 second-tier screening items,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had the highest priority and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ranked second, proving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view weight was underestimated. In addition, slip and collision accident countermeasures, which were not in the existing Ministry of Education review items, ranked 4th, laboratory practice room safety measures ranked 6th, and sanitation, cleanlines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nd cafeteria/cooking room safety measures ranked 9th, indicating a significant level of importance. Referring to the importance ranking, which i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weight of each review item again.

후두전적출술 후 장기적인 삶의 질에 대한 평가 (Long Term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in Laryngectomee)

  • 권순영;유홍균;정광윤;최정철;한승훈;최종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1-195
    • /
    • 2000
  • Objectives: Despite various attempts to preserve the normal voice in advanced laryngeal cancer, it is inevitable for many advanced laryngeal cancer patients to undergo total laryngectomy and thus making a trade off between quality and quantity of life. Laryngectomees are faced with voice loss, change in physical appearance and health deterioration which hinder their efforts to rehabilitate back into their family and employment leading to poor quality of lif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long term surviving laryngectomees to, define the factors which are most important in determining their present quality of life and to propose a theoretical model for quality of life after laryngectomy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86 to 1995, 120 laryngectomees with no evidence of disease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3years were evaluated. Each of 15 quality of life domains with a total of ten points were given for a quality of life scor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mental adaptation index such as general health and mental health between the laryngectomees and control group(p>0.05). However, social adaptation index such as social activity,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for laryngectomees were significantly lower with 2.3, 3.5, and 4.4 points compared to control group with 8.5, 7.6, and 7.1 points respectively(p<0.05). Conclusion : Vocational and social rehabilitation should be emphasized with highest priority for improving their economic status and thus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 PDF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개발 동향조사 및 분석 (A Study on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Super-Speed Maglev)

  • 이진호;한영재;조정민;이창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31-263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특허 분석을 통하여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과 관련된 주요 국가의 기술 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기술 개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초고속 자기부상철도를 구성하는 핵심기술을 14개로 분류하고, 각 기술 별로 주요 국가에서 출원된 특허의 건수, 증가율 및 점유율과 같은 양적 분석을 통하여 나라별 기술개발 현황 및 집중분야를 파악하였으며, 특허활동 집중도, 인용도 및 시장확보지수와 같은 질적 분석을 통하여 기술개발의 수준 및 시장확보력을 살펴보았다. 분석된 결과와 주요 기술의 발전 방향을 고려하여 국내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기술 개발에 있어서 중점 개발하여야 할 분야 및 개발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을 활용한 CCTV우선 설치지역 도출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f CCTV Priority Installation Using BigData Standard Analysis Model)

  • 성창수;박주연;가회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61-6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표준분석모델을 살펴보고, 실제 사례현장의 분석결과를 통해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의 적합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행정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야인 민원, CCTV 등의 빅데이터에 대한 표준분석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표준분석 지표를 산출하고 K시의 CCTV우선설치지역 사례에 적용하여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의 정확성을 조사하였다. 빅데이터 표준분석 모델을 활용한 K시의 사례분석 결과, 우선 설치리스트 상위 지점 모두 범죄취약지수 중 환경지수 값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온 반면, CCTV미설치 지역에 따른 감시취약지수와 야간 및 심야 시간대의 유동인구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제로 CCTV설치에 대한 민원이 높고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지역으로 빅 데이터 분석결과가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빅데이터 활용과 분석에 의한 행정 효율성의 제고 및 디지털 융합 환경에서 빅데이터 표준분석 모델의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대리변수를 이용한 한반도 수질 및 수생태계 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to Climate Change in Korea using Proxy Variables)

  • 이건행;정유진;김경현;유정아;이은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4-452
    • /
    • 2012
  • This study aims at assessing vulnerability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to climate change by using proxy variable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s defined as a function of exposure to climat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Detailed proxy variables were selected considering availability and then standardized by re-scaling concept. After adequate weights were assigned to standardized proxy variables by Delphi technique, vulnerability index was calculated. As results, vulnerability of adjacent regions to coastal areas includ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inland areas, and especially adjacent region to the western and southeast seas, and Jeju show high vulnerabilities. Vulnerability in the future was performed based on A1B scenario (IPCC, 2000). Temporally, the increase of vulnerability from 2050s to 2100s may be larger than the increase from 2000s to 2050s. Because vulnerability index was estim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various proxy variabl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local region with measurements and policies for reduction of sensitivity and enhancement of adaptive capacity on climate chang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planning adaptation measures and selecting priority to the policy on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