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ciples of Perceptio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9초

시화학 측면에서의 한국전통건축 입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v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Visual Perception)

  • 장석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7-27
    • /
    • 1997
  •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a study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visual perception. This study, therefore has been made of principles of visual perception. range of visual perception in architectural environment,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example case studies are exhibited.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al principles of parts selected in process of study could be selected to facilitate comparison with the perceptual psycholog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struct Korean architectural plans. elevations. form and spatial and order pertinent to human understandings and existances on the priority of wholeness and the relationship of parts to visual perception.

  • PDF

시지각 특성과 시선운동 원리를 활용한 미술 감상 방법과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Way of Art Appreciation and Education Program Using Principle of Perception and Eye Movement)

  • 김미강;장진범;김철현;백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35-350
    • /
    • 2016
  • 시지각 원리의 교육은 심리학에만 국한되지 않고 미술 감상 교육에도 필요한 학습 과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미술 수업을 표현 활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국내 미술 교육에서 감상 활동은 축소되거나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감상에 동기 부여를 제공하고 정규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학습자들에게도 감상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미술 작품의 이해를 위해 시지각 원리를 학습하여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고 표현하는 활동과 다양한 미술 작품에 대입시켜 감상하는 활동을 제안한다. 먼저 미술 표현에서의 시선운동의 개념과 시선 추적 실험 결과를 통해 얻은 시지각 원리의 특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지각 원리와 시선운동과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이를 기반으로 회화 작품 해석에 사용되는 시선운동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펠드먼 비평 양식을 도입하여 시지각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그리고 3장에서 분석한 두 개의 회화작품을 제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에 적용한 예시를 제시한다.

주상복합지역 간판디자인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the Sign Design in Mixed-Used Residential and Commercial Site)

  • 이화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9-26
    • /
    • 2006
  •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reative building design ideas, how to effectively sign design concepts is also an important consideration on environmental design. The research goals establish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re to develop structures of sign design and analyze the cases of it. This paper explains structures of sign design in two ways: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signs and the relationships of visual perception. Among various relationships among sign design compositional elements this study uses relationships based on the Gestalt theory, the balance theory by Rudolf Arnheim, and the optical away theory by Gibson. The design principle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visual perception theories includ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ositional elements and background space, visual weight balance, horizontal and vertical balances, grouping, and visual layout patterns

자연과 인간인식'모델을 중심으로 본 현대건축의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Based on the Model of 'Nature and Human Perception')

  • 이근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61-174
    • /
    • 1999
  • This study tried to search for solutions of present problems in architecture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y which includes biology, literature, aesthetics, and psychology, and set up two models composed of the nature and the human perception which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problems on. By nature-oriented approach through biology and romanticist literature, the five types of organic principles which could be obtained from structure and order in natural system and by human perception-oriented approach through aesthetic theory of Harold Osborne and perceptual and cognitive psychology the structure and order of perceptual arousal, perceptual balance, and perceptual order in human cognition based on perceptual appropriateness could be found. The unified and organic framework of architectural composition must be considered through a deductive and inductive study as this study was approach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applied to construct human-oriented design principles and factors in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and better environmental quality.

  • PDF

게슈탈트 이론에 의한 패션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Fashion Ads based on the Theory of Gestalt Psychology)

  • 이의정;강경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7-56
    • /
    • 2016
  • Gestalt psychology is a theory of psychology to organize separate stimuli perceived by people's vision to incorporate them into significant types, and this also is applied in terms of the brand awareness of consumers. This study considered which influence the Gestalt psychology theories have upon the fashion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in fashion advertis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inciples of the totality and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 the Gestalt psychology are allowing fashion consumers to perceive information through advertisement and to be capable of understanding it a little more easily and clearly in the process. As for the principle of totality, an integrated Gestalt was formed by combining the stimulant elements of fashion ads and the brand schema of consumers. The principles of figure and background that were part of the perceptual organization theory enabled the consumers to pay attention to, choose and focus on some of the objects of perception in an easier and faster way. The principle of perceptual grouping was used to draw attention from the consumers by simplifying the objects of perception and then by combining them or making them look complete. Therefore the more advance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laws of Gestalt psychology is expected to make fashion consumers' way of looking at ads more well balanced and positive in a more efficient and convincing manner.

  • PDF

우리나라 로컬푸드 원칙의 인식구조와 준수실태 (The perception and compliance of local food principles in Korea)

  • 이관률;송주연;허남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7-57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사회적으로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는 로컬푸드 원칙에 대한 인식도와 준수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 인식도에서는 신뢰관계, 지역생산 지역소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성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종사자와 전문가에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로컬푸드 개념에서는 공간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구성요소가 모두 중요하다. 둘째, 로컬푸드 준수도에서는 신뢰관계와 유통단계의 축소는 비교적 잘 지켜지는 반면, 친환경성과 이동거리는 상대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수도의 경우 종사자와 전문가의 인식차이는 이동거리 축소에서만 나타나지 않고, 그 외 4개 요소에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로컬푸드의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친환경성과 신뢰관계, 그리고 유통단계 축소 등의 사회적 측면은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크지 않는 반면, 공간적 측면의 이동거리 축소와 지역생산 지역소비는 인식도와 준수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급식소 HACCP 관리항목에 대한 영양사의 중요성 인지도 평가 (Evaluation of Dietitians'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Guidelines in Foodservice Facilities)

  • 배현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1호
    • /
    • pp.105-113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guidelines of dietitian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and sent to random samples of 500 dietitians by a mail ; 418(84%)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pondents used three-point-scale to rate their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from 1-"will be necessary" to 3-"very important".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AS package(version 8.12) for Window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omputed for all variabl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guidelines among business and industry, health care and school foodservice managers.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Dietitians especially had lower perception of importance on the contents of Critical Control Points(CCPs), such as; adequate thawing methods and keeping records(1.95) and correct cleaning and sterilizing for raw vegetables and fruits(1.93). The rates of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HACCP guidelin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9 of the 37 contents among business and industry, health care and school foodservice(p<.05 or p<.01 or p<.001). Generally, the item related to purchasing and inspection management had the highest perception level score and the item related to pre-preparation management had the lowest perception level score in foodservice production process(p<.001).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increased education of dietitians about HACCP principles and appropriate practices.

  • PDF

형상과 배경의 법칙에 근거한 장식의 시각적 인식에 관한 연구 - 2006년 이후 여성복 컬렉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Visual Perception of the Decorations in Terms of the Principles of Forms and Backgrounds - Regarding Womens' Collections Since 2006 -)

  • 차혜인;전재훈
    • 복식
    • /
    • 제61권9호
    • /
    • pp.39-49
    • /
    • 2011
  • The presented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ttribution of the visual perception of decorating techniques that have often been witnessed in the realm of modern fashion since 2006. The form is more impressive, more suitable to convey a message and, most of all, more memorable. In this study, attempts were made to categorize and create an order of prioritization among components such as surrounding, pattern (closure), space arrangement, area, overlapping, and community (proximity) surrounding that comprise the place and arrangement of decorating techniques in modern fash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entered decorating technique surrounded by other techniques is prioritized. Second, the more standardized the clothing with patterns, the more it was noticed. Third, the space arrangement also had an impact on prioritization in the following order: center of the sight, horizon, vertical, and diagonal in relation to the central axis. Fourth, concentrated area attracted more attention. Fifth, when overlapped, what is placed in the front became the center of recognition. Sixth, the technique that formed a community was more recognized.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as the decorating technique is gaining more significance, these findings would help to find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utilize an acute visual stimulus to apply for a technique and maximize its aesthetic effects.

시선추적 분석을 위한 통합 해석 모델의 개발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Integrated Analysis Model for Eyegaze Analysis - With Emphasis on the Generation of Heuristic Guidelines for User Interface Design -)

  • 성기원;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32
    • /
    • 2004
  • 본 연구는 사용자의 시지각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선추적 과정을 이해하고, 인간의 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여,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적인 원리를 발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한 시선추적 시스템을 실험에 적용하여, 상향처리와 하향처리의 시지각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인간의 정보처리 모델을 근거로 디자인을 위한 적용점을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실험하여 시선의 동선 및 고정점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인지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단서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인간 행위의 각 단계와 정보처리 모델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의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디자인 실무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일반적인 원칙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Connected Factors of Ethical Percep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윤정;장윤정;곽정숙;김수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
    • /
    • 2005
  • 본 연구는 치위생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윤리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초윤리 의식수준에 연관된 변수는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인지, 임상실습경험, 직업윤리교육경험이었다.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한 학생들이 기초윤리 의식수준이 높았고, 임상실습경험과 직업윤리교육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기초윤리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면허법규 의식수준은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을 알고 있는 학생일수록,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면허법규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았다. 3. 전문가윤리 의식수준에 연관된 변수는 치과위생사윤리강령 개정인지,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인지, 윤리 의식을 배우는 역할모델이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치과위생사 윤리강령개정이었다. 4. 의사결정 의식수준은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윤리의식을 배우는 역할모델이 교회라고 응답한 학생일수록 의사결정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았다. 5. 팀웍에 관한 의식수준은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인지와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인지이었다.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팀웍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았다. 6.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에 대해 모르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88.4%이었고, 치과위생사 윤리강령개정을 알고 있는 학생의 전문가윤리 의식수준이 $3.44{\pm}0.23$으로 높았다 (p=0.00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