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vaccination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9초

Protective efficacy of a novel multivalent vaccine in the prevention of diarrhea induced by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in a murine model

  • Zhao, Hong;Xu, Yongping;Li, Gen;Liu, Xin;Li, Xiaoyu;Wang, Lili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7.1-7.14
    • /
    • 2022
  • Background: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infection is a primary cause of livestock diarrhea. Therefore, effective vaccines are need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ETEC infection. Objectives: Our study aimed to develop a multivalent ETEC vaccine targeting major virulence factors of ETEC, including enterotoxins and fimbriae. Methods: SLS (STa-LTB-STb) recombinant enterotoxin and fimbriae proteins (F4, F5, F6, F18, and F41) were prepared to develop a multivalent vaccine. A total of 65 mice were immunized subcutaneously by vaccines and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The levels of specific immunoglobulin G (IgG)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determined at 0, 7, 14 and 21 days post-vaccination (dpv). A challenge test with a lethal dose of ETEC was performed, and the survival rate of the mice in each group was recorded. Feces and intestine washes were collect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 Results: Anti-SLS and anti-fimbriae-specific IgG in serums of antigen-vaccinated m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mmunization with the SLS enterotoxin and multivalent vaccine increased interleukin-1β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concentrations. Compared to diarrheal symptoms and 100% death of mice in the control group, mice inoculated with the multivalent vaccine showed an 80% survival rate without any symptom of diarrhea, while SLS and fimbriae vaccinated groups showed 60 and 70% survival rates, respectively. Conclusions: Both SLS and fimbriae proteins can serve as vaccine antigens,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antigens can elicit stronger immune respons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valent vaccine can be successfully used for preventing ETEC in important livestock.

COVID-19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a review

  • Siti Nur Atikah Aishah Suhaimi;Izzati Abdul Halim Zaki;Zakiah Mohd Noordin;Nur Sabiha Md Hussin;Long Chiau Ming;Hanis Hanum Zulkifly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65-290
    • /
    • 2023
  • Rare but serious thrombotic incidents in relation to thrombocytopenia, termed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VITT), have been observed since the vaccine rollout, particularly among replication-defective adenoviral vector-base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vaccine recipients. Herein, w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summarized reported studies of VITT follow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ation to determine its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management. A literature search up to October 1, 2021 using PubMed and SCOPUS identified a combined total of 720 articles. Following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 after scree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based on the eligibility criteria, the remaining 47 full-text articles were assessed for eligibility and 29 studies were included. Findings revealed that VITT cases are strongly related to viral vector-based vaccines, which are the AstraZeneca COVID-19 vaccine (95%) and the Janssen COVID-19 vaccine (4%), with much rarer reports involving messenger RNA-based vaccines such as the Moderna COVID-19 vaccine (0.2%) and the Pfizer COVID-19 vaccine (0.2%). The most severe manifestation of VITT is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 with 317 cases (70.4%) and the earliest primary symptom in the majority of cases is headache. Intravenous immunoglobulin and non-heparin anticoagulant are the main therapeutic options for managing immune responses and thrombosis, respectively. As there is emerging knowledge on and refinement of the published guidelines regarding VITT, this review may assist the medical communities in early VITT recognition, understanding the clinical presentations, diagnostic criteria as well as its management, offering a window of opportunity to VITT patients. Further larger sample size trials could further elucidate the link and safety profile.

의료인 업무범위 관련 법률 고찰 (Study on Laws related to the Scope of Both Medical Doctors' Practice in Korea)

  • 소유진;이다희;정혜인;김경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3-24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reassess the scope of practice for medical personnel based on laws. Method : The law specifying the scope of practice for medical personnel has been selected searching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https://www.law.gov.kr). The result was categorized as 'examination, diagnosis, treatment, procedure, prescription, and others'. Results : The laws related to medical procedure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iagnosis, treatments, and public health and others. In the field of diagnosi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are generally allowed to play a role. However, some laws specify that only medical doctors can be the primary authorities for diagnos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 area of treatments, particularly in emergency medical situations, only medical doctors or nurses are typically mentioned. There are debates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and other areas concerning issues such as vaccination, disability diagnosis, and the qualifications for health center directors. A reevaluation is also needed fo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here only medical doctors are set as the personnel standard for workers' health examinations. Conclusion : To safeguard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citizens, there is a need for a clear definition of the licensure and scope of practic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conflicting provisions among various laws and clear criteria for the term 'physician' in legal contexts are essential.

Hippo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in T Cell Immunity

  • Antoine Bouchard;Mariko Witalis;Jinsam Chang;Vincent Panneton;Joanna Li;Yasser Bouklouch;Woong-Kyung Suh
    • IMMUNE NETWORK
    • /
    • 제20권5호
    • /
    • pp.36.1-36.13
    • /
    • 2020
  • Hippo signaling pathways are evolutionarily conserved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mainly involved in organ size control, tissue regeneration, and tumor suppression. However, in mammals, the primary role of Hippo signaling seems to be regulation of immunity. As such, humans with null mutations in STK4 (mammalian homologue of Drosophila Hippo; also known as MST1) suffer from recurrent infections and autoimmune symptoms. Although dysregulated T cell homeostasis and functions have been identified in MST1-deficient human patients and mouse models, detailed cellular and molecular bases of the immune dysfunction remain to be elucidated. Although the canonical Hippo signaling pathway involves transcriptional co-activator Yes-associated protein (YAP) or transcriptional coactivator with PDZ motif (TAZ), the major Hippo downstream signaling pathways in T cells are YAP/TAZ-independent and they widely differ between T cell subsets. Here we will review Hippo signaling mechanisms in T cell immunity and describe their implications for immune defects found in MST1-deficient patients and animals. Further, we propose that mutual inhibition of Mst and Akt kinases and their opposing roles on the stability and function of forkhead box O and β-catenin may explain various immune defects discovered in mutant mice lacking Hippo signaling components. Understanding these diverse Hippo signaling pathways and their interplay with other evolutionarily-conserved signaling components in T cells may uncover molecular targets relevant to vaccination, autoimmune diseases, and cancer immunotherapies.

개원가의 신생아 BCG 접종 후 투베르쿨린 반응 평가 -접종 방법과 PPD 종류에 의한 차이 비교- (Tuberculin Reactivity in Neonates Vaccinated with BCG at Primary Care Clinics - With Two Types of BCG Vaccine and Two Strengths of PPD -)

  • 김완주;이선호;안상윤;양승재;오성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9권2호
    • /
    • pp.208-214
    • /
    • 2002
  • 목 적 : BCG 접종 후 투베르쿨린 반응은 사용한 백신의 종류, 백신의 상태, 투여방법, 접종시 연령, 접종후 검사하기까지의 시간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최근 흉터가 작고 이상반응이 적은 경피용 BCG의 접종이 증가하고 있으나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및 예방 효과 등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개원가에서 실시한 BCG 및 투베르쿨린 반응을 평가하고 피내 BCG 백신과 경피용 BCG 백신과의 비교, 5TU PPD와 2TU PPD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997년 2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세군데의 개인 소아과 의원에서 생후 1개월경 BCG 접종을 받은 후 투베르쿨린 반응을 실시한 200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이용한 후향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151명은 Tokyo 172주로 경피 접종하였고 49명은 피내 접종(28명:copenhagen주, 1명:French 1173P2주, 20명:미상)하였다. 경피 접종한 151명 중 129명(64.5%)은 2TU, 22명(11%)은 5TU PPD를 사용하였고 피내 접종한 49명 중 35명(17.5%)은 2TU, 14명(7%)은 5TU PPD를 사용하였다. 결 과 : 경피용 BCG 접종군에서 2TU PPD와 5TU PPD에 대한 경결의 크기(양성률)는 $9.2{\pm}4.4mm$(86.8%), $12.4{\pm}3.5mm$(95.5%)로 5TU PPD로 검사한 경우가 2TU PPD로 검사한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P=0.02). 피내용 BCG 접종군에서 2TU PPD와 5TU PPD에 대한 경결의 크기(양성률)는 각각 $5.7{\pm}5.1mm$(60%), $6.6{\pm}4.8mm$(71.4%)로 두 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69). 2TU PPD에 대한 반응은 경피용 BCG 접종군에서의 경결 크기(양성률)가 $9.2{\pm}4.4mm$(86.8%), 피내용 BCG 접종군에서는 $5.7{\pm}5.1mm$(60%)로 경피용 BCG 접종군에서의 경결크기가 피내용 BCG 접종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0.001). 5TU PPD에 대한 반응은 경피용 BCG 접종군에서의 경결크기(양성률)는 $12.4{\pm}3.5mm$(95.5%), 피내용 BCG 접종군에서는 $6.6{\pm}4.8mm$(71.4%)로 역시 경피용 BCG 접종군에서 경결크기가 피내용 BCG 접종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0.001). 결 론 : 경피용 BCG(Tokyo 172균주) 접종군의 2TU PPD와 5TU PPD에 대한 반응은 피내용 BCG 접종군에 비해 경결의 크기가 유의하게 컸고, 경피용 BCG 접종군에서 5TU PPD의 경결 크기가 2TU PPD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므로 경피용 BCG 환아들에게서의 결핵 반응 검사 결과 판독의 새로운 기준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mmunological Responses of Broiler Chicks Can Be Modulated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Zinc-methionine in Place of Inorganic Zinc Sources

  • Moghaddam, Hasan Nassiri;Jahanian, Rahm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396-403
    • /
    • 2009
  • Male broiler chicks were fed graded levels of organic zinc (zinc-methionine) supplement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al or complete substitution of the organic zinc source for inorganic ones on the development of lymphoid organs and immunological responses. A total of 450 day-old male broilers were distributed into groups of 10 chicks and randomly assigned to nine experimental diets during a 42-day feeding trial. Dietary treatments consisted of two basal diets supplemented with 40 mg/kg added zinc as feed-grade Zn sulfate or Zn oxide in which, Zn was replaced with that provided from zinc-methionine (ZnMet) complex at the levels of 25, 50, 75 or 100%. Two randomly-selected birds from each pen replicate were bled and then slaughtered by cervical cutting on the final day of the trial to measure leukocyte subpopulations and relative weights of lymphoid organs. Among lymphoid organs, only thymus weight was affected (p<0.05) by dietary treatments. The sulfate-supplemented birds were heavier (p<0.01) in relative weight of thymus than oxide-supplemented birds. The 10 days of age-assessed cutaneous hypersensivity reaction was stronger in chicks fed ZnMet-containing diets. Dietary ZnMet supplementation caused (p<0.05) an increase in proportion of lymphocytes and consequently a decrease in heterophil to lymphocyte ratio. Diet fortification by zinc-methionine complex increased (p<0.01) Newcastle antibody titer at 19 days of age. Also, a similar response was observed in antibody titers at 6 and 12 d after infectious bronchitis vaccine administr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replacement of dietary zinc on antibody titer against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IBDV) at the 6th d post-vaccine inoculation; however, at d 12 after vaccination, ZnMet-fortified diets improved antibody titer against IBDV. Although dietary inclusion of ZnMet had no marked effect on primary antibody titer against sheep erythrocytes, effective responses were observed during secondary reaction from the viewpoint of both total antibody and immunoglobulin Y (IgY) titers. From the present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organic zinc improves both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replace 75% of supplemental inorganic zinc with organic ZnMet complex to achieve the optimum immunological responses in broiler chicks.

한국 소아에서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기초 예방 접종 후 항체 지속과 추가 접종에 대한 반응 (Antibody persistence after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primary vaccination and response to boosters in Korean children)

  • 이현주;박소은;임수영;최경민;이환종;김경효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5호
    • /
    • pp.449-456
    • /
    • 2007
  • 목 적 : 우리나라에서 Hib 백신을 기본 예방접종에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Hib 질환의 역학, 우리나라 소아의 Hib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면역원성에 근거한 추가접종의 필요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 병원, 강남 차병원, 관동대 명지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위해 혈액 채취의 기회가 있었던 12-23개월 사이의 소아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리된 혈청으로 항 PRP 항체가를 효소면역법으로 측정하였고, 혈청 살균 능력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추가접종까지 완료한 군의 항 PRP 항체의 기하평균은 기초접종을 완료한 군이나 접종하지 않은 군의 기하평균보다 높았다(P<0.05). 항 PRP 항체가가 $1.0{\mu}g/mL$ 이상인 비율은 추가접종까지 완료한 군은 96.5%로 다른 세 군에 비해, 기초접종을 완료한 군은 68.6%로 접종하지 않은 군의 30.0%에 비해 양성률이 높았다(P<0.05). 평균 살균 역가는 추가접종까지 완료한 군이 11,205로 기초접종을 완료한 군의 3,946보다 높았다(P<0.05). 항 PRP 항체가와 살균 역가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R=0.60). 결 론 : 우리나라 소아는 Hib 백신의 기초 접종 후 12-23개월의 나이에 많은 경우에서 방어 농도 이상의 항체가를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추가접종에 대한 면역 기억 반응도 좋아 추가 접종 받은 소아의 항체가는 받지 않은 소아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 우리나라에 Hib 백신의 도입과 접종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닭 유래 아데노 바이러스 혈청형 4형(FAdV-4) 사독 오일 백신의 안전성 및 효능 평가 (Safety and Efficacy of Fowl Adenovirus Serotype-4 Inactivated Oil Emulsion Vaccine)

  • 김지예;김종녀;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55-263
    • /
    • 2010
  • 봉입체성 간염-심낭수종증(IBH-HPS)은 주로 육계에서 다발하며 3~6주령의 육계에서 최고 75%까지의 폐사율을 일으킬 수 있는 질병이다. 주 증상으로는 심낭의 황색 수양성 액체가 저류되는 심낭수종증과 함께 봉입체성 간염이 나타난다. 1987년 파키스탄에서 처음 발생이 보고된 후 여러 나라에서 발병되었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질병 발생이 확인된 바 있다. 본 실험에서는 IBH-HPS에 대한 경제적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독 오일 백신을 제조하여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였다. 2주령의 SPF 닭에 제조한 사독 백신을 1 또는 2수분으로 근육 접종한 뒤 2주 후인 4주령에 FAdV-4로 공격 접종을 실시하였다. 백신 접종에 의한 임상 증상 발현 및 폐사가 관찰되지 않아 백신의 안전성이 인정되었고, AGP 검사를 통해 FAdV-4에 대한 항체가 100%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공격 접종 시 각각 경구 또는 근육으로 접종하였고, 접종 후 10일간 관찰한 결과, 백신 접종군 모두 부검 소견, 바이러스 유전자 검색율 및 조직학적 병변도에 있어서 효능이 인정되었다. 육안 병변의 경우, 백신 비접종군에서는 간의 괴사 반점이 10~50%의 개체에서 발생한 데 비해 백신 접종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러스 유전자 검색 양성률 또한 백신 접종군이 백신 비접종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히 근육 투여군에서 더 명확하게 나타났다. 조직 병변도는 관찰 기간 내내 핵내 봉입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림프구 침윤 및 간세포의 괴사 정도가 백신 접종군에서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제조한 FAdV-4 사독 오일 백신은 실험계에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면역원성도 높았으며, 효능에 있어서는 백신 비접종군에서의 임상 증상이 명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육안 병변, 바이러스 검색율 및 조직 병변도에 있어서 공격 접종에 대한 방어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1993년도 성남지역에서 유행한 홍역 환아에서의 홍역 특이 항체 반응 (Response of Measles-specific Antibody in Children with Measles During Measles Epidemic in Seongnam, 1993)

  • 김지연;박윤형;김순기;최연화;이환종;손병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126-132
    • /
    • 1997
  • 목 적 : 높은 예방접종율에도 불구하고 흥역이 계속 발생하는 것은 1차 백신 실패 또는 2 차 백신 실패 등의 논란을 자아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93년 전국적으로 홍역이 유행하였을 당시 인구 밀집 대도시인 성남지역에서 그 당시 홍역에 이환되었던 일부 소아를 대상으로 특이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홍역이 유행할 당시 임상진단 기준에 따라서 홍역으로 진단된 초등학교생을 대상으로 학교에 의뢰하여 93년 12월 10일부터 5일간 채혈한 후, 혈청을 분리한 후 $-20^{\circ}C$ 냉장고에 보관한 후 2개월 지나 검사하였다. Behring사의 시약을 사용하여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방법에 의해 혈청내 홍역 특이 IgM 항체 (measles-specific IgM) 및 IgG를 검사하였다. 결 과 : 1) 총 126명 (남녀비=1:1)으로 발병시 연령은 5세 6명, 6세 11명, 7세 20명, 8세 39명, 9세 22명, 10세 11명, 11세 11명, 12세 6명으로 8세 전후에 가장 많은 빈도 보였다. 홍역은 여름에 발생하기 시작한 홍역은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정점을 이루었다. 2) 홍역환자 126명중 99명(78.6%)에서 MMR접종력이 있었다. MMR접종자 99명 가운데 홍역 특이 IgM 항체에 양성은 80.8%(80/99)에서 관찰되었고, MMR 비접종자 27명 가운데 26명 (96.3%)에서 양성율을 보였다. 3) 홍역 특이 IgG 항체 반응결과 MMR 접종력이 있는 99명 중 90명(90.9%)에서, MMR 비접종군 27명중 23명(85.2%)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흥역특이 IgG 항체반응은 MMR 접종력이 있는 아동 33명중 30례(90.1%)에서 양성을 보였다. 결 론 : MMR 접종력이 있는 아동의 상당수는 시간에 따른 항체가의 감소로 인해 홍역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상당수의 환자가 IgM 항체 양성을 보인 것은 1차 백신 실패가 여전히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관할지역 주민의 보건진료소에 대한 태도와 이용양상 (Utilization Pattern and Percept ion and Attitude of Rural Residents towards Primary Health Post)

  • 박춘나;박재용;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79-96
    • /
    • 2001
  • 보건진료소 관할지역주민들의 보건진료소에 대한 이용양상과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10일부터 2001년 1월15일까지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 24개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753가구(가구원 1,803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가구원의 지난 2주간의 급성질환 이환율은 29.6%이었으며 이들의 의료기관 이용률은 98.3% 이었다. 연령별로는 60-69세가 35.4%로 가장 높았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이환율이 높았다. 전체 가구원의 1년간 만성질환 이환율은 19.2%이었으며 이들의 의료기관 이용률은 92.8% 이었다. 만성질환 이환율은 70세 이상에서 37.2%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급성질환시 의료이용은 보건진료소 이용이 8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만성질환시에는 보건진료소 이용이 40.2%이었고 병 의원 이용이 48.9%이었다. 조사시점 이전 1년간의 보건진료소 이용 경험률은 94.8%이었고 진료목적 이외 방문 경험률은 72.2%이었으며, 73.3%의 응답자가 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98.5%가 보건진료소의 위치를 알고 있었고,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98.6%, 지역발전과의 관련성에는 84.3%가 큰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였으며, 보건진료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7.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보건진료소의 주된 업무는 질병치료, 예방접종, 건강상담 순으로 인식하였으며 보건진료소가 중점적으로 시행해주기를 원하는 업무는 주민건강상담 및 관리가 31.6%로 가장 높았다. 보건진료소 진료비에 대해서는 88.9%가 싸다고 하였고, 보건진료원의 친절도는 98.4%가 친절하다고 하였으며 서비스 만족도도 97.0%로 매우 높았다. 보건진료소에 대한 불만사항은 약의 종류가 부족하다가 42.9%로 가장 높았고 시설이 좋지않다가 15.8%이었다. 조사대상 지역주민들은 지리적 여건과 경제적 여건에 의해 보건진료소를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보건진료소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도 높았고 필요성도 절감하고 있었다. 그리고 질병치료업무 이외의 보건사업에 대한 요구도 많았고 의약품과 의료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만이 큰 점을 감안하여 보건진료소를 계속적으로 유지 운영하되 보건진료소의 기능의 재정비, 시설 장비의 보강, 그리고 보건진료원의 교육훈련강화를 통해 벽오지 주민에게 바람직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