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teeth restoratio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19초

치아전위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CONSIDERATION ON THE TEETH TRANSPOSITIONS)

  • 김승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43
    • /
    • 1999
  • 치아전위는 비교적 드문 발육장애이다. 적절하게 차단치료된다면 예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이후의 교정과 수복과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8-9세 경의 조기 임상검사가 이러한 발육장애의 인지를 위해 추천된다. 일단 전위가 일어난 경우에는, 부정교합을 교정하고 최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얻기 위해 주의깊은 교정적 평가가 요구된다. 이상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두 치아를 원래의 위치로 환원시키는 치료가 요구되나, 완전전위되어 두 치아가 맹출되었다면 전위된 상태로 치아를 배열하여도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광중합 방법 및 레진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유치 수복물의 미세누출 (THE EFFECT OF LIGHT CURING METHODS AND RESIN ADHESIVES ON THE MICROLEAKAGE OF RESTORATIONS IN PRIMARY TEETH)

  • 정영남;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2-599
    • /
    • 2002
  •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다양한 레진 접착제는 최근 소아의 유치 수복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치의 복합레진 수복 시 중합방법과 접착제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를 실험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탈락기에 있는 건전한 유전치 150개의 순면에 직경 1.6mm, 깊이 1.6mm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의 충전재로써 1종의 복합레진, 1종의 콤포머, 4종의 레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중합 광원은 3종을 사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각 시편은 Sof-Lex 폴리싱 디스크로 표면을 연마한 후 $5^{\circ}C$$55^{\circ}C$에 각 30초씩 계류시켜 1,000회 열순환하고 2% methylene blue 수용액에 넣어 색소를 침투시킨 후 저속 diamond cutter($Isomet^{TM}$, Buehler, USA)를 이용하여 순면을 근원심으로 절단하였다. 각 재료별 미세누출의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충전재 및 광중합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콤포머를 사용한 5군에서 충전방법과 관계없이 가장 작았고, Clearfil SE bond를 Optilux 501로 중합한 군에서 가장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2. 충전재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콤포머를 충전한 5군에서 $1{\sim}4$군의 복합레진 충전군에 비해 더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3. 광중합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Optilux 501을 사용한 군에서 가장 작았고, Flipo를 사용한 군에서 가장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 PDF

제 2유구치 기성금관 수복에 따른 제 1대구치의 의원성 손상 (THE IATROGENIC DAMAGES OF THE FIRST MOLARS FOLLOWING THE STAINLESS STEEL CROWN RESTORATION THE SECOND PRIMARY MOLARS)

  • 배익현;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58
    • /
    • 2004
  • 소아치과 임상에서 기성금관 수복은 광범위한 우식병소를 가졌거나 치수치료를 받은 치아에 필수적인 술식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기성금관 장착을 위한 치아삭제 과정 중 인접 치면에 의원성 손상이 생길 경우 우식이환율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제 2유구치에 기성금관을 위한 지대치를 형성할 때 인접한 제 1대구치 근심면에 발생될 수 있는 의원성 손상은 치아 우식으로 진행될 잠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2유구치의 기성금관을 위한 지대치 형성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제 1대구치의 의원성 손상의 유형과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에 내원한 소아들을 대상으로 기성금관으로 수복한 제 2유구치의 원심면을 치간이개용 고무링으로 치간이개를 한 후 러버인상재로 인접면의 인상을 채득하고 주사 전자현미경상에서 관찰하여 의원성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제 1대구치의 근심면이 인기된 시편을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약 66.7%에서 다양한 유형과 정도의 의원성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구치의 기성금관 장착을 위한 지대치 형성과정에서는, 치간이개용 고무링이나 wedge를 이용한 치간이개, matrix band를 이용한 인접 치면의 보호, 인접면 삭제방법의 수정 등과 같은 의원성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술자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계승치의 결손을 동반한 상, 하악 유구치의 다발성 유착에 대한 증례보고 (MULTIPLE ANKYLOSIS ON MAXILLARY AND MANDIBULAR PRIMARY MOLARS WITHOUT PERMANENT SUCCESSOR)

  • 정회훈;최형준;김성오;최병재;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03-408
    • /
    • 2005
  • 치아유착은 치근의 상아질 또는 백악질이 치조골과 융합된 것으로 치아의 맹출이상을 야기하여 치조골 성장의 장애를 일으킨다. 본 6세 여아는 유구치의 유착과 영구 소구치의 결손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되었으며 특이할 만한 의과적, 치과적 병력은 없었다. 구강 검진 소견상 상, 하악의 좌, 우측 유구치에서 저위교합이 관찰되었으며, 다수의 치아우식증이 존재하였다. 방사선 사진 검사 소견상 상악의 좌, 우측 영구 견치와 계승 소구치의 결손, 상악 유구치의 치근흡수와 하악 유구치의 치주인대공간의 소실 및 미약한 치근흡수가 관찰되었다. 계승 영구치의 결손을 동반한 유구치 유착시 치료목표는 적절한 치조골 성장과 유치의 유지이며, 유착의 발현 시기와 치근의 흡수 정도에 따라 관찰, 수복 또는 발치 등의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유착치아의 발치는 인접 치조골 성장에 문제가 없고 인접치의 경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최대성장점(growth spurt)을 고려하여 그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 PDF

전치부 탈구로 인한 유착치의 치관절제술 및 임플란트 수복 증례 (Decoronation and implant restoration of ankylosed tooth resulted from anterior avulsion: A case report)

  • 김현;이은수;장우형;임현필;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6-32
    • /
    • 2023
  • 활동이 많은 소아 청소년 시기에는 치아의 외상이 흔하게 발생한다. 그 중 탈구로 인해 유착이 일어날 경우 임상검사를 통한 진단이 중요하며 성인이 된 후 심미적인 보철 수복을 위해서는 진단에 따른 치료가 중요하다. 본 증례는 외상으로 인해 유착된 치아를 치관절제술과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상악 전치부 심미 보철 수복 증례이다. 치관절제술 후 치관을 이용하여 보철 수복을 위한 공간 유지를 시행하였다. 성인이 된 후 guide surgery를 이용하여 정교한 임플란트 식립과 심미적인 보철 수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상악 전치부임을 고려하여 원발성 안정성(primary stability) 확인 후 즉시 부하(immediate loading)를 시행하였다. 연조직 지지를 위해 임시치아의 윤곽 변화를 주며 임시치아를 교체하였고 digital wax-up 하여 최종 보철물을 수복하였다.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CLASS II COMPOSITE RESIN RESTORATION USING ORTHODONTIC BANDS)

  • 박성동;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17
    • /
    • 2005
  • 소아, 청소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해 구치부 인접면 우식의 빈도가 높은 편이며, 그 수복 재료에 있어서 심미성이나 치질 삭제량 감소 등의 이유로 복합레진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구치부 인접면 수복에 있어서, 술자의 기호와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 매트릭스 밴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매트릭스 밴드는 인접면 변연의 적합성과 이에 의한 미세 누출의 감소,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 및 마무리와 연마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등 많은 임상적인 기능을 가진다. 본 증례에서는 복합레진과 교정용 밴드를 이용하여, 유치와 영구치 각각의 인접면 우식의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충전에 있어서 기존의 매트릭스 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1. 우수한 변연 적합성에 의해, 치아 외형의 재현이 용이 하였으며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도 우수하였다. 2 복합레진의 충전이나 중합에 있어서, 교정용 밴드의 견고성에 의해 수복물의 변형이 작다고 판단되었다. 3. 간격 유지 장치 등의 이유로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 소아치과 의사의 경우, 타과 전공 치과의사에 비해 비교적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하게 선택된 교정용 밴드는 위와 같은 장점들에 의해 수복 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 PDF

상악 유전치부에 발생한 삼중치 : 증례보고 (TRIPLE TOOTH IN MAXILLARY PRIMARY INCISORS : CASE REPORT)

  • 이제우;라지영;이광희;안소연;김윤희;이혜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0-65
    • /
    • 2013
  • 삼중치는 치아의 형태이상 중 희소한 경우로서 세 개의 치아가 결합된 양상을 보이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그 동안 유치의 결합에 대한 문헌은 많이 보고된 바 있으나 대부분 두 개 치아의 결합에 대한 것이고 세 개 치아에 대한 보고는 드물었다. 삼중치는 치아 우식, 심미적인 문제, 부정 교합, 치주 문제 등을 동반할 수 있어 여러 전문 분야의 협진을 필요로 한다. 이 증례는 1세 11개월 여아의 상악 유전치부에 발생한 드문 증례인 삼중치에 대한 보고이다. 환아는 상악 우측 전치부 순측 치은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3주전 해당 부위에 치아 외상을 입은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환아의 구강 내 검사 시 상악 우측 유전치부위에 유중절치, 유측절치, 과잉치가 합쳐진 삼중치가 발견되었고 주변으로 누공과 농양이 관찰되었으며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우측 측절치가 결손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당 치아에 대해 근관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치관부위를 수복하였다.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 (Alveolar ridge preservation using granulation tissue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on maxillary anterior tooth)

  • 이창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23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성공에 있어서 심미적인 요소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인 결과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치주염으로 인해 치조골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라면 더욱 그러합니다. 상악 전치부의 경우, 발치 직후부터 시작되는 치주 조직의 위축이 심미적 수복을 방해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조골 소실이 심한 경우 발치 즉시 식립은 심미적 실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고, 이런 결과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그래서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을 시행하고 이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기도 합니다. 2019년 JCP에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기와 발치와 처치에 대한 유럽치주학회의 consensus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에서 순측 치조골의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치조제 보존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치조제 보존술을 하게 되면 primary closure가 어렵기 때문에 open membrane technique으로 이차치유를 유도하거나 FGG, CT graft를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차 치유 과정은 골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연조직 이식은 환자와 술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치조골 결손이 심한 발치와에 있는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하게 되면 연조직 이식 없이도 primary closure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육아 조직에 조직 재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줄기세포가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치조골 및 연조직 결손이 심한 상악 전치부 치아를 육아 조직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을 통해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하였습니다. 결손이 심한 발치와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저위교합된 상악 유구치에 의해 변위된 소구치 치배의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FOR TOOTH GERM OF PREMOLAR DISPLACED BY INFRAOCCLUDED UPPER DECIDUOUS MOLAR)

  • 정정화;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0-396
    • /
    • 2012
  • 저위교합이란 치아가 출은 이후 유착 등의 원인으로 맹출이 정지되어 주위조직이 정상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정상교합보다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 저위교합을 방치하는 경우 이환치의 만기잔존과 대합치의 정출 및 인접치의 경사에 따른 공간상실, 교합압과 식편압입으로 인한 인접치의 치주 조직 파괴와 치아우식 감수성의 증가, 계승치의 맹출경로 변위 또는 매복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검진을 통한 진단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위교합을 보이는 유구치의 치료방법으로는 후속 영구치의 유무, 저위교합의 발생 시기 및 진단 시기, 저위교합의 정도 등에 따라서 주기적인 관찰, 보존적 접근 방법, 수복치료, 교정적 방법을 통한 공간확장술과 발치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제2유구치의 저위교합 및 제2소구치 치배의 변위를 보이는 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가철성 교정장치를 이용한 공간확장술 및 유구치의 발치를 시행함으로써 변위되었던 제2소구치 치배의 정상 맹출을 유도하였다.

CAD/CAM으로 제작한 유전치 지르코니아 전장관의 두께에 따른 파절강도와 반투명도 비교 (Fracture Strength and Translucency of CAD/CAM Zirconia Crown for Primary Anterior Tooth)

  • 옹승환;김종수;김종빈;신지선;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05-21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파절강도와 반투명도 측정을 통해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CAM)으로 제작한 유전치 지르코니아 전장관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기성 유전치 모형 중 #61을 스캔하여 얻은 3차원 형상 데이터로 CAD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장관을 디자인하고, 지르코니아 블록으로 CAM 밀링 기계를 이용하여 전장관을 제작하였다.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두께에 따라 0.3, 0.5, 그리고 0.7 mm의 3군으로 나누어 1.0 mm 두께의 레진 전장관과 파절강도를 비교하였다. 파절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30° 각도에서 1 mm/min 속도로 절단면에 하중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반투명도는 가로와 세로가 7.0 mm, 그리고 두께가 각각 0.3, 0.5, 0.7 mm 인 사각형 지르코니아 시편을 제작하여 분광측색장치로 측정하였다. 파절강도 측정 결과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두께가 증가할수록 파절강도가 높아졌으며 모든 두께의 지르코니아 군에서 대조군인 레진 전장관보다 파절강도가 높았다(p < 0.05). 반투명도는 0.3 mm 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0.5, 0.7 mm로 두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p < 0.05). CAD/CAM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개별 치아에 맞추어 얇게 디자인 및 제작 가능하며, 얇은 전장관을 이용한 수복은 임상적으로 치아 삭제량과 치수노출 위험성 감소 뿐만 아니라, 더 심미적인 수복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