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malignant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26초

복부에 발생한 악성 말초신경초종양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Abdomen)

  • 소규섭;임영국;홍용택;김훈남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886-889
    • /
    • 2011
  • Purpose: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without neurofibromatosis type 1 is very rare neoplasm. Development in the superficial soft tissue is exremely rare. Authors experienced one rare case of primary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developed on abdomen. The clinical and histologic findings were described. Methods: An 83-year-old man visited hospital with an $11{\times}6.5{\times}4.5$ cm sized ulcerated and hemorrhagic mass on abdomen. The tumor was localized in abdominal skin and started growing 3 years ago. Results: Wide excision with safety margin of 2 cm and limberg flap was done. The postoperative biopsy revealed a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of tumor for 16 months. Conclusion: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is an aggressive malignant tumor. An abrupt enlargement of size, ulceration and bleeding are suggestive of malignant chnages of the tumor. We recommand early wide excision with enough safety margin as treatment of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사골동과 후두에 발생한 악성신경초종 (Malignant Schwannomas of the Ethmoid Sinus and the Larynx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s-)

  • 이규찬;최명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77-83
    • /
    • 1992
  • 악성 신경초종의 두경부 영역에서의 발생은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종양은 급속도로 커져가는 무통성 종물로서 발견되며, 그 증상은 대개 종물의 국소적 팽윤에 기인한다. 약 반수의 경우에서 본 레클링하우젠씨 병과 동반된다. 광범위한 외과적 절제술이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일차 치료법이며, 최근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이에 포함시키고 있다. 두경부 영역에서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의 예후는 특히 나쁜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적절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생존율의 증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사골동과 후두 등 희귀한 위치에 발생한 악성 신경초종 2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질에서 발생한 악성 흑색종의 Papanicolaou 도말의 세포학적 소견 - 1례 보고 - (Cytologic Features of Papanicolaou Smears of Malignant Melanoma Arising in Vagina - A Case Report -)

  • 강명숙;김봉희;박재훈;김윤화;박용구;이주희;양문호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09-213
    • /
    • 1995
  •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vagina is a rare tumor which is easily misinterpretated in routine cytologic examination. We lately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vagina with direct cervical extension diagnosed by Pap smear. The cervicovaginal smear showed variable sized clusters of epithelial cells or singly scattered abnormal epithelial cells. Most of the tumor cells had round hyperchromatic nuclei with prominent nucleoli and brownish pigments in cytoplasm. The cytologic findings are compared with histologic features of resected specimen.

  • PDF

두피에 발생한 악성말초신경초종양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of Scalp)

  • 이기영;배준성;전영준;이희정;김영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495-497
    • /
    • 2007
  • Purpose: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 (MPNSTs) are rare neoplasms, usually arising from somatic soft tissues or peripheral nerves. Primary MPNST of the scalp is extremely rare. The case is being reported for its rarity. Methods: A 53-year-old female was presented with a scalp mass on vertex area. The tumor was localized in scalp skin and did not invade underlying periosteum or skull and treated with complete surgical excision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Results: Histologically, the tumor showed malignant spindle cells with focal S-100 positivity on immunohistochemistry and a diagnosis of MPNST was made. Conclusion: Authors experienced a rare case of primary scalp MPNST and report the case.

원발성 폐암에서 악성 흉강 세척액의 임상적 의미 (Clinical Implication of Malignant Pleural Lavage Cytology (PLC) in Primary Lung Cancer)

  • 김용희;박승일;김동관;공경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52-260
    • /
    • 2004
  • 다량의 흉수는 수술 전 방사선 검사로 쉽게 평가할 수 있지만, 미량의 흉수나 흉막의 미세전이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 미량의 흉수나 흉막의 미세전이 여부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흉강 세척액 세포검사를 시행해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1998년 1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에서 원발성 폐암으로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수술 전 방사선 검사에서 흉수가 없고, 수술 소견에서 종양의 흉벽 침범 소견이 없고, 광범위한 흉막 유착 소견이 없었던 315명을 대상으로 삼아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흉강 세척액은 개흉 직후와 수술이 끝나고 흉강을 봉합하기 직전에 생리식염수 100 mL로 흥강을 세척해서 검체를 얻어 세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남자 237명, 여자 78명이며, 평균 연령은 60.8$\pm$9.7세(27∼82세)였다. 315명의 흉강 세척액 세포검사에서 악성세포가 발견된 경우는 총 28예(8.9%)였으며, 20예(6.3%)는 개흉 직후 시행한 흉강 세척액 세포검사에서 악성세포가 발견되었다. 흉강 세척액 세포검사에서 악성세포의 양성률은 조직학적 세포형, 림프절 전이, 장측 흉막 침범 여부 등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tage I 및 II 환자 중 흉강 세척액 세포검사에서 악성세포가 음성인 군은 1년 생존율이 93.9%인 반면 양성인 군은 85.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재발은 31예(13.6%)에서 있었고, 2-year recurrence-free rate는 흉강 세척액 세포검사에서 악성세포가 음성인 군(90.1%)과 양성인 군(87.5%)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 환자들의 중간 추적기간은 16.4개월(1∼48개월)였다. 원발성 폐암으로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시행한 흉강 세척액 세포검사에서 악성세포의 존재 유무는 수술 후 생존율이나 재발률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대상 환자들의 평균 추적기간이 짧은 점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하선 종괴로 발현된 악성 림프종 (Parotid Mass as First Presentation of Malignant Lymphoma)

  • 정웅윤;이효상;서진학;양우익;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1
    • /
    • 2001
  • Background: Primary malignant lymphoma of the parotid gland is a rare disease and defined as any malignant lymphoma that first manifests in the parotid gland, regardless of the subsequent stage of the diseases, whether it arises in the parenchyma or intraglandular lymph nod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parotid lymphoma and identify its optimal treatment modality. Materials and Methods: Six cases with parotid mass as first presentation of malignant lymphoma between 1988 and 2000,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clinical features, diagnostic tools, treatment modality, treatment outcomes, and clinical stage by Ann Arbor Criteria. All were microscopically reevaluated and classified by NCI working formulation. Results: All patients were males and mean age was 36.7 years (2-66 years). Rapid growing non-tender mass was presented in all the cases and cervical lymphnodes were palpated in 4 cases. However, there was not any evidence of concurrent autoimmune disease such as Sjogren's syndrom or Rheumatoid arthritis. One case was confirmed by surgical specimen after superficial parotidectomy, 2 by excisional biopsy, and 3 by incisional biopsy. The stage of disease by NCI working formulation was IE in 1 patient, IIE in 4 and IV in 1. All were classified into non-Hodgkin' lymphoma, of which there were 5 cases of B-cell type and 1 case of T-cell type. There were 3 diffuse large cell lymphomas, 1 Burkitt lymphoma, 1 MALT lymphoma and 1 T-lymphoblastic lymphoma. Three cases were treated by chemotherapy only, 2 by radiotherapy only and 1 by chemo-radiotherapy. One case with Burkitt lymphoma was died from the disease and one case was lost to follow-up. The others are alive with no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s: Although primary parotid lymphoma is rare and difficult to diagnose preoperatively, most were detected in early stage and showed a relatively good response to the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like other types of extranodal malignant lymphoma.

  • PDF

흉벽에 발생한 원발성 종양에 대한 고찰 (Clinical Review of Primary Chest Wall Tumors)

  • 백효채;강정한;최성실;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175-181
    • /
    • 2003
  • 원발성 흉벽종양은 흉부의 연조직이나 뼈 또는 연골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종양으로서 전체 원발성 종양의 약 l∼2%를 차지한다. 수술적 절제술은 만성 궤양이나 심한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조직학적 진단 및 수술방법에 따라서 장기생존이 가능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1976년 9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원발성 흉벽종양을 가진 125명(양성종양 86명, 악성종양 39명) 의 환자에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하여 수술결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결과: 양성종양은 수술적 치료로 재발 없이 완전 치료가 되었으며 악성종양은 대부분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환자에 따라 수술 후 보조요법을 병행하였다. 양성종양 중 신경초종이 가장 많았으며 악성종양은 악성섬유성조직구종이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악성종양의 경우 3년 생존율이 76.0%, 10년 생존율이 60.5%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으며 외래 추적 중 사망한 환자의 원인은 원격 전이에 의한 장기부전 이었으며 11명에서 재발하였다. 안전거리 절제면을 4 cm 이상과 미만으로 구분하였을 때 두 군간의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양성종양의 경우 수술적 치료로 재발 없이 완치가 가능하였으며 악성종양도 비교적 좋은 장기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안전거리 4 cm는 예후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재발 시에는 예후가 좋지 않았다.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for Malignant Skin Melanoma Treated with Radical Surgery

  • Majewski, Wojciech;Stanienda, Karolina;Wicherska, Katarzyna;Ulczok, Rafal;Wydmanski, Jerz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709-5714
    • /
    • 2015
  • Aim: To assess the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malignant skin melanoma and prognostic factors for distant metastases (DM),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113 patients with malignant skin melanoma (60 females, 53 males, average age-55 year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Primary treatment consisted of local excision. In 12 cases, it was accompanied by lymph node excision. In 93 (82%) cases, radicalization was necessary, which was either local only (19 cases) or accompanied by lymph node surgery/biopsy (74 cases). Possible prognostic factors such as Clark's stage and Breslow's depth of invasion, ulceration, average tumor dimensions, lymph nodes metastases (pN+), gender, tumor location and primary excision margins were considered. Results: In 51 (45%) cases, treatment failure occurred. The 5-year DM rate was 47%, the 5-year DFS was 38%, and the 5-year OS was 56%.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 important factor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endpoint included Clark's stage, Breslow's depth of invasion, ulceration, average tumor dimensions, lymph nodes metastases, gender and primary tumor localization. The presence of metastasic nodes wa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with a 5-year DM rates of 30% for pN(-) and 76% for pN(+) and a 5-year DFS and OS of 56% and 76% for pN(-) and 13% and 24% for pN(+), respectively. The average tumor dimension was independently significant for DFS and OS, with 5-year rates of 69% and 80% for ${\leq}1cm$, 28% and 53% for 1-2 cm, and 18% and 30% for >2 cm, respectively. Tumor location was also significant for DM and OS, with 5-year rates of 69% vs 33% and 41% vs 66% for trunk vs other location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natural course of a malignant skin melanoma treated radically is disadvantageous, with unsuccessful outcome in nearly half of the cases. Common clinical factors, such as Clark's tumor stage, Breslow's depth of invasion and the presence of metastatic nodes, have high prognostic significanc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primary lesion may be considered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The most important negative prognostic factor is the presence of metastatic regional lymph nodes. Only one quarter of patients with metastases in lymph nodes survive 5 years from primary surgery.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의 적정 방사선 조사 영역에 대한 고찰 (Optimal Radiation Therapy Field for Malignant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Multiforme)

  • 조홍래;최영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199-205
    • /
    • 200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 환자들의 방사선 치료 시 가장 적절한 조사 영역을 알아 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으로 진단되어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MRI로 추적관찰이 시행된 환자 중 재발이 확인된 21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원발 병소 바깥 경계에서부터 처음 재발이 확인된 병소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외에 종양의 크기, 부종의 정도, 수술 절제의 범위, 감마나이프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 다발성 병변 등이 재발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총 21명 중 18명$(86\%)$이 2 cm 이내에서 재발을 하였다. 이들 중 1 cm 이내가 12명, $1\~2\;cm$ 사이의 재발이 6명이었다. 나머지 3명의 재발은 3 cm, 4 cm, 5 cm, 떨어져서 각각 재발을 하였다. 2 cm 이상 떨어져 재발한 3명은 모두 다발성 병변이 있는 환자였다. 종양의 크기, 부종의 범위, 수술 절제의 범위, 감마나이프 시행 유무에 따른 재발의 양상에 차이가 없었다. 다만 다발성 병변일 경우 더 멀리서 재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에서 재발 양상은 원발 병소 준위의 2 cm 이내 재발이 주 재발 양상이었다. 방사선 조사영역의 넓이는 부종의 범위나, 병소의 크기, 감마 나이프 수술 등에 따라 더 넓힐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다발성 병변의 경우에는 단일 병소보다 더 넓은 조사 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관지에 발생한 원발성 신경초종-2예 보고- (Primary Schwannoma of Bronchus - 2 case report-)

  • 홍순창;박인규;김대준;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36-1039
    • /
    • 2004
  • 기관 및 기관지 종양은 대부분이 악성 종양이며 양성 종양은 10% 이내에 불과하다. 특히 폐에 발생하는 원발성 신경성 종양은 전체 폐종양의 2% 이하로 대부분이 Schwann세포에서 기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양은 주로 고립성 양성 종양으로 나타나며 드문 경우에 악성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기관지내 신경초종은 폐의 원발성 종양 중에서 발생빈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내 신경초종으로 폐엽절제술을 시행한 2예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