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dentition,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5초

유치와 영구치의 외상에 관한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TRAUMATIC INJURIES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TEETH)

  • 허수경;최남기;김선미;양규호;박지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42-651
    • /
    • 2008
  • 본 연구는 2003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와 응급실에 치아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570명(치아수: 1394개)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분포, 발생원인 및 장소, 손상 받은 치아의 위치 및 유형, 초진시 처치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외상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1. 성별에 따른 발생빈도는 1.9:1로 남자의 비율이 높았고, 나이에 따른 발생 빈도는 1세, $6{\sim}8$세, $17{\sim}18$세 때 높았다. 2. 외상의 원인은 유치열과 혼합치열에는 넘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영구치열에서는 교통사고와 싸움으로 인한 손상 빈도가 높았다. 외상을 입은 장소는 유치열은 집에서, 혼합치열, 영구치열에는 길에서 비율이 높았다. 3. 외상시 손상 받은 치아의 위치는 유치와 영구치 모두 상악 중절치의 비율이 높았다. 손상의 유형은 유치와 영구치 모두 치주조직의 손상이 많았는데, 유치는 아탈구, 진탕, 함입 순이었으며, 영구치는 아탈구, 진탕, 완전탈구 순이었다. 4. 초진시의 처치는 특별한 처치 없이 경과를 관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유치는 33.1%, 영구치에서는 44.5%의 재 내원률을 보였다. 치주조직 손상 후 유치는 20.3%, 영구치는 26.6%의 치수 괴사율을 보였다.

  • PDF

한국인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FOR THE CHILDREN IN THE PRIMARY DENTITION OF KOREAN)

  • 김동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4-75
    • /
    • 1978
  • In order to know cephalometric norms for the preschool children, this roentgeno cephalometric study was undertaken in each 50 Korean male and female children of primary dentition age from 4 to 5 yea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skeletal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angular measurement and the linear measument of the male was generally greater than that of the female. 2. Saddle angle was $122.3^{\circ}$, articular angle was $147.6^{\circ}$, gonial angle was $119.4^{\circ}$ and the sum of each angle was $396.1^{\circ}$ in male and $396.6^{\circ}$ in female. 3. The ratio of mandibular body to anterior cranial base was about 1 : 0.91. 4. In the primary dentition, suggested that the nasion and point A move forward relative to sella turcica in a fashion, pogonion and point B are equal in angular position relative to plan S-N, bony chin and chin button was yet underdeveloped, and the forward growth of mandible was seen rapid than maxilla after 4 years. 5. Suggested that the percentage of anterior facial height to the posterior facial height were 64.4% in male and 64.1% in female. 6. Maxillary primary incisors was more upright than the permanent incisors, mandibular primary incisors was inclined lingually relative to the permanent incisor, and primary incisors was more upright than the permanent incisors. 7. Maxillary primary incisors in female was inclined labially than male. 8. In the the relationship of the upper lip and lower lip to the esthetic line, the upper lip was 2.11mm and the lower lip was 2.33mm front of the esthetic line.

  • PDF

보호자(保護者)의 구강보건관리태도(口腔保健管理態度)와 유치열기(乳齒列期) 아동(兒童)의 치태지수(齒苔指數)와의 관계(關係)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DENTAL HEALTH OF THEIR CHILDREN AND THE DENTAL PLAQUE INDEX OF CHILDREN WITH PRIMARY DENTITION)

  • 임광호;김남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15-232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s dental health and dental plaque index. Dental plaque index was obtained through oral examination of 118 children(female 40, male 78) with primary dentition The maintenanc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though parents' aids was evaluated by means of questionaire to which 79 persons among the 118 children's parents answ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hildren with primary dentition, toothbrushing together with toothbrushing instruction and continuous reinforcement had decreased plaque accumulation progressively. 2. Dental plaque index before toothbrushing showed that dental plaque was accumulated more in the buccal surfaces of teeth in the maxilla and in the lingual surfaces of teeth in the mandible. It was higher in the posterior teeth than in the anterior teeth and in the maxillary teeth than in the mandibular teeth. 3. Dental plaque index of childer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ir parents. 4. Those parents who have much knowledge of oral hygiene were more positive toward their children's oral hygiene.

  • PDF

유치의 치은열구 깊이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STATISTICAL STUDY OF THE DEPTH OF THE GINGIVAL SULCUS IN THE PRIMARY TEETH)

  • 성광숙;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5-150
    • /
    • 1984
  • Author have measured the depth of gingival sulcus of the primary teeth. 333 teeth were selected from the children who attended on the department of pedodontic,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and kindergarten children at Won Ju city aged from 1 year 8 months to 10 year 2 months. 1998 point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acial surface was the shallowest in sulcus depth compared with other surfaces. It was 1.56 mm. The depth of sulcus in lingual surface was deeper than facial. 2. The deepest part of each surface was mesial and distal,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mesial and distal part of the sulcus depth. 3. The mean sulcus depth of each tooth was as follows. Primary central incisor.....1.71mm. Primary canine....1.75mm. Primary second molar.....2.03mm. 4. The mean sulcus depth of upper was 1.86mm, and the lower was 1.76mg. The upper tooth was deeper than lower in sulcus depth. 5. The lower primary central incisor had the shallowest sulcus and the upper 2nd primary molar had the deepest compared with other tooth. 6. There wasn't specific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of primary dentition and mixed dentition.

  • PDF

구강 내 사진을 이용한 유구치 관계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rimary Molar Relationship using Digital Photograph)

  • 임소영;강정민;황동환;최형준;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6-43
    • /
    • 2020
  • 유치열기 어린이의 교합적 특성에 대해 국외에서는 관련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으나 최근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는 희소하며 서로 다른 인종 간에 교합양상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 논문의 목적은 경기도 화성시에 거주하는 한국 어린이의 유구치 교합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한 명의 소아치과 전문의가 치과의원에 내원한 만 2 - 5세 유치열기 어린이들의 구강 내 임상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 명의 평가자가 유구치 교합관계를 평가 및 분류하였으며 성별, 연령 등의 환자 정보를 기록하였다. 총 389명에서 좌우측의 교합관계가 동일하게 근심계단형인 경우가 6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양측 모두 수직형인 경우는 15.4%, 원심계단형인 경우는 4.9%로 나타났다. 좌우측의 교합관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근심계단형과 수직형의 조합이 14.7%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모집단 일부에서는 유견치 관계를 분류할 수 있었고 좌우측 동일하게 1급 유견치 관계인 경우가 4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구치 교합관계는 영구치열기로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하거나 교합유도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소아치과의사의 유치열기 교합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최근 경향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

유치열(乳齒列)의 치간공극(齒間空隙)에 관(關)한 통계학적(統計學的) 연구(硏究) (THE STATISTICAL STUDY OF INTERDENTAL SPACE IN THE PRIMARY DENTITION)

  • 고천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3-61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tistically evaluate the spacing of primary denti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space existed and measurement of amount of space in 205 children (male 114, female 91) from 2 to 6 years of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incidence of interdental space on each region, spacing between the primary lateral incisors and primary canine in maxilla and between the primary canine and 1st primary molar in mandibl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n the other hand, spacing between the 1st and 2nd primary molars in both jaw showed the lowest percentage. 2. In the kinds of interdental space, the state of primate space and other space together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nd in the degree of spacing, $S_2$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both jaw. 3. In the incidence of primate space, maxillary primate space showed higher percentage than mandibular primate space in bilateral case. 4. In the type of arch form, spaced arch showed higher percentage than closed arch and about the half of closed arch showed crowding. 5. In both Jaw, available space showed incisor segments, canine segments, and premolar segments in order of amount, and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x or jaws in the amount of available space.

  • PDF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구개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UMES AND FORMS OF THE PALATE FOR DECIDUOUS AND PERMANENT DENTITION)

  • 양연미;백병주;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96-70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 석고 모형을 이용하여 전방부, 중간부, 후방부 및 좌측부와 우측부의 구개용적 그리고 구개 전방, 중간, 후방 부위의 좌우 및 중앙 부위의 상하 구개 곡선을 측정하여 남녀간, 좌우간, 유치열과 영구치열간의 차이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구개의 좌우 용적과 높이의 차이를 통한 구개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개(유치열과 영구치열의 남녀 각 50)의 상악 석고모형을 제작하여 각 계측점을 결정한 후 3D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표준평면과 수직평면 등을 형성하고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개용적과 구개높이는 유치열과 영구치열 남녀 모두에서 우측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았다(P<0.05). 2. 구개높이는 남자가 높게 나타났으나 영구치열의 견치 사이와 제2소구치 사이에서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였다. 3. 전후 중앙부 구개높이의 경우 남녀 모두 유치열은 유중절치 치간 유두점 에서 20mm 전후, 영구치열은 중절치 치간 유두점에서 30mm 전후지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견치 사이의 구개높이는 유견치 사이에 비하여 낮아지고 넓어졌으며, 제2소구치 사이는 제2유구치 사이보다 높아지고 넓어졌다.

  • PDF

아동의 부착치은 폭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CHILDREN)

  • 유인아;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2-134
    • /
    • 2000
  • 각화치은, 부착치은의 폭경, 치은열구의 깊이에 대해 성인에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동에서의 연구는 드물었기 때문에,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의 모든 치아에 대하여 아동의 협측 각화치은 및 부착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 깊이에 대한 정상치를 구하고, 악골의 발육 및 치아의 맹출과의 관련성을 고찰하며, 점막치은 문제의 발현빈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열의 부착치은 폭경은 상악 유측절치 및 유견치에서 각각 3.50mm, 3.55mm로 최대값을, 하악 제1유구치에서 1.34mm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영구치열의 경우에는 상악 측절치에서 3.00mm로 최대값을, 하악 제1소구치에서 0.55mm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상하악 동명치아 비교시 상악 치아가 하악 치아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었고, 남녀간 차이에는 특별한 규칙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2. 연령증가에 따른 부착치은 폭경의 변화 양상은 유치열의 경우 유견치, 제1유구치, 제2유구치에서 6세부터 증가하였다. 영구치의 경우 남자에서는 하악 중절치와 상악 제 1대구치의 측정값만이 연령에 따른 증가 추세를 나타냈으나(p<0.05), 여자에서는 상하악 중절치 측절치 및 상악 제1대구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각화치은 폭경의 증가 추세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3. 치아교대기에서 부착치은 폭경의 차이는 남자 상악 중절치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유치에서의 측정값이 영구치에서의 측정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6제부터 12세까지는 각화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의 깊이는 대부분 유치 초기값보다 그 계승영구치 최종값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p<0.05), 부착치은의 폭경에서는 유치 초기와 그 계승영구치 최종값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점막치은 문제 발현 빈도는 남녀에 상관없이 유치열은 상하악 제 1유구치가, 영구치열은 상하악 모두 제 1소구치가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유치에서보다 그 대응 계승영구치에서 그 빈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연령증가에 따라 점막치은 문제의 발현 빈도는 유치열, 영구치열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하악 제1유구치, 하악 영구 견치, 제1, 제2소구치의 경우 연령의 증가와 상관없이 비슷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화성시 거주 유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치간 공극과 총생에 대한 예비연구 (Anterior Spacing and Crowding in the Primary Dentition in Hwaseong City : A Preliminary Study)

  • 한지예;황동환;최형준;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7-40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성시에 거주하는 유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공극과 총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한 명의 소아치과 전문의가 만 3 - 4세 유치열기 어린이들의 구강 내 임상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400명 중 237명이 포함 기준을 충족하였다. 전치부 공극의 유무는 인접면 접촉의 유무로 판단하였다. 상악에서 생리적 치간 공극이 관찰되는 어린이는 47.3%였으며, 하악에서는 38.0%였다. 양악 모두에서 접촉 혹은 총생의 치열을 보이는 어린이는 43.5%였다. 여아보다 남아에서 생리적 치간공극이 존재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상악에서는 영장류 공간이 발육공간에 비해 더 많이 발견되었으나, 하악에서는 그 차이가 적었다. 상악에서는 유중절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경우보다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어린이가 더 많았으며, 반면 하악에서는 유중절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어린이가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사이 혹은 유측절치와 유견치 사이에 공극이 있는 어린이보다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3 - 4세 유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공극과 총생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더 많은 표본으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치열기의 전치부 공극 혹은 총생은 어린이 개인에 따라, 성별에 따라, 악궁에 따라, 치간 위치에 따라 다른 정도를 보이므로, 치과의사는 유치의 치관부를 수복할 때 이에 대한 인식 하에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정상교합을 가진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ANALYSIS FOR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 서문선;손흥규;백형선;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8
    • /
    • 2005
  • 소아치과 영역에서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은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며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한데 유치열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유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표준치를 얻고 과거 연구에서의 계측치와 비교하고자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 중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안모 및 전신 발육 상태가 양호한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2. SNA는 $81.3^{\circ}$, SNB는 $76.6^{\circ}$, ANB difference는 $4.7^{\circ}$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남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는 $84.2^{\circ}$, UA to SN은 $90.8^{\circ}$를 나타냈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