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y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동해에서 채집된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ea, Korea)

  • 이해원;강용주;허성회;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50
    • /
    • 2007
  • 도루묵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 연안해역에서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2003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매월 채집된 2,115개체의 도루묵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도루묵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단각류(Amphipoda)였으며, 다음으로 곤쟁이류(Mysidacea), 두족류(Cephalopoda),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밖에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난(Eggs), 이매패류(Bivalvia), 선형동물(Nematoda), 해초류(Seagrass) 등도 도루묵의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양이 매우 적었다. 도루묵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보였는데, 가장 작은 크기군인 체장 9~10 cm 크기군에서는 곤쟁이류와 단각류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도루묵의 크기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체장 16~23 cm 크기군에서는 단각류의 점유율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두족류와 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였다.

부산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황돔(Dentex tumifron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 김하원;박주면;백근욱;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0
    • /
    • 2012
  • 부산 연안해역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집된 황돔($Dentex$ $tumifrons$) 317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황돔의 표준체장(SL)은 10.2~27.8 cm 범위였다. 황돔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새우류(Macrur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어종(carnivore)이었다. 새우류 다음으로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다음으로 집게류(Anomura), 단각류(Amphipoda), 게류(Brachyura), 극피동물(Echinodermata), 두족류(Cephalopoda) 순으로 섭식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Polychaeta), 갯가재류(Stomatopoda), 이매패류(Bivalivia), 패충류 (Ostracod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10~13 cm의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13~16 cm 크기군에서는 새우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새우류,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25 cm 이상의 크기군에서는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한국 남해안에 출현하는 태평양참다랑어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윤상철;유준택;이성일;김장근;최광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553-560
    • /
    • 2015
  •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were examined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of 330 specimens caught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2011. The size of Pacific bluefin tuna used in this study ranged from 34.1 to 67.3 cm in fork length (FL). The percentage of empty stomachs was 41.8%. The main prey items were Pisces and Cephalopoda based on percentage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The main fish preys were Trachurus japonicus, Bregmaceros japonicus, Engraulis japonicus, and Cephalopoda were Todarodes pacificus, Loligo edulis, Watasenia scintillans. T. orientalis showed ontogenetic change in diet composition. Although Pisces dominated the diet of all length classes the portion of Cephalopoda was relatively higher in size between 40 and 50 cm other than length classes. In terms of seasonal variation in feeding habits, Pisces was the main prey group in all seasons, but Cephalopoda was also frequently consumed during spring and autumn based on %IRI.

부산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Scorpaena neglec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corpaena neglecta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 허성회;박주면;남기문;박세창;박찬일;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2
    • /
    • 2008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부산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살살치 478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살살치의 표준체장은 9.0~23.5 cm의 범위를 보였다. 살살치의 주요 먹이생물은 반딧불게르치, 줄비늘치, 도화망둑 등과 같은 어류였으며, 그 다음으로 새우류, 게류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외 두족류, 갯가재류 등도 위내용물에서 발견되었으나 그양은 많지 않았다. 표준체장 16 cm 이하의 살살치는 게류와 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16 cm 이상에서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살살치의 먹이생물크기를 살살치의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해 남부 연안에 출현하는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과 수염문절(Amblychaeturichthys sciistius)의 먹이 분할 (Diet Partitioning between Co-occurring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and Amblychaeturichthys sciistius in the Southeastern Korean Waters)

  • 허성회;박주면;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86
    • /
    • 2016
  • 본 연구는 동해 남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도화망둑 (Amblychaeturichthys hexanema)과 수염문절 (A. sciistius)의 위 내용물을 분석하여 두 어종의 위 내용물 조성을 조사하고, 종 간 그리고 성장에 따른 먹이자원의 분할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도화망둑과 수염문절은 저서성 갑각류를 주로 섭식하는 저서 섭식 육식성어류였다. 저서성 무척추동물과 부유성 먹이 또한 각각 도화망둑과 수염문절의 먹이로써 중요도가 다소 높았다. 중량비 자료를 이용한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와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es)에서 두 어종의 위 내용물 조성은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두 어종 모두 성장에 따른 위 내용물 조성 변화에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두 어종이 섭식한 먹이생물의 차이는 섭식 행동의 차이와 관련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해역에서 두 어종의 위 내용물 분석 결과는 도화망둑과 수염문절 사이에 생태지위 분리의 증거와 먹이 자원에 대한 종 간 경쟁 감소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Direct Interaction between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 and FK506 Binding Protein 38 in Cashmere Goat Fetal Fibroblast Cells

  • Wang, Xiaojing;Wang, Yanfeng;Zheng, Xu;Hao, Xiyan;Liang, Yan;Wu, Manlin;Wang, Xiao;Wang, Zhig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2호
    • /
    • pp.1671-1677
    • /
    • 2014
  •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 (Rheb) and FK506 binding protein 38 (FKBP38) are two important regulatory proteins in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pathway. There are contradictory data on the interaction between Rheb and FKBP38 in human cells, but this association has not been examined in cashmere goat cell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Rheb and FKBP38, we overexpressed goat Rheb and FKBP38 in goat fetal fibroblasts, extracted whole proteins, and performed coimmunoprecipitation to detect them by western blot. We found Rheb binds directly to FKBP38. Then, we constructed bait vectors (pGBKT7-Rheb/FKBP38) and prey vectors (pGADT7-Rheb/FKBP38), and examined their interaction by yeast two-hybrid assay. Their direct interaction was observed, regardless of which plasmid served as the prey or bait vect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2 proteins interact directly in vivo. Novel evidence is presented on the mTOR signal pathway in Cashmere goat cells.

북동 대서양에서의 중심층 및 상부점심층산 앨퉁이과 어류 마이크로넥톤의 섭이양식 (Food and feeding activity of micronektonic fish, Gonostomatidae, from meso-and upper bathypelagic layers in the northeastern Atlantic)

  • 고유봉;쥴리안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1
    • /
    • 1986
  • 북동대서양 Rockall Trough(수심 약 3,000m)과 Poucupine seabight(수심 약 4,000m)의 중심층 및 상부 점심층에서 채집된 어류 micronekton 중, 우점생물인 Gonostomatidae과 10개 종에 대해 먹이 및 식성을 조사했다. 양해역 모두에서 2종 류에 대해서는 상세히 기술했다. 이들 생물은 일정한 섭이시간대가 없이 비주기적 으로 섭이했고, 한번에 조금씩 섭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요먹이생물은 요각류 (약 72% 이상) 및 패충류(약 13% 이상)로서 대부분이 어체장의 10%미만인 소형생 물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먹이생물이 풍부치 못한 환경인 심층에서의 서식에 매우 적합한 적용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시식층과 먹이생물을 둘러싼 종간 관계가 역시 논의 되었다.

  • PDF

제주도 김녕 연안해역의 방어 어장형성 특성과 자원생물학적 기초 연구 (Acharacteristics on the forming of fishing ground and population ecological study of Yellow tail, Seriola quinqueradiata, in the coastal waters off Gim-nyeong of Jeju Island, Korea)

  • 장대수;유준택;김병엽;이승종;권대현;구준호;안젬마;오임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4호
    • /
    • pp.406-415
    • /
    • 2010
  • The forming of fishing ground and the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in the coastal waters off Gim-nyeong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The stock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between Jeju Island and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s probably the same. Water temperature probably is a major factor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yellowtails in deeper, offshore areas off Jeju Island. However, the major factor that determines aggregation of yellowtails in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especially off Gim-nyeong is probably strong tidal currents driven by distribution of yellowtails rather than hydrological conditions such as Yellowtails collected off Jeju Island were from 1 to 4yrs old and about 50% of them were $1^{-yr}$ old, probably indicating overfishing. Jack mackerel was the major prey item for yellowtails off Gim-nyeong from October to March, suggesting concurrence of the two species.

필리핀 일로일로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몽치다래(Auxis rochei)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Bullet Mackerel, Auxis rochei (Risso, 1810) in the Coastal Waters of Iloilo, Philippines)

  • 백근욱;;;김현지;정재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9-354
    • /
    • 2014
  • 필리핀 일로일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몽치다래(Auxis rochei)의 위내용물 조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2013년 12월에서 2014년 5월까지 매월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몽치다래의 총 개체수는 200개체였다. 이들의 가랑이체장(FL)은 11.1~31.2 cm의 범위를 보였다.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몽치다래는 어류(fishes)를 가장 선호하는 epipelagic feeder로 나타났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shirmps), 요각류(copepods), 게유생 (crab larvae), 단각류 (amphipods), 두족류 (cephalopods)로 나타났으며, 갯가재류 (stomatopods), 이매패류 (bivalves), 패충류(ostracods) 등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몽치다래의 섭식패턴에 대한 도해적방법의 결과는 몽치다래가 좁은 섭식폭을 가지며, 어류를 주로 섭식하는 specialized feeder임을 보였다. 모든 크기군에서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어류의 섭식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황강달이(Collichthys lucidus)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Collichthys lucidu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정수환;김병기;김지혜;김민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3-309
    • /
    • 2014
  • 황강달이의 섭식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총 926개체를 한강 하구역에서 채집하였으며, 전장 범위는 3.5~18.5 cm였으며, 산란기는 5~7월 경이었다. 먹이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종은 능동적인 저서포식자이며, 특히 절지동물문 중 십각류인 중국젓새우와 밀새우를 주로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종의 공복률은 총 23.8%였으며, 성장 및 계절에 따른 공복률의 변화가 있었으며 먹이생물 역시 각 특성에 따라 변하였다. 섭식행동 및 먹이생물 종은 계절에 따른 생식소 지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한강 하구역의 황강달이 위 내용물에서는 넒은 범위의 먹이생물 종이 확인되어 비선택적 포식자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