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last 10-20 years. It is important to initiate prevention efforts early in childhood because prevalence of obesity in adolescence is the strongest predictor of its prevalence in adulthood. Intrauterine life, infancy, and preschool years may comprise the critical periods that are essential for the long-term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therefore, obesity-prevention strategies should be initiated in utero and continued throughout childhood and adolescence. Families with high-risk children should be provided early education about maintaining normal weight. Encouraging physical activity and, especially, avoiding inactivity, are key challenges in the prevention of future obesity. Schools should be primarily involved in educating parents to discourage their children from excessively watching TV or playing computer games and eating unhealthy snacks and food. The involvement of medical practitioners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in the case of obese parents, obesity prevention strategies should be promoted from the first visit of pregnant women to the physicians. Health professionals can also be involved in obesity prevention because they are ideally equipped to identify young children at risk of obesity. Community and nation-wide efforts to increase awareness and promote environments that encourag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y nutrition are required.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pre-obesity (overweight) and above in adult women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2), conducted in 2020. The sample comprised 2,288 women aged 19-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NHANES VIII-2.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design analysis with SPSS version 20.1. Results: The prevalence of pre-obesity and above among adult women was 46.5%, with 18.6% classified as having pre-obesity and 27.9% as having obesity. A higher prevalence of pre-obesity and above was observed in women aged 50-59 years (odds ratio [OR]=1.67, p=.019) or 60-64 years (OR=1.80, p=.029); women whose highest educational attainment was high school (OR=1.28, p=.018) or middle school or less (OR=1.60, p=.017); those in middle-income households (OR=1.55, p=.005); those engaging in muscle-strengthening activities less than 2 days per week (OR=1.37, p=.019); and those sleeping less than 6 hours per night during the week (OR=1.37, p=.025). Conclusion: As nearly half of all adult women have either pre-obesity 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must target both groups. Interventions should be prioritized for women in their 50s and older, as well as those with low education or income levels. Additionally, receiving adequate sleep of 7 hours or more and engaging in muscle-strengthening activities at least 2 days per week are important components of obesity management.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children is estimated to be around 10%, and ha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20 years. Metabolic syndrome, which includes central obesity, glucose intolerance,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and hypertension, is a well documented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s, but there is no general consensus concerning its definition for children. In this study, ablut 30-40% of overweight or obese children had metabolic syndrome compared to less than 10% in the general population. Dyslipidemia was the most common component and hyperglycemia was the least common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If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continues to increas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ll also increase.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obesity in addition to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s.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revalence and identify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Methods: This i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prospective cohort study. Our analysis included 338 elderly women (${\geq}65$ years old) in South Korea as a part of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Health Cohort (COHC) Study (2014-2015). Sarcopenic obesity was defined as the Asian Working Group of Sarcopenia recommendations and upper two quintiles for percentage body fa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including chronic diseases, medications, stress, fatigue, depression, exercise, level of proteins on body compositions, smoking, and alcohol use.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c obesity was 6.2%. A lower protein on body compositions (OR 0.017, 95% CI 0.003-0.081, p< .001), a larger number of medications (OR 2.104, 95% CI 1.404-3.152, p< .001), and a higher level of fatigue (OR 1.255, 95% CI 1.023-1.541, p= .030) were related factors of sarcopenic obesity.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nutritional interventions focusing on protein intakes should be needed to prevent sarcopenic obesity among the elderly women. Polypharmacy issue for preventing adverse outcomes and level of fatigue as indicator for early identification are also considered to develop community prevention programs.
Obesity is correlated with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cardiovascular, renal, neurologic, psychological and many other disease. Owing to the elevated income and behavioral changes, the prevalence of obesity has remarkably increased in Korea also. Considering the trend of the epidemic, we can easily expect the excessive spendings for the treatment of the obesity-related diseases in near future. In order to check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serum lipid levels of Korean employees, we analyzed the medical check-up sample data of 10,332 adults who took physical check-ups at an institute in 2006.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e prevalence rate of total risk group showing ${\geq}23.0Kg/m^2$ was 57.4% and uric acid was found to be a definitive factor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the adults who eat more meat, drink more and smoke more smoking, the values of BMI, uric acid, cholesterol, HDL- and LDL-cholesterol and T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rest of the examinees. And the average BMI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ose who have risk factors of liver disease, hypertension, cardiovascular and heart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To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in affecting factors of prevalence of obesity and hypertens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20 to 59 years old people were classified by permanent and temporary workers(n=566).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purposive quota sampling to ask disease, income and health habits. I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on hypertension and obesity,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as age and obesity increased regardless of employment type. In particular, temporary workers with lower income were more likely to have hypertension(p<0.001).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significantly lower for female than for male regardless of employment type. In particular, temporary workers had a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as their dinner fidelity decreased(p<0.001). As a result, chronic disease managemen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lower income and dinner fidelity should be intervened in more useful way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changes in obesity prevalence and dietary habits in Korean adults residing in various residential areas during the last 10 years. Methods: Data on Korean adults aged 19 years and above was obtained from the 4th (2007-2009) and the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metropolitan (4th: n=5,977, 7th: n=6,651), urban (4th: n=4,511, 7th: n=5,512) and rural (4th: n=3,566, 7th: n=2,570) based on their residen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intake amount, food groups, and healthy dietary factors wer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s and obesity prevalence were analyz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obesity rate increased in the 7th survey compared to the 4th survey, excluding the metropolitan area. The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and lipid intake increased in the 7th survey compared to the 4th survey. Over the same period, the intake of cereals and vegetables decreased, and the intake of meat and processed foods increased. Rural residents had a higher intake of cereals and vegetables, and a lower intake of milk and processed foods than those in metropolitan areas and urban residents.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practiced a healthy diet increased in the 7th survey compared to the 4th survey. In the 4th survey, there was no relationship seen between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subject's residential area, but in the 7th survey, the odds ratio of obesity was higher in rural areas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s, confirming the regional gap (OR: 1.16, 95% CI=1.00-1.36, P=0.044).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obesity prevalence increased in rural residents compared to metropolitan residents, indicating a gap between the regions. The nutrient intake and intake of food groups changed in the 10 years under consider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seen between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policy that will reduce obesity prevalence and health inequalities between regions.
Obesity is a complex multifactorial disease that is associated with va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s.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young adult males has increased, and this has increased the prevalence of several comorbidities. This trend was closely linked to lifestyle factors, including heavy drinking, smoking cigarettes, and an imbalanced diet. Thi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lifestyle improvements for effective obesity management. In this case, the comprehensive lifestyle changes and adjuvant medication resulted in weight loss and improvement in several comorbid conditions in a young adult male. The cas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managing obesity. Furthermore,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healthy lifestyle in addressing obesity and its complications.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has increased and exacerbated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both in Korea and globally.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poses significant risks for premature morbidity and mortality. The development of serious comorbidities depends not only on the duration of obesity but also on the age of onset.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ffects almost all organ systems, including the endocrine, cardiovascular, gastrointestinal, reproductive, nervous, and immune systems.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ffects growth, cognitive function, and psychosocial interactions during development, in addition to aggravating known adult comorbidities such as type 2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dyslipidemi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obstructive sleep apnea, and cancer.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are highly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The risk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in later life can be considerably decreased by even a small weight loss before the onset of puberty.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is a disease that requires treatment and is associated with many comorbidities and disease burdens. Therefore, early detec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re crucial.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