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olar extraction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2초

제2대구치 발치를 이용한 Class I crowding의 치험례 (TREATMENT OF CLASS I CROWDING WITH EXTRACTION OF THE SECOND PERMANENT MOLAR)

  • 박성용;최남기;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1-429
    • /
    • 2001
  • 교정 치료시 비발치에 의한 치료는 종종 치료 결과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환자의 안모가 심미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어, 조화로운 안모와 골격, 치아의 안정성을 위해 발치에 의한 교정치료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교정 치료시 바람직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소구치, 대구치 혹은 때때로 절치나 견치를 발치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데, 제1소구치 발치는 대개 I급 구치부관계의 악궁내 총생을 해결하고 치아의 안정성과 바람직한 안모를 얻기 위해 시행한다. 그러나, 안모의 함몰이나 수직 고경 상실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대구치 발치는 치료 후 안모의 풍만감이나 수직 고경이 상실되지 않고 측두하악관절에 덜 위해하며, 폐쇄해야할 공간이 없고 전치부 및 구치부의 총생을 동시에 해결하며 발치된 제2대구치를 제3대구치로 대치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료 후 채발의 관점에서도 제1소구치 발치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I급 구치부관계를 가지는 총생 환아에서 제2대구치 발치를 통해 교합과 안모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 하악 제1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에 관한 연구 (PHYSIOLOGIC DRIFT OF THE MANDIBULAR DENTITION FOLLOWING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41
    • /
    • 1996
  • 소구치 발치 직후 일정기간 동안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의도적으로 연기함으로써 의외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입증하는 임상경험을 교정의들도 가끔 하게 된다. 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현상을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이를 생리적 치아이동(driftodontics)이라 명명하였다. Driftodontics의 개념이 교정학 영역에서 조심스럽게 소개되고 있는 이유는 driftodontics의 성질과 이동되는 양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며 이러한 치아이동을 이용하기 위한 지침서가 거의 소개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제 I급 부정교합자 중 이전에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상, 하악 치열궁에 crowding이 있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기로 한 57명 (남자 16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26명으로, 평균연령은 13.5세(12.7-14.9세)였으며 제2군은 31명의 환자로 평균연령 21.3(18-22.1)세였다. 두 군 모두에서 소구치 발치 후 약7개월 정도의 driftodontics기간을 유지한 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 및 석고모형 계측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군(18세-22세)에서는 주로 하악 전치 및 견치의 후방이동이 일어났으며 하악구치는 상대적으로 이동이 미약한 정도로 나타났다. 2. 1군(12세-15세)에서는 전치부 변화 비율이 2군에 비해 더욱 많이 일어났으며, 구치변화는 2군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양은 조금 컸다. 3. 하악 전치부의 생리적 이동으로 불규칙지수(irregularity index)가 감소하고 crowding양이 감소하였다.

  • PDF

함치성 낭의 조대술 후 이환치아의 맹출 양상 (ERUPTION PATTERN OF A CYST-ASSOCIATED MANDIBULAR PREMOLAR AFTER MARSUPIALIZATON OF A DENTIGEROUS CYST)

  • 김주영;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3-384
    • /
    • 2003
  • 사춘기 전 아동에서 흔히 발생되는 함치성 낭을 조대술로 치료한 후 낭에 이환된 치아의 맹출에 영향 미치는 제반요인을 분석하여 이환된 치아의 외과적 또는 교정적 치료 유무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악 소구치 부위가 함치성 낭으로 이환되어 있으며 조대술 실시 후 8개월 이내에 촬영된 파노라마 관찰사진이 있는 5-12세 아동 총 22명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과 재진 시의 관찰기간 동안에 촬영 한 파노라마 사진으로 트레이싱 용지에 필요한 구조물과 치아를 모두 그렸으며 사진 상의 수직, 수평적인 상의 확대 및 축소의 보상을 위하여 초진사진의 제1대구치 치관크기를 기준으로 모든 사진을 표준화시켰다. 각 사진 상에서 낭에 이환된 부위를 실험군, 동일 악궁의 반대측 부위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교두깊이, 각의 크기, 낭의 크기, 교두점 위치지수를 계측하여 측정값을 얻은 후, 각 치아의 발육단계, 이환치아의 경사도, 위치의 변위율, 낭종의 면적 감소량과 치아의 맹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맹출 속도, 각의 변화율, 낭면적의 감소율, 실험군 내의 조대술 후의 평균 기간(month)을 산정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낭에 이환된 부위의 영구치의 맹출 속도는 비이환측에 비해 평균 3.5배 빨랐으며 치축의 변화는 평균 $2.7^{\circ}/month$였다. 치근의 성장 단계에 따른 변화에서는 치근의 성장단계가 낮을수록 더욱 빠른 맹출 성향을 보였으며 각의 변화에서도 치근의 성장이 1/4이하 군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낭종내 이환치의 변위에 따른 변화에서는 교두점 위치지수 차이가 30%될 때까지는 맹출 속도가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낭의 면적 감소율이 $80mm^2/month$이상 감소하는 경우 현저하게 높은 맹출 속도를 보였고 이환된 치아가 근심 변위한 경우 원심 변위한 치아보다 맹출 속도는 낮았지만 각의 변화율은 크게 나타났다. 이환된 치아의 각도 변위가 작을수록 맹출의 속도는 증가하였으며 $15^{\circ}$ 이하의 경우 각도 변화도 높게 나타났다. 조대술 후 대부분의 경우 급격한 맹출 속도와 치축 각의 변화는 6개월 이내에 일어났다.

  • PDF

상하악 측절치 발거를 통한 전치부 총생의 치료 (ORTHODONTIC TREATMENT THROUGH EXTRACT10N OF UPPER AND LOWER LATERAL TEETH)

  • 박상현;이광희;김대업;이종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47-552
    • /
    • 2001
  •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한 하악 전치의 발거는 교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적절히 사용한 경우에 부정교합 치료의 한 방향으로써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개 총생에 대한 치료는 비발치와 4개의 소구치 발거 사이에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총생이 있는 하악 전치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은 구치의 원심이동, 견치의 외측이동, 전치의 순측이동, 인접면 법랑질 삭제, 소구치 발거, 한 개 또는 두 개의 전치 발거 및 이상의 복합적인 방법들이 있다. 전치의 발거는 총생이 있거나 전치부 치아크기의 불일치 및 상악 전치의 선천적인 소실이나 이소성 맹출 등에 의해 발거한 경우에 조화를 위해서이다. 하지만 수직피개가 크고 공간이 있는 경우는 피해야 하며 전치부 수직피개의 증가는 흔한 부작용이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전치부에 심한 총생이 있고 상악 좌측 측절치의 매복과 우측 측절치의 구개측 이소성 맹출로 인해 발거한 경우로써 하악 전치부에도 심한 총생이 있었다. 따라서 요구되는 공간, 안모의 심미성, 전방교합관계, 견치간 폭경, 적은 치아이동, I급 교합관계, 발치시기 및 수직 수평피개 등을 고려하여 하악 양측절치를 발거하였다. 이에 본 증례는 상악 측절치의 매복 및 이소성 맹출을 동반한 상하악 전치부의 심한 총생이 있는 초기 영구치열기의 남아에서 상하악 양측절치를 발거하고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여 공간 폐쇄 및 견치 shaping을 통한 교정치료를 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임프란트 주위염에 대한 Er,Cr:YSGG 레이저 조사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N ER,CR:YSGG LASER ON PERI-IMPLANTITIS)

  • 최성림;김진환;황동현;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428-436
    • /
    • 2008
  • For Longevity of implant, considerations of biomechanical and microbiological aspects must be done. Recently,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bone grafting procedure. Implant has been implanted into the more favorable sites but peri-implantitis resulted from periodontal bacteria may obscure the long-term prognosis. Although many different modalities have been introduced to treat the failed implant. Implant's surface and irreversible bony destruction around the implant prevents good result. After Er,Cr:YSGG (waterlase) laser using the wave-length of 2780nm has been introduced to dental field, good results have been reported. Because waterlase uses the hydrokinetic force of water. It is excellent device to detoxify the implant surface mechanically without the heat generation and damage to the implant surface. We designed to evaluate waterlase effect on the peri-implantitis has been occurred after implantation. Four beagle dogs were involved. We have made four premolar extraction in each right and left side of the lower jaw and placed two implants in the anterior of the jaw as a control and six implant were placed posterior in each socket after extraction immediately as an experimental group. We tied floss-silk in each implant to make peri-implantitis intentionally. After three months, we explored peri-implant sites on each experimental fixtures. Using waterlase laser irradiation was performed on that implantitis sites under 3W, air 30% and water 20% intensity for 2 minutes. In control group, we repositioned the flap to cover the exposed fixture without any supportive care. Three months later, we sacrificed experimental animals and extracted and preparated bone blocks with Donath and Breuner (982), Donath (988)'s methods and examined under microscope. We have obtained good re-osseointegration around fixtures after treating with waterlaser irradiation. But it was shown fibroosseointegration in the control group.

External apical root resorption in maxillary incisors in orthodontic patients: associated factors and radiographic evaluation

  • Nanekrungsan, Kamonporn;Patanaporn, Virush;Janhom, Apirum;Korwanich, Narumanus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2권3호
    • /
    • pp.147-15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degree of external apical root resorption of maxillary incisors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nd to evaluate particular associated factors related to external apical root resorp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and maxillary incisor periapical radiographs of 181 patients were investigated. Crown and root lengths were measured and compared on the pre- and post-treatment periapical radiographs. Crown length was measured from the center of the incisal edge to the midpoint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CEJ). Root length was measured from the CEJ midpoint to the root apex. A correction factor for the enlargement difference was used to calculate root resorption. Results: The periapical radiographs of 564 teeth showed that the average root resorption was $1.39{\pm}1.27$ ($8.24{\pm}7.22$%) and $1.69{\pm}1.14$ mm ($10.16{\pm}6.78%$) for the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lacerated or pointed roots,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cases, and treatment duration were highly significant factors for root resorption (p<0.001). Allergic condi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at p<0.01. Age at the start of treatment, large overjet, and history of facial trauma were also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oot resorption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oot resorption among the factors of gender, overbite, tongue-thrusting habit, types of malocclusion, and types of bracke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carefully performed in pre-treatment extraction patients who have pointed or dilacerated roots and need long treatment duration.

Effect of archwire stiffness and friction on maxillary posterior segment displacement during anterior segment retraction: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Park, Choon-Soo;Yu, Hyung-Seog;Cha, Jung-Yul;Mo, Sung-Seo;Lee, Kee-J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393-403
    • /
    • 2019
  • Objective: Sliding mechanics using orthodontic miniscrews is widely used to stabilize the anchorage during extraction space closure.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both posterior segment displacement and anterior segment displacement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rchwi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chwire stiffness and friction change on the displacement pattern of the maxillary posterior segment during anterior segment retraction with orthodontic miniscrews in sliding mechanics. Method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constructed. The retraction point was set at the archwire level between the lateral incisor and canine, and the orthodontic miniscrew was located at a height of 8 mm from the archwire between the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rchwire stiffness was simulated with rectangular stainless steel wires and a rigid body was used as a control. Various friction levels were set for the surface contact model. Displacement patterns for the posterior and anterior seg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conditions. Results: Both the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s exhibited backward rotation, regardless of archwire stiffness or friction. Among the conditions tested in this study, the least undesirable rotation was found with low archwire stiffness and low friction. Conclusions: Posterior segment displacement may be unavoidable but reducing the stiffness and friction of the main archwire may minimize unwanted rotations during extraction space closure.

급속 진행된 상악의 NK/T-세포 악성 임파종 (RAPID SPREAD NK/T-CELL MALIGNANT LYMPHOMA OF MAXILLA)

  • 김운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435-446
    • /
    • 2001
  • Natural Killer/T-cell(NK/TC) lymphoma is a rare disease of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with an aggressive clinical course, showed unusual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is is generally poor and the disease is invariably fatal after systemic dissemination. A case of nasal NK/TC non-Hodgkin's lymphoma in the left maxilla that showed unusual clinical manifestations and a fulminant course of disease, are described with literature reviews. A 81-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rapidly growing ulceration and general malaise after extraction of right upper second premolar NK/TC lymphoma was subsequently detected by biopsy. rapid and wide invasion from maxilla to mandible developed within 10 days and multiple metastasis to whole body was after a few weeks. Although the time relationship is not clear, local invasion and multiple metastasis could be dissemination from localized disease of NK/TC. As seen in my case, the course can be excessively aggressive and fulminant even though it first appeared as a localized ulceractive lesion. She is expired 2 months after biopsy. Positivity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CD56, LCA, UCHL-1, CD3), which is a specific characteristic of NK/TC, may serve as a factor showing a poor prognosis of a malignant lymphoma

  • PDF

Rescue of a periodontally compromised tooth by non-surgical treatment: a case report

  • Cho, Young-Dan;Kim, Sungtae;Koo, Ki-Tae;Seol, Yang-Jo;Lee, Yong-Moo;Rhyu, In-Chul;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2호
    • /
    • pp.128-134
    • /
    • 2016
  • Purpose: This article describes a case of the successful non-surgical management of a periodontally compromised maxillary premolar. Methods: A combination therapy, including root planing, occlusal adjustment, and tooth splinting, was applied.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during the 16-month follow-up period. Results: All periodontal parameters were improved. There were dramatic decreases (3-6 mm) in the probing pocket depth, tooth mobility, and marginal bone loss. Interestingly, gradual resolution of the periapical radiolucency and alveolar bone regeneration were observed in the radiographs, and the periodontal condition was maintain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natural tooth preservation through proper periodontal treatment and occlusal adjustment of the periodontally compromised tooth, which is typically targeted for tooth extraction and dental implantation.

성장기 하악골 열성장 환자의 Berlin standard activator를 이용한 부정교합 치료: 증례보고 (Berlin standard activator in the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with mandibular deficiency: Case report)

  • 이승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1호
    • /
    • pp.819-828
    • /
    • 2010
  • Activator is a removable functional appliance used for correcting the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in children with the mandibular deficiency. Berlin standard activator modified from Andresen activator has following characters; do not cover the palatal surface for tongue space, relief on lingual surface of mandibular incisors and resin capping 1/3-1/2 of crown height on mandibular incisors for preventing labioversion of mandibular incisors, L-hook between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for anterior high pull headgear, relief on mandibular posterior bite block for differential eruption of posterior teeth. Two cases presented here had a mandibular deficiency and slight maxillary protrusion. First case (an 11-year-old girl)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and anterior high pull headgear for 13 months followed by fixed orthodontic appliance for another 29 months. Second case (a 12-year-old boy) treated with Berlin standard activator for 6 months followed by fixed appliance for another 24 months. Treatmen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agittal skeletal and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condyles were concentric in TMJ [ossa,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were normalized after treatment. In the retention period facial harmony and occlusal stability was main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