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ium outle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프리미엄아웃렛 이용객의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Premium Outlet Users)

  • 신종칠;정진희;백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01-412
    • /
    • 2011
  • 최근 프리미엄아웃렛은 일반적인 아웃렛과 구별되는 새로운 형태의 유통시설로서 각광받고 있다. 소비자들의 고급브랜드 선호현상과 경제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추세에 따라 여러 유통기업에 있어서 아웃렛 개발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프리미엄아웃렛 개발대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소비행태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 1,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문빈도, 방문이유, 동반고객, 출발지, 이용교통수단, 지출비용, 체류시간, 일반적인 쇼핑행동 등의 아웃렛 쇼핑센터의 이용객들의 다양한 쇼핑행동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웃렛 쇼핑객들을 프리미엄 아웃렛 이용객과 일반 아웃렛 쇼핑객으로 구분하여 그 쇼핑행동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들은 성공적인 아웃렛 개발의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프리미엄 아웃렛 쇼핑몰의 공간지각 및 이용 특성분석 -방문자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pace Cognition and Use Characteristics on Premium Outlet Shopping Mall -Focu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Visitor's Behavior-)

  • 박태원;이덕조;박승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86-496
    • /
    • 2012
  • 최근 들어 부동산시장의 변화 중 리테일 분야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아웃렛 쇼핑몰은 새로운 소매 환경변화를 보여주는 주요한 공간적 대상이다. 대도시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팩토리형 아웃렛과 스트리트형 아웃렛과는 달리, 프리미엄 아웃렛은 대도시 교외에 입지가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입지하고 있는 신세계 첼시 프리미엄 아웃렛을 방문한 쇼핑객들이 지구차원의 단지형쇼핑공간에 대한 지각된 공간요소와 이용특성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사례지 방문자 설문 중 292부의 유효설문을 바탕으로 7개의 주된 공간지각 요인을 도출하였고, 각 구성요소는 시각적, 입지적, 쇼핑지원, 인적, 분위기, 통행편의, 테넌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요인은 단지형 아웃렛쇼핑몰의 물리적 구성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구성되며, 방문객들이 상품구매 욕구와 장소애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위요소로서의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용자 특성과 지각을 고려한 아웃렛 쇼핑몰의 기획과 설계에 본 연구결과는 장소마케팅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아웃렛 쇼핑센터 개발대안 평가 (Application of Conjoint Analysis to Evaluating Alternatives for Outlet Shopping Center Development)

  • 신종칠;박정현;백민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85-499
    • /
    • 2012
  • 백화점과 할인점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많은 유통기업들은 여주프리미엄아웃렛과 같은 아웃렛 쇼핑센터 개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개발주체들은 아웃렛 쇼핑센터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하여 개발대안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하여 아웃렛 쇼핑센터의 개발대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아웃렛 쇼핑센터에 대한 잠재 소비자의 선호요인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아웃렛 쇼핑센터의 개발대안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정상가대비 할인율을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웃렛 쇼핑센터의 입지, 아웃렛 쇼핑센터의 입점브랜드가 선호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아웃렛 개발대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규 아웃렛 쇼핑센터의 최적의 개발대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외식 소비동기가 레스토랑 선택속성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 프리미엄 아울렛을 중심으로 (Motivations of Selecting Restaurants for Eating-out: Focus on Fashion Premium Outlets)

  • 류문상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2호
    • /
    • pp.57-63
    • /
    • 2018
  • Purpose -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hedonic and utilitarian eating-out motivations on the evaluation of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in a fashion premium outlet.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experimental and functional attributes on customers' preference for hedonic eating-out motives and utilitarian eating-out motives, and variation of moderating effects through the gender was examin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is. The questionnaire items for the research were modified to fit the situation of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elaborate the questionnaire, the literature of the previous researchers was reviewed and supplemented. The survey conducted 207 online questionnaires for consumers who have visited domestic fashion premium outlets from July 4, 2017 to July 27, 2017. A total of 20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2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fter excluding one inappropriate response.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d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0.0. Nex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statistical method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study. Results - Hedonic motivation had more influence on experimental attribute importance than the functional attribute importance of the restaurant. However, this resul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The effects of hedonic motives on empirical attributes were more influenced by female groups, and when influencing functional attributes, male groups were more influenced. However,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in the female group only when the hedonic eating out motives influenced empirical attributes. Conclusions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ating-out motivation on the restaurant preference attributes and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customers with hedonic eating-out motivations were evaluating experiential attributes to be more important than functional attributes. Second, for customers who are motivated to use practical eating-out habits, companies should provide services that meet practical and economic needs. In particular, female customers visiting restaurants need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that make them feel new experiences rather than practical on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complex and integrated studies which will influence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of premium outlets customers by adding various eating out motives and selection attrib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