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enstrual symptoms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청소년의 월경 태도, 학업 스트레스가 월경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olescent's Menstrual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on Menstrual Symptoms)

  • 오재우;송지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149-158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월경에 대한 태도 중 폐쇄성, 정적 수용, 신체 증상, 대처 행동, 정서적 민감성의 5항목과 학업 스트레스가 월경 증상인 월경 전 증후군과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고등학생 여학생 126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대상자의 월경 전 증후군 점수는 22.48점, 월경곤란증은 4.66점이었으며, 월경양이 많을수록 월경 전 증후군과 월경곤란증 점수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월경 전 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폐쇄성과 신체 증상, 대처 행동, 정서적 민감성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9%이었다. 또한 정적 수용과 신체 증상은 청소년의 월경곤란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66.3%이었다.

생물심리사회모델에 근거한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대처 예측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Premenstrual Coping i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Biopsychosocial Model)

  • 채명옥;전해옥;김아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7-266
    • /
    • 2017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nstruct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hich explains premenstrual coping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test the fitness with collected data. Methods: Participants were 206 unmarried women university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in A and B c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9 until April 30, 2016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3.0 and AMOS 18.0. Results: Physiological factor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remenstrual syndrome (t=6.45, p<.001). This model explained 22.1% of the variance in premenstrual syndrome. Psychological factors (t=-2.49, p=.013) and premenstrual syndrome (t=8.17, p<.001)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premenstrual coping. Also this model explained 30.9% of the variance in premenstrual coping in university students. A physiological factors directly influenced premenstrual syndrome (${\beta}=.41$, p=.012). Premenstrual syndrome (${\beta}=.55$, p=.005) and physiological factor (${\beta}=.23$, p=.015) had significant total effects on premenstrual coping. Physiological factor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premenstrual coping, but indirectly affected it (${\beta}=.22$, p=.007). Psychological factors did not have an indirect or total effect on premenstrual coping, but directly affected it (${\beta}=-.17$, p=.036).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ategies to control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menstrual pain should be helpful to improve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When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premenstrual coping ability and quality of menstrual related health, it is important to consider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perceived stress and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syndrome.

요골반부 안정화 운동이 여대생의 월경통증 및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on Menstrual Pain and Premenstrual Syndrome)

  • 김진희;김난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5
    • /
    • 201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on relief of menstrual pain and premenstrual syndrome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Thirty female students with dysmenorrh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n=15) and control group(n=15).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and control group didn't have any application to exercise. Menstrual pain measured by VAS(Visual Analogue Scale) and premenstrual syndrome measured by MDQ(Moo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scale. Results :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menstrual pain and symptoms of premenstrual syndrome, but negligible changes were foun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show that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is beneficial intervention for decrease menstrual pain and premenstrual syndrome.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환자에서 증상과 기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atology and Temperament in Patients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김성은;이정현;김덕만;박진균;기선완;김지웅
    • 정신신체의학
    • /
    • 제14권1호
    • /
    • pp.39-46
    • /
    • 2006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기질 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병태생리 및 관련된 성격 경향을 이해하며 치료 응용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의해 월경전 불쾌기분장애로 진단된 28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TPQ,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 등을 작성케 한 후,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결과 : 기질의 4가지 차원에 해당하는 점수를 독립 변인으로 하고,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표준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증상은 Cloninger가 제시한 성격의 기질을 구성하는 4가지 요인 중 손해 회피(HA) 요인과 보상 의존(RD) 요인에 대하여 유의하였으며, 특히 손해 회피(HA) 요인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증상은 높은 손해 회피(HA) 요인과 낮은 보상 의존(RD) 요인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월경전기증상 중 특히 정동 증상이 손해 회피(HA) 요인과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데, 이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기질의 특성에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이는 향후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병태생리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수용전념치료가 월경전증후군을 가진 여성의 월경 전 증상,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Premenstrual Symptoms, Attitudes about Menstruation, and Perceived Stress of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 정민정;나미옥;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485-495
    • /
    • 2017
  •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월경전증후군을 가진 20대 여성들의 월경 전 증상,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3~4년제 대학생 263명 중 21명이 참가자로 선발되었다. 참가자들은 월경전증후군 진단을 받았고, 수용전념치료집단 7명, 인지행동치료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수용전념치료와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0회로 진행되는 도중 수용전념치료 집단에서 참가자 1명이 개인사정으로 인해서 탈락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월경 시작 시점에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약 1달 뒤 월경 시점에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월경 전 증상 중 정서요인이 수용전념치료집단과 인지행동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다. 월경에 대한 태도는 수용전념치료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인지행동치료집단은 추적조사에서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수용전념치료 집단이 통제집단과 인지행동치료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그 수준은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Changes and Degree of Stress Perception)

  • 김회경;조숙행;신동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61-71
    • /
    • 199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월경전기변화와 스트레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전향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월경전기 변화가 확인된 군(n=32)과 확인되지 않은 군(n=62) 간에서 황체기와 난포기간의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3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여성 94명을 대상으로 월경전기 동안의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평가 하기 위해 DSM-IV에 제시되어 있는 월경전불쾌기분장애(PMDD) 의 진단기준 A의 11개 항목에 기초한 매일 평가서(Daily Rating Form)를 한 번의 월경주기 동안 매일 작성하고,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해 매일 평가하도록 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은 32명이었고 확인되지 않은 군은 62명으로 두 군간에 인구 통계학적 변인(연령, 교육 정도, 결혼, 직업 등) 및 월경전기변화의 위험 요소(초경 연령, 월경전기변화의 규칙성, 월경 기간, 월경량, 월경 주기, 월경통 등)에 차이는 없었다. 2)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의 평균 황체기 스트레스 점수($1.92\pm0.63$) 와 확인되지 않은 군의 평균 황체가 스트레스 접수($1.5\pm0.42$)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두 집단간에 평균 난포기 스트레스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황체기 심리 증상을 더 많이 보고 하였으나(F=13.362, df=1, p<0.001) 신체 증상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에서 월경전기변화가 확인된 군에서는 황체기 동안 스트레스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는 심리 증상과는 관련이 있으나 신체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월경전기증후군의 치료 전략으로 특히 섬리 증상의 치료를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Nutrient Intake, Exercise Habit of Women

  • Hwang, Bye-Jin;Kwak, Yi-Sub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83-388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how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remenstrual. syndrome (PMS) correlate with the nutrient intakes and exercise habit of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9 women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Each subject was asked to complete a menstrual discomfort questionnaire (MDQ) for PMS and nutrient intakes. PMS symptom scores of women in their twenties ranked in order of severity were: behavioral change (2.45), followed by pain (2.36) and water retention (2.28), negative effects (2.20), autonomic reaction (1.91), arousal (1.87), decreased concentration (1.76) and decreased control (1.74). For Women in their thirties, the symptom of pain was the most dominant (2.93) followed by autonomic reaction (2.69) and behavioral change (2.54), and for those in their forties, negative effect (3.06) was highest, followed by pain (2.97) and autonomic reaction (2.86). The overall symptoms of PM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20': 2.07 points, 30': 2.34 points, 40': 2.47 points). There was no correlation of the BMI of the subjects with the symptoms of PM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PMS and exercise frequency for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Subjects in their twenties exhibi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r PMS symptoms with the intake of carbohydrate (p < 0.05), calcium (p < 0.05) and vitamin E (p < 0.05). For subjects in their thirties, PMS sympto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 of calcium (p < 0.05) and vitamin C (p < 0.05); and in women in their forties, calcium (p < 0.01) and carbohydrate (p < 0.05) intak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MS symptoms. This suggests that PMS represents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a nutrient deficiency state, especially calcium. Therefore, we concluded that nutrient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management are likely to be of benefit in relieving PMS symptoms.

동씨침(董氏針) 기혈(奇穴)을 이용한 자기요법(磁氣療法)이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 및 생리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Dong Shi Acupuncture Therapy on the Relief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경철;김이순;곽이섭;양한조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1호
    • /
    • pp.71-78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gnetics therapy on the relief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 20 female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are sele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ll of the subjects have the score of more than 6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measuring the level of premenstrual pain.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The magnetics therapy on the Dong Shi Acupuncture Therapy extra points (婦科, 還巢, 木婦, 門金)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s is supported ;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agnetics therapy on the Dong Shi Acupuncture will decrease premenstrual syndrome. The second hypothesis is supported ;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magnetics therapy on the Dong Shi Acupuncture will decrease dysmenorrhea.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is study, magnetics therapy on the Dong Shi Acupuncture will be able to be used as the self care therapy to improve the symptoms of females with the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여대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Coping with Premenstrual syndrome )

  • 안나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2-475
    • /
    • 2023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C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1일에서 11월 30일까지 20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61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r=.383, p<.001), 우울(r=.4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에서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190, p=.016).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사이의 우울 및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β=4.907, p=.002), 우울(β=6.780, p<.001)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우울은 월경전증후군에(β=.383, p=<.001),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β=4.292, p=.030)에 각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의 관계에서 매개작용을 검증하기 위한 간접효과에서는 우울을 경유하는 경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95% CI, 1.282-4.140). 따라서 코로나19 등의 신종 전염병 유행 및 팬데믹 상황을 대비하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같은 관련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우울을 감소시키고 월경전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환자의 광치료 임상 시도 (A Clinical Trial of Light Therapy on Patients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조숙행;김진세;김승현;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46-51
    • /
    • 1999
  • 목 적 : 광치료는 계절성 기분장애, 약간의 비계절성 주요 우울장애 및 월경전우울증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일중주기리듬의 장애가 병인론으로 제시되고 있는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에 대한 광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광치료의 임상시도를 하였다. 방 법 : DSM-IV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진단기준에 충족되는 4명의 환자에서 광박스(light box,Apolo bright lite III)를 이용한 저녁 광치료(6:30-8:00pm) 시도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은 광치료 후, 그 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월경전기 증상과 더불어 우울기분과 불안이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임상시도로 연구대상이 적고, 위약 효과의 통제가 없으며, 증상 평가 방법에 있어 어려움 등 한계가 있으나, 이러한 변화는 특히 비정형 우울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두드러졌으며, 신체증상보다는 심리증상에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광치료는 월경전불쾌기분 장애 환자의 약물학적 치료에 대안적 방법으로 볼 수 있겠다. 향후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대조 교차연구(아침, 저녁 광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