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ature infants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7초

조산아의 발달 지연 선별 검사로 사용되고 있는 ASQ의 효용성 (A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Screening for Developmental Delay in Preterm Infant)

  • 김윤주;이주영;손진아;이은희;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17-223
    • /
    • 2010
  • 목적 : 지난 20년간 주산기 관리 및 신생아학의 발전으로 28주 미만의 조산아 및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생존률은 증가하였으나 이환률의 감소는 뚜렷하지 않다. 이러한 고위험군 신생아들의 신경 발달 문제에 대해서는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중재를 시작하는 것이 예후를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어 발달 지연을 선별하는 수단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BSID-III)의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방법 : 2006년 10월 30일부터 2010년 8월 1일까지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 병원 신생아 분과 외래에서 K-ASQ 및 BSID-III를 모두 시행한 37주미만 조산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BSID-III의 -1SD 미만을 발달 지연으로 보고 K-ASQ의 민감도, 특이도를 산출하고 각 발달 영역에 따라 다시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의 평균 출생 주수는 28$\pm$2.87 week(median, 28.43 weeks; range 23.57-35.86 weeks) 이었으며 출생 체중은 1,027$\pm$363 g (median, 950 g; 480-2,870 g) 이었다. 8개월 BSID-III를 시행한 환아는 115명, 18개월 BSID-III를 시행했던 환아는 58명으로 전체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개월 K-ASQ의 민감도는 0.2, 특이도는 0.93, 18개월 K-ASQ의 민감도는 0.72, 특이도는 0.94로 높은 특이도를 보이고 민감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였다. BSID-III와 K-ASQ의 항목별로 짝을 지어 민감도 및 특이도도 산출하였으며 K-ASQ의 문제해결 항목의 민감도는 8개월에 0.09, 18개월에 0.3 였고 의사소통 항목은 민감도가 8개월에 0, 18개월에 0.29 대근육 항목은 8개월에 0.11, 18개월에 0.8, 소근육 항목은 8개월에 0.2, 18개월에 0.67 였다. 특이도는 최소 항목이 0.92로 지속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ASQ는 개발 과정에서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선별 검사를 할 목적으로 만들어져 민감도가 높지 않았으며 이는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ASQ를 고위험군에서의 선별검사로서 이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낮은 연령에서 더욱 뚜렸하였다.

조산아에서 말초혈액 중성구수와 호흡 부전증과의 연관성 (Peripheral Neutrophil Count and Respiratory Failure in Preterm Infant)

  • 이금주;윤수영;이란;현재호;정귀영;박진희;박영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5호
    • /
    • pp.596-602
    • /
    • 2002
  • 목 적 : 체순환에서 중성구수의 감소는 과립구에 의해 발생하는 폐손상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소견으로, 특히 말초 혈액에서 중성구 감소와 폐실질로의 중성구의 이동은 다양한 정도의 호흡 장애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조산아에서 생후 2시간내에 시행한 말초 혈액 검사에서 중성구수의 감소와 호흡 부전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출생체중 500 gm에서 1,350 gm 사이의 조산아로 1993년 1월에서 1999년 12월까지 방지거병원에서 출생한 97례 중, 중성구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한 44례를 대상으로 생후 2시간 이내 중성구수가 $1.0{\times}10^9/L$ 미만인 경우를 중성구 감소군 (17례), $1.0{\times}10^9/L$ 이상인 경우를 중성구 비감소군(27례)으로 나누고 후향적인 임상적 고찰을 통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태연령, 출생체중, 분만방식, 1분 및 5분 Apgar점수를 조사하여 기록하였고, 환아의 입원기간, 기계적 환기요법 기간, 산소 보충요법 기간, 최고 흡기압력, 최고 인공환기 횟수, 최고 흡기농도 등의 호흡지표와 동맥관 개존증의 유무, 폐렴, 기흉, 신생아 호흡부전증, 기관지폐 이형성증, 뇌실내출혈, 미숙아 망막증의 유무를 연구하였다. 결 과 : 중성구 감소군의 출생체중은 $1,046.50{\pm}180.76gm$, 1분 Apgar점수는 $3.41{\pm}1.18$, 5분 Apgar 점수는 $5.41{\pm}0.87$이었고, 중성구 비감소군에서는 출생체중 $1,156.70{\pm}124.99g$, 1분 Apgar점수는 $4.30{\pm}1.46$, 5분 Apgar점수는 $6.15{\pm}0.95$로 출생체중(P=0.021)과 1분 및 5분 Apgar점수(P=0.049, P=0.024)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또한, 신생아 호흡부전증의 발생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기관지폐 이 형성증은 중성구 감소군에서 12례로 중성구 비감소군의 7례보다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P=0.0036). 그리고 재원기간에서 각각 $55{\pm}25$일, $29{\pm}15$일로 나타 났으며 기계적 환기요법기간에서는 각각 $41{\pm}20$일, $29{\pm}16$일, 그리고 산소 보충요법 기간에서는 각각 $35{\pm}18$일, $23{\pm}13$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4). 그리고 동맥관 개존증, 뇌실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폐렴, 기흉, 사망률은 두 군간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두 군간 주요 독립적인 변수은 출생체중(Odds ratio=5.457, 95% CI=1.551-27.525, P=0.0172), 초기 백혈구수(Odds ratio= 8.308, 95% CI=2.054-52.699, P=0.0087), 기관지폐 이형성증(Odds ratio=0.099, 95% CI=0.017-0.397, P=0.0034) 등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초기 2시간내에 시행한 혈액 검사상 중성구 감소증을 보이는 군에서 기관지폐 이 형성증의 발병이 증가하면서 폐손상이 심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른 장기 신경발달 장애의 감소 (Improved survival rate with decreased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in extreme immaturity)

  • 전가원;김묘징;김성신;심재원;장윤실;박원순;이문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67-1071
    • /
    • 2007
  • 목 적 :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에 따라 장기 신경발달 장애가 감소했는지 여부와 이들의 장기 신경발달의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입원 치료 받은 초극소저출생체중아 중 교정나이 18개월에 외래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래 방문 시 진찰소견과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를 1994년 1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인 제 I기와 2000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인 제 II기로 나누었으며 각각 36명과 98명이 해당되었다. 결 과 : 제 I기에 비하여 제 II기에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이 낮았지만 생존율은 향상되었으며(제 I기: 60.0%, 제 II기: 74.7%) 뇌성마비는 감소하였고(제 I기: 22.2%, 제 II기: 8.2%) 따라잡기 성장은 향상되었다(제 I기: 25.0%, 제 II기: 51.0%).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패혈증과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이환율은 제 II기에 감소하였다. 뇌성마비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3도 이상의 고도 뇌실내출혈, 따라잡기 성장의 실패와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이었다. 결 론 :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향상은 장기적인 예후의 향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신생아 관리의 질향상과 관련된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의 감소, 고도 뇌실내출혈의 감소, 더 나은 영양공급이 장기적인 예후의 향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다태임신에서의 선택적 유산술시 복식 천자와 질식 천자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ransabdominal and Transvaginal Selective Fetal Reduction in Multifetal Pregnancy)

  • 김석현;문신용;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11-24
    • /
    • 1996
  • The number of multifetal pregnanci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as a result of the widespread clinical use of ovulation induction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 in infertile patients. In multifetal pregnancies, the adverse outcome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fetuses within the uterus, primarily because of an increased predisposition to premature delivery.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ounsel patients about the expected outcome of pregnancies involving three or more fetuses. To increase the chances of delivering infants mature enough to survive without being irreversibly damaged by the sequelae of marked prematurity, selective fetal reduction(SFR) to the smaller number of fetuses should be considered in multifetal pregnancies.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2, transabdominal SFR in multifetal pregnancies was performed in 22 patients including 13 triplet, 7 quadruplet, 1 quintuplet and 1 heptuplet pregnancies. Transabdominal SFR using intracardiac KCI injection and aspiration of amniotic fluid was carried out in 8-13 weeks of gestation. After procedure, 20 patients were remained as twin pregnancies, and 2 patients as triplet pregnancies. There have been 11 sets of twin delivery including 2 stillbirths, 2 sets of triplet delivery including 1 stillbirth, and 1 singleton delivery. Six cases were delivered after 37 weeks of gestation, 4 cases in 33 - 37 weeks, and 1 case in 30 weeks. Unfortunately, 3 stillbirths occurred in 20-24 weeks of gestation, and 4 cases were aborted. As 7 losses of pregnanancy including 1 case of septic abortion occurred, the delayed fetal loss rate was 38.9%(7/18) in transabdominal SFR. All babies born after 30 weeks of gestation were healthy, and no fetal anomaly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dure was encountered. From July, 1993 to February, 1995, transvaginal SFR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including 15 triplet, 4 quadruplet and 1 quintuplet pregnancies. Transvaginal SFR using the same method as transabdominal SFR was carried out in 8-11 weeks of gestation. After procedure, 19 patients were remained as twin pregnancies, and 1 patient as singleton pregnancy. There have been 13 sets of twin delivery including 2 stillbirths, and 1 singleton delivery. Six cases were delivered after 37 weeks of gestation, 5 cases in 36-37 weeks, and 1 case in 30 weeks. Unfortunately, 2 still-births occurred in 20 weeks and 21 weeks of gestation, respectively, and 2 cases were aborted. As 4 losses of pregnancy including 1 case of septic abortion occurred, the delayed fetal loss rate was 25.0%(4/16) in transvaginal SFR. No fetal anomaly directly related to the procedure was encountered. It is suggested that transvaginal SFR could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earlier with the lower fetal loss rate as compared with transabdominal SFR. In conclusion, SFR is a rather safe and ethically justified procedure that may improve the outcome of multifetal pregnancies.

  • PDF

소아 총정맥영양의 간담도계 합병증에 대한 Ursodeoxycholic acid의 예방효과에 대한 연구 (Ursodeoxycholic Acid in the Prevention of Pediatric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 김지희;민명숙;인용원;손기호;최경업;최연호;백남선;이숙향;박태성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20
    • /
    • 2005
  • Cholestatic liver disease is a frequent complication of prolonged parenteral nutrition, especially in premature infants. Numerous factors have been cited as contributing to TPN associated cholestasis. However the exact etiology remains obscure. Ursodeoxycholic acid (UDCA) has been reported to be beneficial far children and adults with various chronic cholestatic liver diseas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entive effects of UDCA administration during TPN. Seventeen pediatric patients (8 boys and 9 girls) undergoing TPN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s, UDCA and placebo group. UDCA group (n=9) received 15 mg/kg/day UDCA and placebo group (n=8) received 15 mg/kg/day placebo enterally during the TPN period. Liver function tests (total bilirub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were per-formed before TPN and weekly or three times a week. The patients' weights, complete blood count, composition of TPN, and the infusion rate of TPN and lipid were monitored everyday. Calcium and phosphate were monitored twice a week. Between the UDCA and placeb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eight at the onset of TPN, birth weight, duration of TP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ssociated with prematurity, age at the onset of TPN, gestational age, the number of days the patients received antibiotics,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ed enteral nutritions and the composition of TPN. In contra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DCA and placebo groups in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during TPN. It doesn't seem that UDCA administration during TPN correlates directly with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 But the preventive administration of UDCA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liver enzym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has no adverse effects.

  • PDF

Effect of nutritional supplement formula on catch-up growth in young children with nonorganic faltering growth: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 Shim, Jung Ok;Kim, Seung;Choe, Byung-Ho;Seo, Ji-Hyun;Yang, Hye 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3호
    • /
    • pp.230-241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Inadequate nutrition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ffects physical growth and neuro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e, early nutritional intervention is important to promote catch-up growth in young children with faltering grow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with a pediatric concentrated and balanced nutritional supplement formula on promoting growth and improving nutritional status in children with nonorganic faltering growth. SUBJECTS/METHODS: Children aged 12-36 months whose body weight-for-age was < 5th percentile on the Korean Growth Charts were enrolled. Children born premature or having organic diseases were excluded. Children were instructed to consume 400 mL of formula per day in addition to their regular diet for 6 months. Pediatricians and dietitians educated the parents and examined the subjects every 2 months. Anthropometric parameter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t 2, 4, and 6 months, and laboratory tests were done at baseline and 6 months. The good consumption group included children who consumed ≥ 60% of the recommended dose of formula. RESULTS: Total 82 children completed the 6-month intervention. At baselin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etween the good consumption and poor consumption groups. Weight and weight z-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ood consumption group compared to the poor consumption group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P = 0.009, respectively). The good consump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trend for gaining weight (P < 0.05) and weight z-score (P < 0.05) compared to the poor consumption group during 6 months of formula intake. The concentration of blood urea nitrog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ood consumption group (P = 0.001). CONCLUSIONS: Nutritional supplementation with a concentrated and balanced pediatric nutritional formula along with dietary education might be an effective approach to promote catch-up growth in children with nonorganic faltering growth.

미숙아 빈혈에 대한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의 효과 : 예비연구 (Effect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n the Anemia of Prematurity : a Pilot Study)

  • 이경아;신손문;박용훈;하정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15-126
    • /
    • 1994
  • 1991년 1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았던 12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대조군과 rHuEPO투여군으로 나누어 체중 kg당 100unit의 rHuEPO을 1주간 3회씩 4주동안 피하주사하고 rHuEPO투여 시작과 같이 체중 kg당 3mg의 elemental iron을 매일 경구투여 하였고 출생 후 수유가 가능할 때 부터 25unit씩의 비타민 E를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망상적혈구, 혈색소치,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철, ferritin, 총 철결합능, erythropoietin농도, 활력징후, 체중, 간기능, 신장기능 및 피하주사부 위의 국소 부작용을 비교해 본 결과 치료 시작전 erythropoietin의 농도는 대조군과 rHuEPO투여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으며 모두 정상 범위에 속했고 rHuEPO투여군에서는 치료 1주에서 3주사이에 급격한 망상적혈구의 경향이 관찰되었고 전반적으로 혈색소치,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철, ferritin, TIBC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체중증가 및 활력증상, 간기능, 신장기능에서도 대조군과 rHuEPO투여군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고 rHuEPO 투여 기간 동안 계속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연구에서는 rHuEPO치료로 뚜렷한 혈색소치 및 헤마토크리의 증가를 볼 수 없었지만 망상적혈구가 치료 초기에 증가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치료로 인한 특이할 만한 부작용이 없었으므로 첫째, 치료 기간 중의 예견할 수 없이 발생하는 패혈증, 무시할 수 없는 채혈량과 spontaneous endogenous erythropoietin생산이 rHuEPO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둘째. rHuEPO의 가장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한 보다 적절한 투여용량, 기간 및 rHuEPO의 투여를 출생 후부터 바로 예방 목적으로 할 것인지 또는 출생 몇 주 후부터 rescue therapy로 할 것인지 투여 시작 시기, 셋째, 용량의 증가 및 감소에 동반되는 부작용의 정도등을 고려해서 앞으로 더 많은 미숙아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한다면 rHuEPO을 이용해 더욱 더 활발하고 효과적으로 미숙아 빈혈을 치료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출혈위험 임산부에서의 자가수혈 (Autologous Transfusion in Pregnant Women with Significant Risk for Hemorrhage)

  • 김기득;배철성;박윤기;김종욱;고민환;이승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95-103
    • /
    • 1990
  • 1989년 8월 1일부터 1990년 4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대량출혈이 예상되는 18명의 환자에서 21례의 자가수혈을 시행하여 관찰한 결과 자가수혈의 가장 많은 적응증으로는 전치태반이었으며(10/21) 수술후 자가수혈 및 homologous transfusion의 빈도도 제일 많았다. 출혈위험이 있는 산모 20례중 6례에서 자가수혈로 인해 homologous transfusion을 피할 수 있었다. 혈액 채취전후의 혈압 및 맥박, 호흡 및 reticulocyte등은 통계학적으로 별차이점이 없었고, 채혈전후에 시행하였던 태아감시장치상 약 8례에서 약간의 이상이 나타났으나 대부분 자세변화 및 산소공급으로 20분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태어난 신생아중 거대아 1명, 저체중아 3명이었으며 14명이 정상체중아였고, 분만전의 채혈로 인한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채취전후의 혈액학적 변화로소 채취전 Hct는 $34.1{\pm}2.9%$였고, 채취 후는 $31.8{\pm}2.4%$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대부분의 혈액 채취시간은 4-8분 정도였으며 채혈시 산모에서 특별한 합병증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3명을 제외하고 15명이 채혈후 3주 이내에 분만하였다. 상기한 여러가지 결과 대량출혈이 예상되는 산모에 있어서 수술전에 혈액을 채취하여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자가수혈은 산모 및 태아에 있어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산모에 있어서 자가수혈은 homologous transfusion을 피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한 방법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고, 채혈시 나타났던 태아감시상의 여러가지 이상소견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신생아에서 비약물적 통증조절을 위한 25% 경구 포도당과 인공 젖꼭지 사용의 효과 (Nonpharmacologic Pain Relief with Oral 25% Dextrose or/and Pacifier for Newborn Infants)

  • 김민경;김인아;정민희;한명기;박기영;김봉성;진현승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53-358
    • /
    • 2011
  • 목적: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 시 25% 경구 포도당과 인공젖꼭지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부분적 무작위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132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출생 6시간 이후 B형 간염 예방접종을 근육 내 주사하여 비약물적 통증조절 방법을 비교하였다. 4가지 번호가 담긴 성별에 따라 구분된 상자를 통해 무작위 추첨으로 각 실험군을 정하였고, 주사 투여 2분 전에 증류수를 먹인 군을 대조군으로 25% 경구 포도당을 먹인 군(포도당 처치군), 주사 투여 전 2분 동안 인공젖꼭지만 물린 군(인공젖꼭지 처치군) 및 25% 경구 포도당을 인공젖꼭지에 묻혀 물린 군(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으로 총 4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모든 군에서 접종 전, 접종 시, 회복 시의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 (NFCS),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산모와 대상아의 임상적 특징은 4개의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포도당 처치군에서 NIPS 점수상 접종 시(6.4${\pm}$0.9 vs. 5.5${\pm}$1.7, P=0.01)와 회복 시(1.6${\pm}$2.0 vs. 0.6${\pm}$0.9, P=0.01), NFCS 점수상 회복 시(1.5${\pm}$2.3 vs. 0.7${\pm}$0.8, P=0.04)에 통증점수가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통증평가 점수상 통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NIPS점수${\geq}$ 4점, NFCS점수${\geq}$3점)의 숫자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9명 (23.1%) vs. 0명(0%), P=0.04 via NIPS, 7명(17.9%) vs. 0명(0%), P=0.02 via NFCS). 반면 모든 군 사이 PIPP 점수 혹은 중등도 혹은 심한 통증 PIPP 점수 대상수(PIPP점수${\geq}$7점)의 비교에서는 통계상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공젖꼭지 처치군에서 오히려 NIPS와 NFCS 점수가 각각 회복 시 통계상 유의하게 증가하였고(1.6${\pm}$2.0 vs. 2.7${\pm}$2.6, P=0.003 via NIPS, 1.5${\pm}$2.3 vs. 2.9${\pm}$2.6, P=0.023 via NFCS), 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에서는 통계상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25% 경구 포도당을 이용한 통증조절은 효과가 있어 보이나 인공젖꼭지 혹은 25% 포도당을 묻힌 인공젖꼭지의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다. 저자들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생아의 비약물적 통증조절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말 언어 지연을 보인 소아에서 원인에 따른 말 언어 치료의 효과 (The Efficacy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elays according to the Eiologies)

  • 김준범;서진순;김영훈;정승연;이인구;황경태;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24-928
    • /
    • 2005
  • 목 적 : 최근에 말 언어 지연 소아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말 언어 지연을 보인 소아의 임상적인 특징과 6개월 동안의 언어 치료 후 원인질환에 따른 예후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소아과에 말 언어 지연을 보여 내원한 환아 중 6개월 동안 말 언어 치료를 받은 56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56명의 질환별 분포는 발달성 언어 장애가 66.1%로 가장 많았고 구조적 이상 19.6%, 정신 지체 12.5%, 청력 이상 1.8% 순이었다. 남녀 비는 4.6 : 1이었으며, 환아의 연령별 분포는 47개월 이상이 가장 많았다. 의미 있는 첫 단어의 평균 출현 시기는 15.9개월이었다. 평균 재태기간은 39.8주로 만삭아 96.4%, 미숙아 3.6%으로 만삭아가 많았다. 형제 순서는 첫째 51.8%, 둘째 24명, 셋째 7.1%으로 첫째가 가장 많았다. 6개월간의 언어 치료 후 추적 검사 결과, 발달성 언어 장애아의 경우 32.4%가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보였다. 정신 지체의 경우 추적검사 결과 모두에서 언어 지연이 지속되었다. 구조적 이상 11명 중 5명이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보였다. 결 론 : 언어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연령이 늦은 것은 이 지역 언어 지연 소아를 대상으로 한 언어 발달 선별 검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