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heating Effec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7초

비유탕 유과 제조를 위한 진공팽화기의 개발 및 공정변수에 따른 유과의 팽화특성 (Development of Vacuum Puffing Machine for Non-deep Fried Yukwa and Its Puffing Characteristics by Process Variables)

  • 유제혁;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3호
    • /
    • pp.193-201
    • /
    • 2010
  • 기존의 재래식 유탕팽화유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한 진공팽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진공팽화유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부피팽화율, 밀도, 절단강도, 색도, 미세구조를 측정하였다. 진공팽화기의 공정변수는 가열온도(100, 120, 140, 160, ${180^{\circ}C}$), 예열시간(0, 2, 4, 6, 8분), 진공팽화시간(5, 10, 15, 20분)이며, 가열온도 ${100^{\circ}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0분에서 진공팽화유과의 부피팽화율은 10.0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밀도는 0.15 g/$cm^3$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부피팽화율 9.47, 밀도 0.16 g/$cm^3$으로 측정된 가열온도 120${^{\circ}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의 진공팽화유과가 유탕유과의 외관 및 조직과 가장 유사하였다. 절단강도는 가열온도 ${100^{\circ}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5분에서 140 g/$c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색도는 예열시간과 진공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백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진공팽화유과의 백색도(L값)가 유탕팽화유과보다 25정도 높았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공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가열온도 ${120^{\circ}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 기공이 작고 균일하였다. 유탕팽화유과와 비교 시 절단강도는 유사하였으나, 부피팽화율은 낮았고, 밀도는 높았다. 셀이 균일하게 형성된 진공팽화의 미세구조와는 달리 유탕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표면과 내부층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진공팽화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진공팽화유과의 품질을 고려 할 때, 가열온도 ${120^{\circ}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으로 판단되었다.

저식염 속성 정어리 발효 액화물 가공에 관한 연구(III) - 마쇄육의 발효 액화에 미치는 가수.가온 전처리 및 식염첨가 방법의 영향 -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Sardine (Sardinops melanoslicta)(III) -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 on Water Adding, Heating, and NaCl Added to the Fermented Liquefaction of Chopped Whole Sardine -)

  • 박춘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0
    • /
    • 2000
  • This study was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of sardine (Sardinops melanoslicta).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such as water adding, heating, and intermittent NaCl adding on fermented liquefaction of chopped whole sardine were investigated. The divisions of the experimental samples by pretreatment methods were as follows; Sample A (water adding and heating): chopped whole sardine adding 20% water and then adding 3 and 5% NaCl consecutively at the intervals of 3 and 6 hrs during heating for 9 hrs at $50^{\circ}C$ and then fermented at $33^{\circ}C$ for 90 days. Sample B (preheating): chopped whole sardine with 8% NaCl and heating at $50^{\circ}C$ for 9 hrs and then fermented at $33^{\circ}C$ for 90 days. Sample C (control): neither pretreatment methods of water adding nor preheating on chopped whole sardine with 13% NaCl and then fermented at $33^{\circ}C$ for 90 days. Comparison of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yield of hydrolysate, 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liquefied products were carried out. The highest content of amino nitrogen appeared at 60 days in the sample A, 75 days in the sample B, and 90 days in the sample C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of the sample A was shorten 15 days than the sample B and 30 days than the sample C in the processing of sardine. The product A was lower NaCl (8.5%) and lower histamine content (25mg/100g) than the sample B and C. Possibly, three kinds of pretreatment methods such as water adding, heating, and intermittent NaCl adding, might be recommend as the processing of rapid- and low salt-fermented liquefaction product of chopped whole sardine.

  • PDF

무의 염장과정 중 조직감의 변화에 대한 예열처리 및 Chitosan 첨가효과 (Effects of Preheating Treatment and Chitosan Addition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during Salting)

  • 이희섭;이귀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59
    • /
    • 1994
  • 본 연구는 염장과정 중 무의 예열처리 및 chitosan의 첨가가 무의 조직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압착시험, 침투관통시험 및 절단시험에 의해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하고 펙틴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무의 조직감에 대한 관능적 평가와 기계적 측정치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 열처리구에 있어서 chitosan 첨가군의 압착변형력은 대조군의 압착변형력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구에 있어서는 각 첨가군들의 압착변형력은 염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5). 침투관통력은 대조군과 chitosan 첨가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chitosan 첨가군이 보다 높은 침투관통력을 나타내었다(p<0.05). 절단력은 비 열처리구에서 염장이 시작되면서 증가하여 염장기간 내내 높은 절단력을 유지하였으며, 특히 chitosan 첨가군의 절단력은 염장과정 중 크게 증가하였다. 열처리구의 절단력은 대조군에서는 염장 초기에 급격히 증가한 추 염장4일째부터 크게 감소하였으나, chitosan 첨가군은 염장기간 내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2. 대조군의 HWSP는 염장 2일째까지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며 HXSP는 염장 2일째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계속 감소하였으나 생무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CISP는 염장과정 중 계속 감소하였다. 그러나 열처리에 의해서 HXSP는 감소하였다. 한편 chitosan 첨가군의 HWSP는 계속 감소하였으며 HXSP와 HCISP는 계속 증가하였는데 이때 HCISP의 증가가 더욱 뚜렷하였다. 또한 열처리구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3. 염장과정 중 비 열처리구의 단단한 정도와 아삭아삭한 정도는 감소하였으나 질긴 정도는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열처리구의 질긴 정도는 감소하였으며 chitosan 첨가에 의하여 무의 단단한 정도는 증가하였다.(p<0.05). 한편, 압착변형력과 침투관통력은 무의 단단한 정도와 아삭아삭한 정도와 상관출계가 높았으며 절단력은 질긴 정도와 상관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로서 chitosan의 첨가는 비 열처리구와 열처리구에서 무의 조직감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예열처리에 의한 효과는 담금 초기에 나타났으며 예열처리와 chitosan 첨가에 의한 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열처리조건이 오이지의 질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Processes on Texture of Fermented Cucumber Pickles)

  • 윤선;이진실;홍완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3-108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7% 소금 용액을 이용하여 예비 열처리($60^{\circ}C$, 1시간), pH8.5로의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를 이용한 후열처리가 오이지 침지 용액의 pH, 산도, AIS내의 총 펙틴 함량, HWSP 함량, 견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조 0, 5, 10, 15, 25일째의 분석을 통해 pH는 감소,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분석일의 pH는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 후열처리군이 가장 높은 3.1, 산도는 1.93%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AIS에 존재하는 총 펙틴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들의 감소율은 적었으며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 후열처리군의 최종 함량은 가장 높은 17.93%로 나타났다. HWSP의 함량은 제조 후 5일째부터 15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했다. Texturometer에 의한 견고도 측정결과 제조 후 15일째부터는 실험군들간에 차이가 많이 나기 시작했으며 최종 견고도는 대조군이 가장 낮은 4.77kg,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 후열처리군이 가장 높은 6.88kg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로 보아 총 펙틴 함량과 견고도와는 서로 연관이 깊은 것으로 보이며 microwave 후열처리는 펙틴물질의 분해를 저지시켜 견고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낮게 해 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Effect of the Holding Temperature and Vacuum Pressure for the Open Cell Mg Alloy Foams

  • Yue, Xue-Zheng;Hur, Bo-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09-315
    • /
    • 2012
  • Metal foam has many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light weight, incombustibility, good thermal insulation, sound absorption, energy absorption,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It has two types of macrostructure, a closed-cell foam with sealed pores and an open-cell foam with open pores. The open-cell foam has a complex macrostructure consisting of an interconnected network. It can be exploited as a degradable biomaterial and a heat exchanger material. In this paper, open cell Mg alloy foams have been produced by infiltrating molten Mg alloy into porous pre-forms, where granules facilitate porous material. The granules have suitable strength and excellent thermal stability. They are also inexpensive and easily move out from open-cell foamed Mg-Al alloy materials. When the melt casting process used an inert gas, the molten magnesium igniting is resolved easily. The effects of the preheating temperature of the filler particle mould, negative pressure, and granule size on the fluidity of the open cell Mg alloy foam were investigated. With the increased infiltration pressure, preheat temperature and granule sizes during casting process, the molten AZ31 alloy was high fluidity. The optimum casting temperature, preheating temperature of the filler particle mould, and negative pressure were $750^{\circ}C$, $400-500^{\circ}C$, and 5000-6000 Pa, respectively, At these conditions the AZ31 alloy had good fluidity and castability with the longest infiltration length, fewer defects, and a uniform pore structure.

Laser-FSW Hybrid 접합기술을 적용한 이종재료(Al6061-T6/SS400) 접합부의 접합성 및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dabilit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issimilar Materials Butt Joints by Laser Assisted Friction Stir Welding)

  • 방한서;방희선;김현수;김준형;오익현;노찬승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8권6호
    • /
    • pp.70-75
    • /
    • 2010
  •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weldabilit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utt weld joints by LAFSW for dissimilar materials (Al6061-T6 and SS400). At optimum welding conditions, the tensile strength of dissimilar materials joints made by FSW i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LAFSW. Due to the increase in plastic flow and formation of finer recrystallized grains at the TMAZ and SZ by laser preheating in LAFSW, the hardness in LAFSW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FSW. Compared with FSW, finer grain size is observed and elongated grains in parent metal are de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round the nugget zone in TMAZ of Al6061-T6 by LAFSW. Whereas, at weld nugget zone, coarse grain size is appeared in LAFSW compared to FSW, which is owing to more plastic flow due to laser preheating effect. In dissimilar materials joints by LAFSW, ductile mode of fracture is found to occur at Al6061 side with fewer brittle particles. Mixed mode of cleavage area and ductile fracture is observed at SS400 side.

AISI 4130강의 용접잔류응력에 미치는 열처리의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Welding Residual Stresses of AISI 4130 Steel)

  • 양영수;나석주;김원훈;조원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982-198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AISI 강은 대부분 열처리후에 사용되는 고강도강으로 용접시 발생하는 높은 잔류응력 분포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된 다. 잔류응력 제거는 용접후 풀림처리를 하면 잔류응역이 제거된다. 그러나 풀림 처리 하기전에 용접부에 높은 잔류응력 제거는 용접후 풀림처리를 하면 잔류응력이 제 거된다. 그러나 풀림처리 하기전에 용접부에 높은 잔류응력에 의해 균열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용접시 높은 잔류응력이 생성되지 않도록 예열 및 후열처리를 필요로한 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예열 및 후열이 잔류응력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를 실험적인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Laboratory Scale 연소로를 적용한 산소 메탄 MILD 연소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Oxygen Methane MILD Combustion in a Laboratory Scale Furnace)

  • 이필형;황상순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15
    • /
    • 2016
  • The oxygen fuel MILD (Moderate or Intense Low-oxygen Dilution) combus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combustion technology for flame stability, high thermal efficiency, low emissions and improved productivity. In this paper, the effect of oxygen and fuel injection condition on formation of MILD combustion was analyzed using lab scale oxygen fuel MILD combustion furnace. The results show that the flame mode was changed from a diffusion flame mode to a split flame mode via a MILD combustion flame mode with increasing the oxygen flow rate. A high degree of temperature uniformity was achieved using optimized combination of fuel and oxygen injection configuration without the need for external oxygen preheating. In particular, the MILD combustion flame was found to be very stable and constant flame temperature region at 7 KW heating rate and oxygen flow rate 75-80 l/min.

직조유리섬유강화 PET수지 복합체의 인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of Glass Woven Fiber Reinforced PET Composites)

  • 김홍건;최창용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45-49
    • /
    • 2003
  • Tensile strength of the woven glass fiber reinforced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matrix composite manufactured by rapid press consolidation technique was investigated and evaluated. During pre-heating, consolidation and solidification stages,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this composit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void content and tensile properties depending on vacuum condition.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vacuum condition during preheating gives a substantial difference on the strength as well as microstructure. It is also found that the failure micromechanism shows several energy absorption processes enhancing fracture toughness.

용제와 혼합한 금속분말의 $CO_2$ 레이저 클래딩 특성 (Characteristics of $CO_2$ Laser Cladding with High Viscosity Mixed Powder)

  • 김재도;전병철;이영곤;오동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9권5호
    • /
    • pp.481-485
    • /
    • 2001
  • Laser cladding processing allows rapid transfer of heat to the material being processed with minimum conduction into base metal. The effect of $CO_2$ laser cladding with high viscosity mixed powders was investigated. High viscosity mixed powder consists of bronze powder and flux that is used at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 mixed powder has a high viscosity that it can be easily pasted over a curved or slope substrate. The device for mixed powde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It consists of the high viscosity mixed powder feeding system, the preheating system and the shielding gas system which prevents the clad layer from being oxidized. The results of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feed rate of high viscosity mixed powder was important for later cladding with mixed powder feeding. The high viscosity mixed powder and substrate must be preheated to prevent porosity from breaking at the clad layer.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high viscosity mixed can be applied for laser cladding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