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empt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7초

IBM LoadLeveler에서 Preemption 기능을 적용한 큐 구성 (The Queue Implement Using Preemption in IBM LoadLeveler)

  • 이영주;성진우;김성준;박찬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56-559
    • /
    • 2007
  • 하나의 시스템을 다수의 사람들이 작업을 할 경우 한정된 자원을 각각의 작업에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하여 작업관리 시스템을 이용한다. IBM 시스템은 작업관리 시스템으로서 주로 LoadLeveler를 사용하고 있다. 작업관리 시스템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큐를 가지고 있으며, 큐는 시스템의 특성과 구성 그리고 사용자 작업의 패턴에 따라서 설계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LoadLeveler에서 작업을 실행할 때 긴급한 작업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큐를 만들기 위하여 preemption 기능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해당 큐로 작업을 선점하여 실행하면서 각각 작업들의 메모리 사용 변화와 그에 따른 작업 처리 성능을 분석하고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IBM LoadLeveler에서 Preemption을 적용한 Reservation 클래스 구현 (The Reservation Class Implement Using Preemption in IBM LoadLeveler)

  • 이영주;성진우;박찬열;이상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9-272
    • /
    • 2008
  • 하나의 시스템을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작업을 할 경우 한정된 자원을 각각의 작업 요구에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하여 작업관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IBM 시스템은 작업관리 시스템으로서 주로 LoadLeveler를 사용하고 있다. 작업관리 시스템은 자원을 할당 받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큐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큐는 시스템의 특성과 구성 그리고 사용자 작업의 패턴에 따라서 설계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LoadLeveler에서 작업을 실행할 때 자원을 미리 예약하여 실행할 수 있는 reservation과 긴급한 작업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preemption 기능을 적용한 클래스를 만들어 작업을 실행하면서 각각 작업들의 메모리 사용 변화와 그에 따른 작업 처리 성능을 분석 연구하였다.

TinyOS를 위한 동적 우선순위 스케줄러 (Dynamic Priority Level Scheduler for TinyOS)

  • 유종선;허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85-588
    • /
    • 2008
  • 센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운영체제 중 TinyOS는 Event-driven 방식이며 Component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운영체제이다. 이러한 TinyOS는 일단 태스크가 시작되면 마칠 때까지 다른 태스크가 기다려야하는 비선점형(Non-preemption) 방식이다. 최근 연구에서 TinyOS의 빠른 반응성을 위해 선점(Preemption)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할 때 우선순위를 미리 주어줘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좀 더 유연하게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Smart Intersections for Emergency Response Time based on Integration of Geospatial and Incident Data

  • Oh, Heung Jin;Ashuri, Baaba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45-951
    • /
    • 2022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performance of improved intersections for response time to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mart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civil infrastructure systems for resilient communities. The technologies nee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to confirm their introduc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represented by response time, when smart intersections are introduced in a community. The response time is determined by not only intersections but also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raffic, distance, road conditions, and incident types. However, the evaluation of emergency response has often ignored factors related to emergency vehicle routes.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synthetically analyzes geospatial and incident data using each route of emergency vehicle and conducts before-and-after evaluations. The changes in performance are analyzed by the impact of smart intersections on response time through Bayesian regression models. The result provides measures of the project's performanc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body of knowledge on modeling the impacts of technology application and integrating heterogeneous data sets. It will provide a way to confirm and prove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smart technologies to our communities.

  • PDF

셀룰러 이동통신망의 적응성 가변경계에서 Overflow와 Preemption을 갖는 호 접속제어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all Admission Control with Overflow and Preemption at Adaptive Moving Boundary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 노희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71-180
    • /
    • 2004
  • 멀티미디어를 응용한 서비스 제공이 확대되고 있는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는 핸드오프호의 절단을(CDP)과 신규 호의 차단을(CBP)을 호레델 QoS 파라미터로 사용하고 있다. 망 서비스 사업자는 CBP보다 CDP에 관심을 두고 CDP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핸드오프호에 우선순위를 두어 채널을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핸드오프호를 위한 채널의 크기에 따라 CDP는 감소시키지만CBP를 증가시키고 채널사용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셀의 채널용량을 신규호 채널영역과 핸드오프호 채널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토큰버킷으로 모델하여 큐잉이론을 적용함으로써 간략한 식으로 CDP 및 CBP를 구하고 이들로 구성된 서비스 등급을 정의하여 서비스 등급이 최소가 되는 핸드오프호 채널영역의 크기를 계산하여 측정기반 적응성 가변경계로 사용하는 기존 연구의 문제점인 트래픽 부하가 높을 경우 증가하는 CDP의 증가를 보완하는 호접속제어를 제안한다. 적응성 가변경계에서 CBP를 고려함으로써 발생된 CDP의 증가는 핸드오프호의 Overflow를 허용함으로써 보완하고 Overflow된 신규호 채널영역의 채널에 대해 신규호의 Preemption을 허용함으로써 CBP에 대한 Overflow의 영향을 제거하여 CDP의 증가를 억제하고 채널사용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미디어별 QoS에 따라 채널을 할당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이동통신망에 미디어별 QoS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최소 여유시간 우선 기반의 최소 선점을 갖는 스케쥴링 알고리즘 (Minimum Preemption Scheduling Algorithm based on Least-Laxity-First for Real-Time Systems)

  • 오성흔;양승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4호
    • /
    • pp.443-454
    • /
    • 1999
  • 최소 여유시간 우선(Least-Laxity-First)스케쥴링 알고리즘은 여유시간이 작은 태스트가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동적 우선순위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단일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최적임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은 최소 여유시간을 가진 태스크가 여러 개 존재하여 여유시간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이 태스크들 간에 빈번한 문맥교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 제한하는 최소 여유시간 우선 기반의 최소선점을 갖는 스케줄링 알고리즘(Least-Laxity-First with Minimum Preemption 또는 LLF/MP)은 여유시간이 충돌했을 때에 문맥교환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소 여유시간 우선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단점을 해결하였다. LLF/MP 스케줄링 알고리듬은 불필요한 문맥교환을 줄임으로써 시스템 오버헤드로 인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시스템 자원을 예측 불가능한 비주기적 태스크에게 할당할수 있다.

JET 기반 우회 경로 방식의 광 버스트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동적 파장 할당과 선취권 방식에 의한 상대적 서비스 차별화 방안 (Relative Service Differentiation with Dynamic Wavelength Allocations and Preemptions in JET based Optical Burst-Switched Networks with Deflection Routing)

  • 백정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906-1914
    • /
    • 2012
  • 본 논문은 우회경로를 적용하는 JET 스위칭 방식의 광 버스트 스위치 네트워크에서 클래스간 비율적 서비스 차별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동적파장할당, 선취권, 그리고 우회경로 방식을 적용한다. 동적파장할당은 주기적인 측정을 통해 클래스간 손실 비율의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에 높은 클래스에 할당된 파장의 수를 동적으로 증가시킴으로서 높은 클래스의 손실률도 낮추면서 동시에 상대적 손실 비율도 유지한다. 가용한 파장이 모두 사용된 경우에는 낮은 클래스의 트래픽이 사용하던 파장을 높은 클래스의 트래픽에 이양하는 선취권 방식을 적용한다. 동시에 우회경로를 적용하여 높은 클래스나 낮은 클래스의 손실률을 낮춘다. 제안된 방식에 대한 큐잉 기반의 분석 모델이 도출되고, 도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성능분석을 수행하여 제안모델이 비율적 서비스 차별화를 제공함을 입증한다.

중앙제어방식 긴급자동차 우선신호 현장적용성 분석 (Field Application Analysis of Center Control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System)

  • 이용현;한승춘;정도영;강진동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7-1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앙제어방식 긴급자동차 우선신호를 강북소방서 주변 1.782km 구간에 시험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중앙제어방식과 현장제어방식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하였고, 소방서 주변 도로 중 평균 통행속도가 높은 상위 지역 중 왕복 4차로에서 6차로에 해당되는 지역을 시험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우선신호는 긴급자동차 속도로 교차로 도착 예정 시각을 산정, 녹색 신호를 연장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우선신호 적용 효과는 긴급 자동차 GPS 궤적을 분석하여 속도와 이동시간으로 분석하였고, 주변 교통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긴급자동차 주행방향과 다른 방향의 대기행렬 길이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시범사업 결과 긴급차량의 평균 통행시간이 41.81% 감소하였고 혼잡한 몇 개의 교차로를 제외한 대부분의 교차로에서의 지체 증가는 매우 적었다. 향후 Early Green과 전이과정에서 우선신호에 대한 보상방법에 대한 연구를 한다면 긴급자동차 우선신호 적용지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TIS 기반의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Emergency Vehicle Preemption Control System Based on UTIS)

  • 홍경식;정준하;안계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9-4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구축 운영 중에 있는 ITS 무선통신 인프라인 UTIS를 활용하여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신호교차로에서 긴급차량의 연속주행과 일반차량의 제어지체를 최소화하는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 구현을 위해 긴급차량의 진행방향(직/좌)을 사전에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 방식을 현시삽입과 현시조정 모드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CORSIM 모형의 RTE 기능 활용을 통해 HILS 기반의 평가 시스템을 구성하여 EVP 제어 효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긴급차량 우선신호제어 시스템은 기 구축된 ITS 인프라를 활용한 것으로 현장 적용 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점진적 RANSAC 방법을 이용한 넓은 환경에서의 대역적 자기 위치 추정 (A Global Self-Position Localization in Wide Environments Using Gradual RANSAC Method)

  • 정남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45-353
    • /
    • 2010
  • 로봇의 대역적 자기 위치 추정에서의 일반적인 해법은 로봇의 자기 위치에서 복수의 가설을 생성하고, 관측된 랜드마크의 특정을 기초로 각 가설을 평가하여 가장 확실한 자기 위치를 구하는 것이다. 기존의 대표적인 방법인 ML이나 MCL은 랜드마크의 특징과 생성된 가설의 모든 조합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충분한 계산 자원에서는 최적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계산량은 평가할 조합의 수에 비례하므로 다수의 조합이 존재하는 넓은 환경에서는 이러한 방법은 계산량이 아주 많아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확실하고 유망한 조합을 우선적으로 선택 평가하는 것으로, 계산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새로운 추정방법을 제안한다. 그 기본이 되는 방법으로는 RANSAC 알고리즘과 RANSAC 알고리즘의 효율화 방법인 Preemption scheme을 이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로봇이 관측할 때마다 계산량을 일정치 이하로 억제할 수가 있고, 또한 검증 실험에서 높은 추정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