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sion-recall

검색결과 703건 처리시간 0.03초

딥 전이 학습을 이용한 인간 행동 분류 (Human Activity Classification Using Deep Transfer Learning)

  • 닌담 솜사우트;통운 문마이;숭타이리엥;오가화;이효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78-480
    • /
    • 2022
  • This paper studies human activity image classification using deep transfer learning techniques focused on the incep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ceptionV3) model. For this, we used UFC-101 public datasets containing a group of students' behaviors in mathematics classrooms at a school in Thailand. The video dataset contains Play Sitar, Tai Chi, Walking with Dog, and Student Study (our dataset) class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First, it extracts an image frame from the video, and a tag is labeled on the frame. Second, it loads the dataset into the inception V3 with transfer learning for image classification of four classes. Lastly, we evaluate the model's accuracy using precision, recall, F1-Score, and confusion matrix. The outcomes of the classifications for the public and our dataset are 1) Play Sitar (precision = 1.0, recall = 1.0, F1 = 1.0), 2), Tai Chi (precision = 1.0, recall = 1.0, F1 = 1.0), 3) Walking with Dog (precision = 1.0, recall = 1.0, F1 = 1.0), and 4) Student Study (precision = 1.0, recall = 1.0, F1 = 1.0),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rate is 100% which states the model is more powerful for learning UCF-101 and our dataset with higher accuracy.

칼라 특징을 이용한 내용기반 화상검색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 Implementation o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Color Features)

  • 정원일;박정찬;최기호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3B권6호
    • /
    • pp.111-118
    • /
    • 1996
  •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tned using the color featurees which are histogram intersection and color pairs. The preprocessor for the image retrieval manage linearly the existing HSI(hue, saturation, saturation, intensity). Hue and intensity histogram thresholding for each color attribute is performed to split the chromatic and achromatic regions respectively. Grouping te indexes produced by the histogram intersection is used to save the retrieval times. Each image is divided into the cells of 32$\times$32 pixels, and color pairs are used to represent the query during retrievals. The recall/precision of histogram intersection is 0.621/0.663 and recall/precision of color pairs is 0.438/0.536. And recall/precision of proposed method is 0.765/0.775/.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using histogram intersection and color pairs improves the retrieval rates.

  • PDF

색상과 Chain Code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Content-based Image Reterieval Using Color and Chain Code)

  • 정성호;이상렬;황병곤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21세기지식경영과 정보기술
    • /
    • pp.193-19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색상과 체인 코드에 기반한 복잡도와 영역 색정보를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을 결합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험 대상으로 선택한 꽃 영상의 경우 대부분의 인식 대상 객체가 중앙에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영상을 중앙 영역과 전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서 두 개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그리고 전체 영역에 대한 기준치를 구하고 chain code글 이용한 복잡도를 구하였다. 중앙영역과 전체영역의 히스토그램 인터섹션을 이용한 검색을 실험하였고, 영역 색상과 복잡도를 결합한 검색도 또한 실험하였다. 기존의 히스토그램 인터섹션의 경우 Precision/Recall이 0.370/0.60인데 비해 영역 색상 히스토그램을 인터섹션한 경우의 Precision/Recall은 0.69/0.76이고 복잡도를 결합한 경우의 Precision/Recall은 0.92/0.80를 얻음으로써, 제안된 방식의 검색이 비교적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내용기반 영상 검색 유효성을 측정하는 방법들에 대한 비교 (Precision/Recall vs. Wilcoxon 순위 방법) (Comparison of Retrieval Effectiveness between Precision/Recall and Wilcoxon Test)

  • 장순자;김형중;여인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53-457
    • /
    • 2001
  • 영상검색은 문자위주의 검색을 한계로, 그 내용에 기반 한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특징벡터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값들에 순위를 매긴다. 이렇게 얻어진 순위 값들을 가지고 사용된 검색방법의 유효성을 검사하는데 Recall/Precision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질의영상과 같은 군에 속하는 영상이 얼마나 검출되었는지를 검출된 영상에 기반하여 계산하거나, 영상 군에 기반하여 계산하는 방법들이다. 그러나, 검출되는 순위값의 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 내에 속하는 만족하는 값의 개수를 세는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주어진 두 샘플의 전체적인 경향을 비교하지는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순위를 이용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두 샘플의 순위들을 결합하여 순위를 매기고 각 샘플들에 매겨진 순위값들의 평균과 분산을 이용하여 각 샘플들을 전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 PDF

영역 색상과 키워드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Region Color and Keyword)

  • 김지영;정성호;황병곤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68-7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이용하는 기존의 텍스트 기반 영상 검색과 영역 색상 정보를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을 결합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영상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상의 크기는 입력된 원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색상 정보 추출에 있어 HSI 공간으로 변환하여 256개의 칼라로 양자화하였다. 보통의 정지 영상의 경우 대부분의 객체가 중앙에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영상을 중앙 영역과 배경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서 두 개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중앙 영역과 배경영역의 히스토그램 인터섹션을 이용한 검색을 실험하였고, 영역색상과 기존의 키워드를 결합한 검색도 또한 실험하였다. 기존의 히스토그램 인터섹션의 경우 Precision/Recall이 0.34/0.60인데 비해 영역 색상 히스토그램을 인터섹션한 경우의 Precision/Recall은 0.69/0.76이고 키워드를 결합한 경우의 Precision/Recall은 0.92/0.80를 얻음으로써, 제안된 방식의 검색이 비교적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혼성 표본 추출과 적층 딥 네트워크에 기반한 은행 텔레마케팅 고객 예측 방법 (A Method of Bank Telemarketing Customer Prediction based on Hybrid Sampling and Stacked Deep Networks)

  • 이현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97-206
    • /
    • 2019
  • Telemarketing has been used in finance due to the reduction of offline channels. In order to select telemarketing target customers, variou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have emerged to maximize the effect of minimum cost. However, there are problems that the class imbalance, which the number of marketing success customer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failed customers, and the recall rate is lower than accurac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solve the imbalanced class problem and increase the recall rate to improve the efficiency. The hybrid sampling method is applied to balance the data in the class, and the stacked deep network is applied to improve the recall and precision as well as the accuracy.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actual bank telemarketing data.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experiment, the accuracy, the recall, and the precision is improved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s.

색인어 말뭉치 처리를 기반으로 한 웹 정보검색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WWW IR System Based on Keyword Clustering Architecture)

  • 송점동;이정현;최준혁
    • 정보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13-26
    • /
    • 1998
  • 대부분의 정보검색시스템들은 부적절한 색인어들에 의해 가끔 사용자의 의도에 맞지 않는 전혀 다른 검색 결과가 나타난다. 그것은 시스템이 색인어들을 검색하기 위해 그 의미가 아닌, 단지 용어로서만 고려하기 때문이다. 검색 정확도의 증진을 위해 색인어는 연관된 용어 사용 빈도와 역 빈도 사용으로 검색되고 동시 발생어는 원시 문서로부터 추출된다. 결과적으로 색인어는 계산된 상호 정보들을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세맨틱에 의해 클러스팅된다. 이 논문은 재현율의 감소없이 클라이언트 사용자 모듈로부터 피드백에 따라 세분된 세맨틱 정보를 사용하여 부적절한 검색 결과를 거절함으로써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보행만족도 예측모형 개발 (Developing a Pedestrian Satisfac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이제승;이현희
    • 국토계획
    • /
    • 제54권3호
    • /
    • pp.106-118
    • /
    • 2019
  • In order to develop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that provides optimal pedestrian routes based on pedestrian satisfaction level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that can estimate a pedestrian's satisfaction level given a certain condition.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pedestrian satisfac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Logistic Regression, Random Fores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The 2009, 2012, 2013, 2014, and 2015 Pedestrian Satisfaction Survey Data in Seoul, Korea are used to train and test the machine learning models. As a result, the Random Forest model shows the best prediction performance among the three (Accuracy: 0.798, Recall: 0.906, Precision: 0.842, F1 Score: 0.873, AUC: 0.795). The performanc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the second (Accuracy: 0.773, Recall: 0.917, Precision: 0.811, F1 Score: 0.868, AUC: 0.738)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performance follows the second (Accuracy: 0.764, Recall: 1.000, Precision: 0.764, F1 Score: 0.868, AUC: 0.575). The precision score of the Random Forest model implies that approximately 84.2% of pedestrians may be satisfied if they walk the areas, suggested by the Random Forest model.

온라인 간편 결제 환경에서 기계학습을 이용한 무자각 인증 기술 연구 (A Study on Unconsciousness Authentication Technique Using Machine Learning in Online Easy Payment Service)

  • 류권상;서창호;최대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419-1429
    • /
    • 2017
  • 최근 환경기반 인증 기술로 사용자의 로그인 히스토리를 계정도용 또는 정상 로그인으로 분류한 후 사용자별로 통계모델을 만들어 사용자를 인증하는 Reinforced authentication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Reinforced authentication은 사용자가 과거에 계정도용을 당한 적이 없으면 공격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환경정보와 타인의 환경정보를 함께 학습시켜 2-Class 사용자 모델을 만드는 무자각 인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목표 사용자에 대해 아무 정보도 없는 무 지식 공격자와 목표 사용자에 대해 한 가지의 정보만 알고 있는 정교한 공격자에 대한 Evasion Attack을 실험하였다. 무 지식 공격자에 대한 실험 결과 Class 0의 Precision과 Recall 각각 1.0과 0.998로 측정되었으며, 정교한 공격자에 대한 실험결과 Class 0의 Precision과 Recall 각각 0.948과 0.998로 측정되었다.

응용환경 적응을 위한 온톨로지 매칭 방법론에 관한 연구 (Adaptive Ontology Matching Methodology for an Application Area)

  • 김우주;안성준;강주영;박상언
    • 지능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91-104
    • /
    • 2007
  • 온톨로지 매칭 기술은 시맨틱 웹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온톨로지 매칭은 두 개의 온톨로지를 입력으로 받고, 이를 몇 개의 매개변수로 구성된 특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두 온톨로지 간의 매칭 관계를 알아내는 절차를 말한다. 온톨로지 매칭은 대용량 온톨로지의 통합이나, 지능화된 통합 검색의 구현 및 여러응용프로그램에 의한 도메인의 공유 등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톨로지 매칭의 성능은 온톨로지 매칭이 사용되는 환경과 관계없이 매칭 결과에 대한 측정만으로 평가되어 왔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는 매칭 결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매개변수를 조절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측정방법에 따른 높은 측정결과만을 목표로 하지 않고 온톨로지의 성격과 매칭 결과의 사용 목적에 따라 매개변수를 적절히 변화시켜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주어진 환경에 맞게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