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유아교사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doption Intention of Robot-Based Education)

  • 정애경;변선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27-235
    • /
    • 2018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년제 전문대학 재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별 수용의도와 각 예측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혁신의지, 사회적 영향력이 예비유아교사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배경변인에 따라 수용의도와 각 예측요인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여러 예측요인 중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만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에는 혁신의지와 사회적 영향력이, 지각된 유용성에는 지각된 용이성과 사회적 영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experience, playfulness, and gri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박선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1-49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충남, 전북지역의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 3학년 총 164명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정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별 일반적 경향 및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은 평균보다 약간 높고, 그릿은 평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 간에는 일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놀이경험과 놀이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그릿에 대해 놀이경험은 약 10%, 놀이성은 약 30%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그릿 증진 프로그램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유아권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gards to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 이영애;곽정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88-1003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유아권리의 중요성 및 권리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 경기, 충청, 전라, 제주도의 3년제 전문대학 6곳의 유아교육과 1, 2, 3학년 5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의 중요성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영유아의 권리를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권리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영유아권리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의 권리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1, 2학년보다 3학년이 영유아의 권리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권리관련 과목 수강여부에 따라서는 영유아 권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영유아 권리의 중요성 보다 권리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실습 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Practicum on Teaching Practicum through Metaphor Analysis)

  • 정혜영;김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44
    • /
    • 2015
  • 본 연구는 은유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통해 학교현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장실습에 관한 실천적 시사점을 얻어 보다 적합한 학교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1, 2학년 예비유아교사 1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은유를 표현하는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114개의 은유를 제시하였고, 이를 코드화하여 분류한 결과, 힘들지만 보람 있어요, 새로운 경험이에요, 힘들고 어려워요, 의미 있고 중요해요, 두렵고 걱정돼요, 많이 배워요, 꼭 거쳐야 해요, 노력해야 해요, 즐거워요, 평가 받아요, 기타의 11가지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이 예비유아교사에 어떤 의미인지 검토해 보고,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이를 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진로적응력에 미치는영향 :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on Career Adapt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 엄세진;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291-30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선택동기,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며,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가 진로적응력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소재 예비유아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교직선택동기,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학습, 진로적응력의 인식에서는 진로적응력, 자기주도학습, 교직선택동기 순으로 높게 나왔다. 둘째, 교직선택동기가 높아질수록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적응력이 높아지고, 자기주도학습이 높아질수록 진로적응력이 높아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학습은 교직선택동기와 진로적응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질 높은 유아교사교육을 실천하는데 다양한 관점을 모색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에서의 갈등경험 의미 탐색 (A Research on Meaning of Conflict Experience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마지순;안라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5-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출현하는 갈등경험과 갈등해결 경험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과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바람직한 협동학습이 진행 될 수 있는 기초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W대학에 재학 중인 85명의 예비유아교사로 저널쓰기, 비형식적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에서 구성원 모임, 공정성,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과정에서 모임시간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반성적 사고, 동료 간의 정서적 지지, 타인 이해 하기,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경험의 의미는 지각된 책임감의 형성, 타인 배려를 통한 자신의 성장, 호혜적 이타성 경험, 협동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함께 직접 만나 협동학습을 하는 시간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갈등해결을 위하여 교수자는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의 공정한 참여와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협동 학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할 때 협동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 탐색 연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 이승은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는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으로서 교육실습 과정을 경험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를 탐색하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N시의 4년제 대학 유아 교육학과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41명 및 지도 교사 41명이었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개방형 문항을 내용 분석을 통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전문성 인식 총점 및 하위요인들의 평균값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실습 초반에는 실제 수업의 진행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다소 어려움을 겪지만 실습기간 중, 지도교사의 안내를 받으며 다양한 유형의 실전수업을 경험하면서, 실습이 마무리 될 무렵에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변화하여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전문성 인식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을 내용분석 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실습과정에서 실제 수업을 처음 수행한 후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수업에서는 첫번째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발전 방안을 찾고, 적용해보는 과정을 통해 발전된 모습을 스스로 발견하면서 수업전문성 발달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드러났다. 셋째 실습 지도교사가 강조한 수업전문성을 내용 분석한 결과, 지도교사들은 수업의 청사진으로서의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의 흐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발문 구성,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융통성 있는 수업의 운영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 이해정;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4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384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의 인식 수준은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인성 중 집요성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afety care Practices of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세루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71-277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G광역시 G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인식의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 및 신변안전', '약물 및 사이버중독', '재난안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직업안전', '응급처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안전돌봄 실천행위를 측정하여 안전역량을 신장시키고자 하며, 예비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실무교육 기회 확대, 다양한 매체 개발, 무엇보다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안전과 관련한 수업운영과 내용을 토대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사회지능이 사회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A study on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intelligence on their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 박지영;정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40-548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사회문제해결력, 사회지능과 사회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취동기와 사회지능이 사회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Y지역의 전문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93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송승희(2009)의 성취동기 측정도구, 한순미(2011)의 사회지능 측정도구, 허규(2001)의 사회문제해결력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사회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지능과 사회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와 사회지능은 각각 사회문제해결력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는 사회문제해결력 단계 중 수행확인 단계에서 그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지능은 문제규정 단계에서 가장 높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문제해결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동기 및 사회지능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지원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