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oagula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5초

혐기성 소화액의 막분리를 위한 전기응집 전처리 연구 (Application of electro-coagulation for the pretreatment of membrane separation of anaerobic digestion effluents)

  • 김신영;장인성;김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665-467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혐기성소화액을 분리막으로 고/액 분리할 때 발생하는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응집을 전처리 공정으로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전기응집 공정의 전극면적, 전류밀도 및 접촉시간에 따른 막오염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극 침지 면적이 작은 경우 전계의 세기가 높아져 미생물 플록 및 셀의 파괴 현상으로 인한 용존 COD의 증가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전극 침지 면적이 큰 경우에 용존 COD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T-P는 전극에서 용출된 알루미늄 이온과 침전하여 전기응집 후 크게 감소하였다.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막 투과 플럭스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막오염 저항값 (Rc+Rf)은 감소하였다. 혐기성 소화액의 입자 크기는 전기응집 후에 약간 증가하였으나 입자크기 증가가 막오염 저감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응집으로 발생한 $AlPO_4$와 같은 무기성 부유 물질이 분리막 표면에서 dynamic membrane으로 작용하여 막오염을 저감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개심술 환자의 체외순환 전후 혈전 탄성 묘사도의 임상적 이용 (Clinical Use of Thromboelastography as Monitor of Coagulopathy at the Pre and Post-Cardiopulmonary Bypass)

  • 강경훈;김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1호
    • /
    • pp.1092-1096
    • /
    • 1997
  • 혈전 탄성 묘사도는 일회의 채혈로 지혈기능의 전반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데, 혈소판 응집과 응괴 강 도와 섬유소 교차결합을 통한 초기의 혈소판-섬유소 상호작용 시간부터 궁극적인 응괴 용해 까지의 단백질 응고 폭포와 혈소판의 상호반응을 기록하는 것이다. 1996년 4월 1일부터 1996년 8월 31일까지 개심술을 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평균 연령 34$\pm$12) 혈전 탄성 묘사도를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1시간후, 수술 24시간 후에 조사하였다. 전통적인 혈액학적인 지표들과 혈전탄성 묘사도 자료를 통계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체외 순환전의 혈전 탄성 묘사도의 최대 진측과 혈소판 수와, 체외 순환 24시간 후에는 혈전 탄성 묘사도의 R값 및 K값 그리고 알파 앵글이 활성 응고 시간과 통계학적인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체외 순환후 24시간 동안의 술후 출혈의 예측 정확도는 혈전 탄성 묘사도가 100%(P=0.0043)로 활성 응고 시간(57%)와 기존의 응고 검사(43%)와 비교해서 더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혈전 탄성 묘사도는 사용이 쉽 고 임상적으로 정확하고 비용면에서 유용하여 지혈문제를 가진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처치\ulcorner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하겠다.

  • PDF

심폐바이패스시 혈액응고체계 변화의 혈전탄성검사 분석 - 단일 저용량 아프로티닌 투여 효과 분석 - (Thromboelastographic Analysis of the Coagulation System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Analysis of the Effect of Low-Dose Aprotinin)

  • 김관민;박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77-685
    • /
    • 1997
  • 혈전탄성검사(혈전탄성검사, thomboelastography)는 혈전 생성 전 과정에 대한 신속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용한 측정 방법 중의 하나이며, 많은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혈액응고 장애의 진단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가능케 한다. 최근,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아프로티닌에 의해 심폐바이패스 후의 혈액응고 장애에 의한 출혈 문제가 많이 해결되었지만,그 지혈 작용 기전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 는 개심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서 아프로티닌이 심폐바이패스에 의한 혈액응고 체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혈전탄성검사로 분석하기위하여 시행하였다 20세 이상 성인 개심슬 환자 40명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대조군(남 10명, 여8명, 평균연령 53.4세)은 심폐기 충전액에 아프로티닌을 투여하지 않았고, 아프로티닌군(남 14명, 여 8명, 평균연령 50.8세) 은 심폐기 충전액에 아프로티닌 2백만 KIU(kallikrein inhibition unit)를 투여하였다. 이 들을 대상으로, 심폐바 이패스 전, 후( 프로타민에 의한 헤파린 효과 중화 30분 후)에 혈전탄성검사와, 활성응고시간, 프로트롬빈시 간,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혈소 \ulcorner수, 섬유소원과 섬유소용해물질 농도 등 일반적인 혈액응고 검사들 을 시행하였다. 일반적인 혈액응고 검사상에서는, 두 군간에는 섬유소용해물질이 대조군에서 심폐바이패스 후 아프로티닌 군 보다 의미 있게 증가한 것(p<0.05)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혈전탄성검사에서는 혈전형성 시간(K)과 $알파각(\alpha^{\circ})이$ 두 군 모두에서 심폐바이패스 후에 각각 증가 및 감소하였으나(p<0.05), 섬유소용해 지수(LYS60)는 차이가 없었다. 아프로티닌군에서는, 반응시간(R)은 심폐바이패스 후에 감소하였으나(p<0.09) 혈전강도최대치(h4A)는 변화가 없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반응시간은 변화가 없었으나 혈전강도최대치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5). . 이상의 결과로부터, 심폐바이패스 시 혈액응고 체계의 주된 변화는 혈소판 기능 저하에 의한 혈전 강도의 저하이고, 과도한 섬유소용해의 증가는 일어나지 않으며, 아프로티닌은 심폐바이패스 후의 혈액응고 체계에 서 초기에는 항혈액응고 작용을 갖지만, 심폐바이패스에 의한 혈소판 기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일단.혈전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혈전강도를 심폐바이패스 전 상태로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ulcorner각된다.

  • PDF

역삼투막 전처리로서의 2단 섬유상 여과기를 이용한 정수처리 연구 (Potable Water Treatment Study using the Double Stage Fiber Filter for the Pre-treatment of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 배시열;장형욱;윤창한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97-105
    • /
    • 2010
  • 2009년 1월 3일부터 12월 1일까지 11개월간 공업용수를 주변지역에 공급하는 A정수장 응집침전조의 상등수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본 연구는 RO막 전처리 장치로서의 압력식 섬유여과기인 PCF 여과기 2대를 직렬연결한 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 것이다. 성능평가는 SDI (Silt Density Index)를 통해 간접적으로 RO막에 대한 전처리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PCF Filter로 유입된 원수의 탁도는 평균 0.79 (0.28~4.01) NTU이었으며, 처리수의 탁도는 평균 0.16(0.04~0.50) NTU로 탁도 제거효율은 평균 77%이었다. 일일 평균 처리유량은 약 230 $m^3$/day고 평균 역세유량은 8.7 $m^3$/day로 평균 역세수량은 3.8%로 나타났다. 여과수의 탁도 및 SDI 값은 측정 전 보관시간에 따라 증가하는데 이번 실험에서 몇몇 시료는 1~11일 동안 보관한 후 탁도 및 SDI가 측정되었으며, 이들 전체의 평균 SDI 값은 3.6 (2.26~5.00)으로 RO 제조업체에서 RO의 수명보증을 위해 통상 요구하는 SDI 값인 5.0 이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RO 전처리공정의 SDI 측면에서 2단 섬유여과 공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단계중합법에 의한 PMMA/PSt Composite Particle의 제조에 관한 연구 (h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MMA/PSt Composite Particles b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 이선룡;설수덕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617-624
    • /
    • 2001
  • 음이온계 유화제를 사용하여 monomer pre-emulsion을 제조한 다음 ammonium persulfate를 개시제로 하여 단계 중합법에 의해 새로운 입자의 생성이 적고 중합 과정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styrene (PSt)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ll 중합시에 새로운 입자의 생성이 적고 중합 중 안정성이 우수한 라텍스를 제조하기 위해 개시제농도, 유화제농도, 중합온도가 PMMA/PSt와 PSt/PMMA의 core-shell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중합한 라텍스를 입도분석기 (particle size analyzer: PSA) 및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이용하여 실제 입자측정과 입자형태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시차주사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T_g$)의 측정, 필름 조막성 (minimum film formation temperature: MFFT), NaOH 첨가에 의한 가수 분해에 따르는 pH를 측정하여 core-shell의 또 다른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PVDF 가압식과 PE 침지식 분리막을 결합한 2단 막여과 공정의 성능검토 및 회수율 증대 방안 연구 (Increase of Recovery Ratio by Two Stage Membrane Process (the Pressurized PVDF Membrane Followed by Submerged PE Membrane))

  • 김준현;문백수;장홍진;김진호;김병석
    • 멤브레인
    • /
    • 제23권1호
    • /
    • pp.45-53
    • /
    • 2013
  • 현재 분리막 여과 공정은 정수처리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분리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혼화/응집(/침전)' 등의 전처리 시설 설치로 인한 부지면적 및 비용증가와 5~10%의 배출수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공정 없이 지표수(한강)에 대하여 가압식 PVDF 분리막[(주)에코니티]으로 운전하여 성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1년 동안 화학적 세정 없이 여과 flux가 1~2.4 m/d (at $25^{\circ}C$)로 운전되었고, 유입원수의 탁도와 상관없이 분리막 처리수의 탁도는 0.05 NTU 이하로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또한, 회수율 제고를 위하여 1개월 동안 가압식 배출수(역세수 + 배수)를 침지식 PE 분리막[(주)에코니티]으로 연계하여 2단 막여과 운영을 한 결과 전체 공정 회수율을 99.5%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분말활성탄(PAC)+막여과(MF) 조합공정에서 PAC의 영향 평가 (Assesment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Effect on PAC+MF Hybrid Membrane Process)

  • 김병수;왕창근;임재림;김충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17-522
    • /
    • 2008
  • This study aims at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aste & odor removal and transmembrane pressure changes in a pilot membrane plant(500m3/day) by adding PAC to MF process, and at providing a basis for applying it to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The transmembrane pressure showed, in low turbidity of raw water, a tendency to decrease when PAC was injected at the Flux of 1, $1.5m^3/m^2{\cdot}d$, while it increased in high Flux($1.5m^3/m^2{\cdot}d$) in high turbidity of raw water. in addtion, it is shown that the fouling could be reduced more when PAC is injected together with appropriate amount of coagulant, than when PAC is solely injected. Taste & Odor-causing 2-MIB may not be detected in membrane filtered water, if the amount of PAC injection i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2-MIB. Hence, PAC injection, as a pre-treatment process in MF membrane filtering, is supposed to be a suitable process for reducing fouling as well as for improvement effectiveness of taste & odor treatment.

체외순환 개심술이 혈액응고 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blood coagulation factors after open heart surgery with extracorporeal circulation)

  • 이철범;박영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4호
    • /
    • pp.356-363
    • /
    • 1980
  • Even now, the hemorrhagic syndrome after cardiac surgery with the aid or a pump oxygenator constitutes a significant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stulate the possible causes of the bleeding after open hear surgery [OHS]. Fifteen consecutive OHS patients with various heart diseases were selected and platelet count, plasma fibrinogen, serum calcium level were observed pre-, intra- and post- operatively until 21 th postoperative day [POD]. The platelet cou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itiation of 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and continued to decrease slowly until cessation of ECC. Within 10 minutes after ECC the platelet count stared to increase. But it was significantly less than preoperative count until 5th POD. The peak count was found on 14th POD and the platelet count was gradually decreased. Plasma fibrinogen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operation, but it recovered up to preoperative amount within 5 hours after termination of ECC. Thereafter it rapidly increased until 3rd POD when it reached its peak. From 3rd POD it showed slow downward slope until 21st POD, but it remained in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preoperative amount. Serum calcium levels showed minimum fluctuations during the whole course of study. Conclusively, the decrease in platelet count and fibrinogen amount may play a considerable role for the postoperative hemorrhage. But numerous other effects of ECC must be accounted for.

  • PDF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

  • 정효기;김중곤;김시욱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272-276
    • /
    • 2005
  • 음식물 폐기물을 3단계 메탄발효 공정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배출되는 발효폐액은 거의 액상으로 고농도의 sCOD, T-N and $NH_{3}-N$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메탄 발효 후 최종 유출되는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를 물리${\cdot}$화학적 응집 및 침전을 이용하여 전처리 한 후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속 처리를 하고자 하였다. $FeCl_{3}$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였을 때 최적 pH 및 농도는 4와 2000 mg/L로 52.6%의 COD제거율을 보였다.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의 경우 24시간 동안 COD는 2890 mg/L에서 184 mg/L로 감소하였으며, T-N은 2496 mg/L에서 914 mg/L로 감소하였다.

  • PDF

산 침출 시 실리카 광물의 용해 및 제거 (Dissolution and Removal of Silicates in Acid Leaching Process)

  • 박경호;남철우;김현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1호
    • /
    • pp.3-11
    • /
    • 2015
  • 산 침출에 있어서 생성되는 가용성 실리카는 고액분리 시 여과를 어렵게 하고 목적금속의 순도를 저하시키는 등 습식제련공정에 있어서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실리케이트 광물과 산과의 반응성, 가용성 실리카의 특성, 제거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가용성 실리카는 알카리 전처리에 의한 제거, 결정상태의 $SiO_2$로 변환, 응집 등의 방법을 통한 여과성 향상 등의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