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Plans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의 UCP2 유전자 다형성과 식습관 비교연구 (Comparison of UCP2 Polymorphism and Dietary Habits in University Students)

  • 김경희;박미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4-235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meal quality and the dietary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for desirable dietary live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nutritional education by examining polymorphism distribution of the UCP2 gene according to gender, by investigating attitudes in terms of their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ves, and by analyzing serum lipid levels and body composi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22 students - 93 male and 129 females. Based on a selfreporting method, the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over 20 minutes, and UCP2 insertion/deletion gene polymorphism and blood sample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d average BMI of 22.50 and $20.73\;kg/m^2$, respectively. According to answers regarding their dietary lives, 51.4% of the students showed 'irregular eating' patterns, which is regarded as something to be corrected. In terms of eating regularity, 51.6% of the male students and 59.7% of the female students had irregular meal schedules. As the most important meal of a day, 64.0% of the students answered 'breakfast' but only 53.6% answered that they ate breakfast everyday. In addition, 39.8% of the male students and 50.4% of the female students ate between meals 'once a day'. When questioned if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17.8 and 45.2% of the male students answered they were 'satisfied' or needed to 'gain weight', respectively, whereas 17.8 and 77.5% of the female students answered they were 'satisfied' or needed to 'lose weigh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UCP2 gene polymorphism analysis showed that 33.7% of the males belonged to the DI heterozygote group, 64.2% belonged to the DD homozygote group, and 2.1% belonged to the II homozygote group. For the female students, 63.4% belonged to the DI heterozygote group, 35.1% belonged to the DD homozygote group, and 1.5% belonged to the II homozygote group. According to the blood and serum lipid analyses, the male students showed averag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hemoglobin levels of 57.20, 93.80, and 15.00 mg/dL, respectively, while the female students presented average levels of 56.69, 102.88, and 13.13 mg/dL,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effects in terms of UCP2 gene polymorphisms, but it is suggested that practical plans must be designed that allow college students to use nutritional knowledge in their daily lives, and in particular, nutrition education needs to be develop that would enable female college students to recognize their bodies appropriately and to control their weight in desirable ways.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tructure of Farm Product in Korea)

  • 최수환;김중원;김경록;이영석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2권2호
    • /
    • pp.70-83
    • /
    • 2011
  • 농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국제화에 대응하여 농사눌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농업의 구조조정의 필요성과 농산물 유통에 있어 농산물 제값받기, 공정거래, 능률 향상 등의 시대저 요청에 정부의 적절한 대응이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공산물에 비해 보잡한 농산물의 유통구조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고, 산지수집 단계에서부터 농산물 출하선택의 폭을 넓혀 안정적인 상품공급과 계획적인 생산체계를 유도하고 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조절과 판매 처리 능력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각종 부도덕한 상거래 행위를 근절시켜 유통정책의 효율적인 수립 및 집행을 위해 정확한 유통통계와 정보화가 필요하다.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산자에게는 상푸의 적정가격 보장과 생산의 극대화를 위한 시설개선이며, 소비자에게는 기호에 따라 적정가격의 최상푸질을 제공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 단순히 유통비용 또는 마진을 낮추는 개선이 아닌 실제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유통구조의 비용을 절감하여 최상의 생산품을 제공하여야만 향후 우리나라 농산물의 입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주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농가의 작목전환 실태 -한농대 졸업생 감귤 농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op switching of farmers in Jeju Islands related to the climate changes - focused on the citrus farms of the graduates of the KNCAF -)

  • 김종숙;강성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163-179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o which degree farmers did the crop switching and cultivar renewal as a confrontational strategy to climate change, and which problems they had in that process, and then to provide the supporting plans for them.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5 citrus farmers of the KNCAP graduates in Jeju Island.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agreed to the climate change of Jeju Island and the subtropical climate of its coastal area. The farmers have experienced irregular weather such as abnormal high temperature, frequent rain, and droughts, resulting in the harmful insects and new weeds attack. As the climate change strategies, they are adopting a greenhouse culture system, improving a soil drainage using reorganization of planting space, making a new pest management program, and trying to switch a crop to subtropical fruits. It is expected that 50% of the survey respondents have changed their crops or will do; and 73 % of them have changed cultivar or have a plan to do. Only a few farmers directly pointed to a reason for their efforts to change the crops or to renew the cultivars as the anti-climate change strategy, however, most farmers answered the reason was to increase profitability by meeting their consumers' tastes. Presently, it is not the anti-climate change strategy but increase of profitability by meeting the consumers' needs the reason why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have changed their crops or renewed the cultivars, while a few of them switched their crops to a subtropical fruit trees due to climate change. On the crop switching, they had some difficulties such as a labor shortage, availability of land, operating costs and instable income. On the cultivar renewal, also, they encountered the lack of cultivating techniques for new cultivars and the dim future for the new market. In long-term perspective, Jeju's farmers need new informa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bout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of Jeju, and cultivation techniques for new crops and new cultivars.

원활한 농장승계와 합리적 농장경영을 위한 교육·훈련과정 개발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smooth succession and rational farm management of family farm)

  • 이영석;김성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137-158
    • /
    • 2009
  •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s of the current situations of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in regards to succession of their family farm, for the target group of graduates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of the year 2008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way of controlling and solving the conflicts, and of developing a course of education and training, so that through this process they can come to a rational conclusion to the conflicts that arise regarding succession of the farm, in a climate of harmony and peace. It is fou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graduates has normally gone on well, but specific problems related to management of the farm are often present. Furthermore, there is often lack of trust and promise between the parties which often causes difficulties in preparation for the succession of the farm.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education workshop and training, as a program in which parents and their successors participated. As a result, we found it to be very effective, but it was also found to be in need of some changes. The workshop is to be implemented in two separate stages. The first stage should focus on communication and trust between family members. Firstly, they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share the list of concerns withone another, as an ice breaking activity. Secondly, they can present their own hopes or wishes. And lastly, they can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an effort to find resolutions that will be keep both parties satisfied. The second stage should be aimed at establishing agreements concerning succession of the farm in a harmonious and peaceful manor; the second stage is also an opportunity to discuss 'Farm management and succession'. The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KNAC) is in the pursuit of fostering agricultural CEO's for the future of Korea. KNAC is currently implementing a very unique system of interviews in which parents participate together with students, in order to help them make a plan for rational management of their farm and smooth succession of the farm. Although KNAC now has students present a blueprint of their own unique business plans as a graduation thesis, it is necessary for KNAC to complement this system with education and training regarding the succession of family farms. Furthermore, KNAC should also develop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at is separate for this purpose, and make it a regular course of study of KNAC in the future.

합리적 농장경영과 원활한 농장승계를 위한 교육·훈련 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The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rational farm management and smooth succession of family farm)

  • 이영석;김성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3-27
    • /
    • 2008
  •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s of the current situations of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in regards to succession of their family farm, for the target group of graduates of the year 2008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also aims at finding a way of controlling and solving the conflicts, and of developing a course of education and training, so that through this process they can come to a rational conclusion to the conflicts that arise regarding succession of the farm, in a climate of harmony and peace. It is fou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graduates has normally gone on well, but specific problems related to management of the farm are often present. Furthermore, there is often lack of trust and promise between the parties which often causes difficulties in preparation for the succession of the farm.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education workshop and training, as a program in which parents and their successors participated. As a result, we found it to be very effective, but it was also found to be in need of some changes. The workshop is to be implemented in two separate stages. The first stage should focus on communication and trust between family members. Firstly, they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share the list of concerns withone another, as an ice breaking activity. Secondly, they can present their own hopes or wishes. And lastly, they can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 an effort to find resolutions that will be keep both parties satisfied. The second stage should be aimed at establishing agreements concerning succession of the farm in a harmonious and peaceful manor; the second stage is also an opportunity to discuss 'Farm management and succession'. The Korea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KNAC), as a state college, is in the pursuit of fostering agricultural CEO's for the future of Korea. KNAC is currently implementing a very unique system of interviews in which parents participate together with students, in order to help them make a plan for rational management of their farm and smooth succession of the farm. Although KNAC now has students present a blueprint of their own unique business plans as a graduation thesis, it is necessary for KNAC to complement this system with education and training regarding the succession of family farms. Furthermore, KNAC should also develop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at is separate for this purpose, and make it a regular course of study of KNAC in the future.

은행서비스 산업에서 교차구매 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ross-Buying Intentions in the Banking Industry)

  • 김지혜;김상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57-89
    • /
    • 2009
  • 규제완화와 금융수요 다양화 등 금융환경 변화에 따라 세계적으로 겸업주의가 진행되면서 은행, 증권, 보험 등 여러 금융상품을 한 곳에서 판매하는 금융서비스의 융합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의 제한으로 크게 위축된 주택시장과 수익성 둔화의 해결책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교차판매에 주목하고 있다. 교차판매란 현재고객이 가지고 있는 것에 추가하여 부가적 제품과 서비스를 촉진하는 것이다. 교차판매는 은행에 안정적인 이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를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등, 부가적 서비스에 의한 고객가치 창조가 고객관계 관리를 위한 중요 수단임이 인식되어 최근에 그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의 교차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으로 인식된 관계마케팅변수들을 정서적 차원으로 제시하고 교차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수단적으로 차원으로 제시하여 교차구매 의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은행과의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소비자 48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정서적 차원으로 제시된 만족, 신뢰, 몰입 등이 교차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동안 교차구매 의도 연구에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편의성, 전문성, DM등도 교차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은행산업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국가공무원을 위한 디지털 기반 비대면 교수설계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Digital Technology for Public Servants)

  • 위영은;이성일;이지영;김우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57-57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공무원을 위한 디지털 기반 비대면 교수설계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비대면 교수설계 방향을 검토하였고, 비대면 교육 경험이 있는 교수자 및 학습자 총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국가 공무원 비대면 교수설계의 성공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교수설계 모델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교수설계 및 교육운영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가공무원을 위한 디지털 기반 교수설계 모델은 학습동기를 강화하고 교육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와 내용 설계의 중요성이 반영되었으며, 비대면 교육상황에서 교수자가 구체적이고 명확한 수행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상세수행방안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수설계모델은 공공 인적자원개발의 교육품질 제고를 위한 기준으로 확장이 가능하며, 학습자 유형과 특징에 맞게 교수학습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다.

융·복합 안전공학의 필요성 및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 the Needs and Plans for Convergence Safety Engineering)

  • 김동춘;이준성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9-2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에 대한 현황 및 사망재해 통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융복합공학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산업현장 안전관리는 소극적, 형식적, 비체계적임과 동시에 현장의 안전관리에 대한 정보 전달이 매우 미흡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 산업안전 보건교육은 체계적이지 못하였으며 과거의 교육 형태를 반복하고 있어 실효성이 있다고 볼 수 없었다. 최근 ICT 기술이 산업 전반에 걸쳐 도입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 안전공학의 도입을 위한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크케는 학교 교과 편성을 융·봉합적으로 편성 및 운영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관리 교육이 실질적이고 현실감 있는 형태로 진행될 수 있게 VR 콘텐츠 및 체험교육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다양한 산업현장 특성을 고려한 산업별, 공종별로 차별화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산업현장 안전관리 및 교육 분야의 관련자들에게 융·복합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스마트 채소 육묘 기술 개발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Smart Vegetable Seedling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Republic of Korea)

  • 강동현;이소영;김혜경;안세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6권1호
    • /
    • pp.22-2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 육묘 기술 개발을 위한 스마트 육묘 정의, 스마트 육묘 시스템 분석, 스마트 육묘 시스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모델, 스마트 육묘 기술 개발 연구 동향 및 스마트 육묘 시스템 개발과 이용 전망 등을 정리하고, 향후 스마트 육묘 기술 관련 연구개발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 채소 육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육묘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육묘 생산, 관리 및 유통 시스템이다. 스마트 육묘 기술을 적용한 채소 모종 생산은 개별 스마트 육묘 요소 기술과 스마트 육묘 통합관리 시스템이 연동되어 생산 단계별 모종, 환경, 작업에 대한 정보의 수집, 분석,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육묘 농가의 경우, 주문, 육묘 및 출하 계획을 합리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스마트 채소 육묘 기술 정립을 위한 채소 작물별 모종 규격 및 품질 표준화와 관련 스마트 육묘 요소 기술 개발이 미흡한 실정으로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하다.

부산신발산업의 지식경영도입을 위한 전략적 방안 (Strategic plan for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of Busan's footwear industry)

  • 송경수;김용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559-592
    • /
    • 2012
  • 부산지역 신발산업의 과도기적 격변 과정에도 불구하고 신발산업의 연구가 주로 공학적 관점에서 소재, 생체역학, 부품, 디자인 등에 집중되어 실질적으로 신발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경영적 방안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 연구는 매우 희소하다.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초에 여러 정책보고서들이 발간되었지만 그것들은 실태 파악과 정책적 대안 모색에 한정되었고,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로는 발전되지 못했다. 이러한 특정분야에 한정된 문제들을 경영관리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신발기업들의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검토해야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 미, 한 EU FTA 발효 이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부산지역 신발수출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아닌 지속가능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지식경영의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여 산업기반 확충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취지가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부산신발산업의 현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발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지식경영도입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나 방향들이 부산지역 신발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인체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기능성 신발, 디자인, 소재 및 부품 등에 초점을 두고 있어 근본적인 기업경영에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지식경영의 도입을 주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신발산업의 지식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지식경영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산업적 생태계조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함에 있다. FTA 체결에 따른 수출증대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신발기업들의 경영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식경영방식의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통해 FTA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식경영의 정착은 신발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어 장기적으로는 지역산업의 부흥 및 고용창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