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

검색결과 3,180건 처리시간 0.043초

Sex Differences Associated With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Seropositivity Unwareness in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positive Adults: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Jang, Suk-Yong;Jang, Sung-In;Bae, Hong-Chul;Shin, Jaeyong;Park, Eun-Cheo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2호
    • /
    • pp.74-83
    • /
    • 2015
  • Objectives: To examine the sex-specific factors associated with being unaware of one's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gen (HBsAg) seropositivity status in a large, HBsAg-positive population of Koreans. Methods: In total, 1197 subjects aged 19 years or older who were HBsAg-positive according to data from the 2007-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included. Subjects were considered unaware of their HBsAg seropositivity status if they answered that they had no knowledge of being previously infected by the hepatitis B virus (HBV) or diagnosed with HBV hepatitis. Multivariate Poisson regression models with robust variance estimate were us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using weighted frequencies. Results: The majority (77.8%) of HbsAg-positive Korean adults (females, 81.9%; males, 74.6%) were unaware of their HBsAg seropositivity status. We found that sex (female: prevalence ratio [PR] 1.19), household income (low: PR, 1.15), marital status (never married: PR, 1.18), self-rated health (moderate: PR, 1.14; good: PR, 1.12), and alcohol use (at least 2-3 times/wk: PR, 1.21) were associated with being unaware. In females, age (50 to 59 years: PR, 1.29; ${\geq}70$ years: PR, 1.30), household income (low: PR, 1.37; middle-low: PR, 1.24), and marital status (never married: PR, 1.33) were associated with being unaware. In males, self-rated health (moderate: PR, 1.14; good: PR, 1.21) and alcohol use (at least 2-3 times/wk: PR, 1.21) were associated with being unaware. Conclusions: Factors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emales and the health-related behaviors of mal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being unaware of one's HBsAg seropositivity status.

$(Nd_{1-x}R_x)_2Fe_{14}B$ (R=Y, Pr)의 자기특성 (Magnetic properties of $(Nd_{1-x}R_x)_2Fe_{14}B$ (R=Y, Pr))

  • 김만중;김윤배;김희태;김택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71-274
    • /
    • 1998
  • 자장중 정렬된(Nd1-xRx)2Fe14B (R=Y, Pr) 다결정 분말을 사용하여 스핀재배열현상과 결정자기이방성을 연구하였다. 이 화합물에서 스핀재배열온도(TSR)는 R=Pr인 경우 0$\leq$x$\leq$0.75 의 조성범위에서 Pr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Delta$TSR=-1.35 K/Pr at.%의 비율로 단순 감소하였으나 R=Y인 경우에는 초기 소량의 감소 후 다시 약간 증가한다. 4.2 K에서 스핀재배열각(SRA)은 Y과 Pr 치환량의 증가에 따라 0$\leq$x$\leq$0.5의 범위에서 $\Delta$SRA=-0.073$^{\circ}$/T at.%와 $\Delta$SRA=-0.258$^{\circ}$/Pr at.% 비율로 감소한다. 4.2 K에서 결정자기이방성상수의 조사결과 R=Y인 경우 x=0.9 이상에서 R=Pr인 경우에는 x=0.8 이상에서 스핀재배열현상이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Pr6O11의 함량 및 열처리 조건에 따른 YPO4:Pr3+ 형광체의 발광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YPO4:Pr3+ Phosphor by the Content Ratio of Pr6O11 and Calcination Temperature)

  • 김민준;이성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7권1호
    • /
    • pp.68-73
    • /
    • 2024
  • In this study, the praseodymium-doped yttrium phosphate (YPO4:Pr3+) powder, which is well known for its high luminescent efficiency, and long life in the UV range, was synthesized with various content ratios of Pr6O11 and calcination temperature. Crystal structure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various phosphor powders based on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calcination conditions were characterized by XRD (X-Ray Diffraction) and PL (photoluminescence) spectrometers. From the XRD analysis, the structure of YPO4:Pr3+ which is calcinated at 1,200℃ was stable tetragonal phase and crystal size was calculated about 25 nm by Scherrer equation. PL emission of YPO4:Pr3+ with a different content ratio of Pr6O11 by excitation λexc=250 nm shows that 0.75 mol% phosphor powder has maximum PL intensity and PL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Pr6O11 up to 1.25 mol% which is caused by changes of crystallinity of phosphor powders. With increasing dopant ratio, photo-luminescence Emission decreases due to Concentration quenching, which is commonly observed in phosphors. Currently, 0.75 mol% is considered the optimal doping concentration. A hybrid ultraviolet-emitting device incorporating YPO4:Pr3+ fluorescent material with plasma discharge was fabricated to enhance UV germicidal effects while minimizing ozone generation. UV emission from the plasma discharge device was shown at about 200 nm and 350 nm which caused additional emission of the regions of 250 nm, 315 nm, and 370 nm from the YPO4:Pr3+ phosphor.

한국의 기업 PR 수단 및 활동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일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Japanes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Corporate: Public Relations Means and Activities in Korea)

  • 선혜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4권
    • /
    • pp.63-97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의 기업 PR 수단 및 활동의 발전과정에 미친 외적요인을 일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업 PR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경우 CIP 도입과 수용, 기업 PR광고, 사보를 중심으로, 기업 PR활동의 경우 기업재단을 통한 사회공헌활동과 경제계 PR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업 PR과 관련하여 기업 PR 활동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 기업의 PR 활동의 강조점과 커뮤니케이션 수단 활용 측면의 고찰을 통해 일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PR 발달사적 측면에서 기업 PR관련 영역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상황과 일본의 상황 비교를 통해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문제들에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에서의 기업 PR 수단 및 활동영역의 발전과정에 일본이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 기업 PR의 시작과 발전은 PR 이론과 PR 실무 및 관행 측면에서 많은 부분 PR의 발상지며 종주국인 미국의 것을 받아들였음은 이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미국으로부터의 직접적 경로가 아닌 일본을 통한 간접적 도입의 형태로 일본에서 도입 발전된 방식으로 한국에서 수용 발전되었다 하더라도 미국의 영향이 존재함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 PDF

옥수수(Zea mays) 원뿌리의 통기조직 발달에 미치는 에틸렌 전구체, 옥신, 메틸자스몬산의 효과 (Effects of Ethylene Precursor, Auxin and Methyl Jasmonate on the Aerenchyma Formation in the Primary Root of Maize (Zea mays))

  • 호종윤;맹소현;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5
  • 옥수수(Zea mays) 원뿌리에서 에틸렌 전구체인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indole-3-acetic acid (IAA) 그리고 methyl jasmonate (MeJA)가 통기조직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호르몬 처리는 원뿌리의 종단 구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control과 호르몬 처리된 뿌리의 비교 가능한 위치를 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원뿌리의 정단을 PR0, 기부를 PR100이라 정의하고 이 두 지점 사이를 길이에 비례하여 PR25, PR50, PR75로 구분하였다. 대조군 뿌리의 PR25와 PR50 부분에서는 통기조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PR75 부분에서는 드물게 통기조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PR75 부위의 통기조직 면적은 ACC 또는 IAA가 존재할 때 증가하였다. 반면, MeJA는 옥수수 원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와 침수되었을 때 서로 다른 차등 효과를 나타내었다. 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 MeJA는 통기조직의 발달을 억제하였다. 반면, 뿌리를 침수 시키면 통기조직의 면적이 증가하는데 그 면적은 MeJA에 의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한편, 곁뿌리 원기는 그 주변 피층세포의 통기조직 발달에 수반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곁뿌리 원기에 의해 억제되는 통기조직의 발달은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통기조직의 발달을 촉진하는 세 가지 호르몬들에 의해서도 회복되지 않았다. 이는 발달하는 곁뿌리 원기가 억제하는 통기조직 발달 조절의 세부 단계는 식물호르몬들이 작용한 이후 단계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부 부처 정책고객서비스의 적용사례와 PR 활용방안: PCRM PR 현황 및 개선방안 (Applications and PR policy Use of Policy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CRM): PCRM PR Status and Improvement)

  • 우종무;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7
    • /
    • 2015
  • 정책고객서비스(Policy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PCRM)는 공공부문의 고객관계관리(Public CRM)를 말한다. 그러나 현재 정부 37개 부 처 청 공무원들은 공공고객관계관리(Public CRM)를 단순히 정책고객 DB 리스트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여론조사 도구 정도로만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결과, 공무원과 일반국민이 함께 PCRM을 정책고객서비스를 포함하는 공공고객관계관리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공감하고, PCRM 활용이 공공부문 홍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강제했을 때, PCRM PR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하고 구체적인 PCRM PR 활용 전략 및 방안을 제안한다.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 처리에 따른 배양세포 내 스크래피 프리온 단백질의 형성증가 (Enhanced Formation of Scrapie Prion Protein in Cultured Cells by Treatment with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

  • 이지현;모상현;류종석;김대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1-96
    • /
    • 2015
  • Prion은 양의 scrapie, 소의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와 사람의 CJD와 같은 다양한 신경 퇴행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단백질 병원체이다. 정상 prion 단백질인 PrPC가 병원성 PrPSc로 바뀌는 과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PrPSc로의 단백질 구조 변화가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서 영향 받는 것으로 추측된다. 바다조류로부터 분리된 MAAs는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에서 조류를 보호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 기초하여 mycosporineglycine, porphyra-334와 shinorine 3종의 MAAs로 처리한 prion 감염 신경세포 주에서 prion 단백질 축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PK 저항성을 갖는 PrPSc를 western blot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MAA에 의해서 PrPSc 단백질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USGA 지반구조에서 한지형 잔디의 여름 고온기 적응력, 색상 및 연중 녹색 유지기간 비교 (Comparison of Summer Turf Performance, Color, and Green Color Retention among Cool-Season Grasses Grown under USGA Soil System)

  • 김경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83-93
    • /
    • 2005
  •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urf performance under USGA soil system. USGA system 45 centimeters deep was built with rootzone layer, intermediate layer, and drainage layer. Six turfgrass entries were comprised of 3 blends and 3 mixtures from cool-season grasses (CSG). Turfgrass color and quality ratings were best in spring and fall, especially early May to early July and late August to early November. Kentucky bluegrass (KB) consistently produced the greatest performance, while perennial ryegrass (PR) the poorest. Intermediate turf performance between KB and PR was observed with tall fescue (TF). Among CSG mixtures it increased with KB but decreased with PR.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summer turf Performance. No summer drought injury was found in KB and TF. However, PR showed poor performance through summer as compared with others. Among mixtures, it decreased with PR. It was suggested that PR mix in less than $20\%$ in the mixtures to have an acceptable quality in summer. Cultural intensity also affected it. With lowering mowing height, KB of rhizomatous-type in growth habit kept good quality, while PR and TF with bunch-type in growth habit poor quality. Mowing quality was greatly different among CSG. KB produced clean-cut surface, but PR unclean one. If had an intermediate mowing quality between KB and PR. A great difference in green color retention was observed among CSG. The longest CSG was PR that kept green for 339 days, while the shortest one TF for 267 days. KB continued to keep green for 290 days. The mixtures kept green in color for 292 to 315 days, depending on turfgrass mixing intensity. The greater the PR in content, the longer the green color dur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B was the best and PR the worst among CSG grown in USGA system under a domestic climate, in regards of turf quality, color, mowing quality, summer turf performance and green color duration. KB and TF are most adequate for high-maintenance and low-maintenance area, respectively. In case of mixtures for high-quality turf, it was desirable to use KB-based mixture with PR of below $20\%$ in seeding rate.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 2차 사용자 스펙트럼 접근이 가능한 협력통신 기법 (Enable Secondary User Spectrum Access in Cooperative Communication Scheme with Rayleigh Fading Channel)

  • 김렴;공형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3-1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한 쌍의 1차 사용자 송 수신단(PT-PR)과 한 쌍의 2차 사용자 송 수신단(ST-SR)을 가지는 무선 인지 통신 시스템을 고려한다. 첫 번째 시간 슬롯(1 Phase)에서 1차 사용자 송신단(Primary Transmitter : PT)은 1차 사용자 수신단(Primary Receiver : PR), 2차 사용자 송신단(Secondary Transmitter : ST) 및 2차 사용자 수신단(Secondary Receiver : SR)에 자신의 신호 $x_p$를 브로드캐스트하며, 각각의 수신단(PR, ST, SR)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복호한다. 두 번째 시간 슬롯(2 Phase)에서 ST는 수신 후 복호한 ${x_p}^{\prime}$와 자신이 전송하고자하는 신호 $x_s$를 결합하여 PR과 SR에 브로드캐스트하고, 각 수신단(PR, SR)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복호한다. 이 때 PR은 첫 번째 시간 슬롯에 수신한 $x_p$와 두 번째 시간 슬롯에 수신한 $x_p+x_s$ 신호 중 $x_p$를 검출하여 최대 비 결합(Maximal Ratio Combining) 기법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 때 PR에서는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SR은 첫 번째 시간 슬롯에 수신한 $x_p$와 두 번째 시간 슬롯에 수신한 $x_p+x_s$신호를 가지고 선형결합을 통해 $x_s$를 얻는다.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VD Precursors I-Synthesis and Properties of New Titanium β-Diketonates

  • 홍성택;임종태;이중철;Ming Xue;이익모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7호
    • /
    • pp.637-642
    • /
    • 1996
  •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tential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ecursors for the TiO2, a major component of the perovskite materials such as PT, PLT, PZT, and PLZT were investigated. Reactions between β-diketones and TiMe3, formed in situ failed to produce stable Ti(β-diketonate)3 complexes but a stable purple solid, characterized as (OTi(BPP)2)2 (BPP=1,3-biphenyl-1,3-propanedione) was obtained when BPP was used. Several new Ti(Oi-Pr)2(β-diketonate)2 complexes with aromatic or ring substituents were synthesized by the substitution reaction of Ti(OiPr)4by β-diketones and characterized with 1H NMR, IR, ICP, and TGA. Solid complexes such as Ti(Oi-Pr)2(BAC)2 (BAC=1.-phenyl-2,4-pentanedione), Ti(Oi-Pr)2(BPP)2, Ti(Oi-Pr)2(1-HAN)2 (1-HAN=2-hydroxy-1-acetonaphthone), Ti(Oi-Pr)2(2-HAN)2 (2-HAN=1-hydroxy-2-acetonaphthone), Ti(Oi-Pr)2(ACCP)2 (ACCP=2-acetylcyclopentanone), and Ti(Oi-Pr)2(HBP)2 (HBP=2-hydroxybenzophenone) were found to be stable toward moisture and air. Ti(Oi-Pr)2(ACCP)2 and Ti(Oi-Pr)2(HBP)2 were proved to have lower melting points and higher decomposition temperatures. However, these complexes are thermally stable and pyrolysis under an inert atmosphere resulted in incomplete decomposition. Ti(Oi-Pr)2(DPM)2 (DPM=dipivaloylmethane) and Ti(Oi-Pr)2(HFAA)2 (HFAA=hexafluoroacetylacetone) were sublimed substantially dur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mechanism of these complexes are dependent on type of β-diketone but removal of Oi-Pr ligands occurs before the decomposition of β-diketonate lig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