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wer-LED

Search Result 1,59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 정책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Multi-Func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김진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1호
    • /
    • pp.125-14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인프라 구축이 미약한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정책의 형성과정을 살펴 민간 사회복지 전달체계 구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Kingdon의 모형을 근간으로 하고 Mucciaroni 모형에서의 제도적 맥락과 이슈맥락 개념을 차용하여 재구성한 '수정된 정책흐름모형'으로 조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정책은 여대야소의 분위기에서 여당 출신 대통령의 집권 초기 강력한 리더십에 따라 정부 주도하에 법제화되는 등 제도적 맥락이 이슈 맥락을 주도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슈맥락이 압도당하는 모습에서 다기능화정책이 법제화된 이후 정부의 강력한 집행의지를 통해 확산되기 보다는 제도 마련 그 자체에 의의를 두고 지방자치단체가 필요에 따라 다기능화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법으로 열어두는데 그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어촌지역에서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다기능화정책의 상대적 유용성과 그 논거를 탐색할 때 주요한 맥락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

The Next Wave in Display Innovation

  • Webster, Steven C.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4-4
    • /
    • 2008
  • The progress in flat panel displays over the last two decades has been astonishing. In just 20 years, the LCD-TV grew up from a 2-inch curiosity, to an industry that will sell about 120 million flat panel TV's this year, with viewing area up to 4000 times larger. That success is based on continuous innovation, especially in manufacturing processes. For the next decade to bring another doubling of the business, progress will need to continue in four major areas: Human factors, ecological impact, visual quality, and of course continued drive towards affordability. This talk will detail the technology advances that can allow this industry to meet those challenges. Human factors. Today, we adapt our lifestyle to our technology. People organize their offices, and their homes, around displays. We pass around mobile phones to share images, rather than experiencing them as a group. Billions of newspapers continue to be sold daily. Advances in flexible displays can lead to large portable displays. "New era projection" includes the handheld Pico Projectors that are already on the market, and will ultimately appear integrated in mobile phones the same way cameras do today. "Eco" impact. Today TV's are one of the top energy consumers in a U.S. home, and the fastest growing. Watching a large flat panel TV can cost twice as much as running a large refrigerator. With today's concern about energy consumption, regulations are starting to emerge worldwide to limit TV electrical use. Fortunately, good solutions exist in using light management films to eliminate bulbs, saving power without increasing cost. Going forward, LED backlights will drive another step downward. OLED displays might be the ultimate solution. Visual quality. The color of an LCD-TV is still often considered inferior to a far less expensive CRT. And almost all displays suffer from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world on a two dimensional surface. The technology to improve color is available today, and will likely move from premium sets into the mainstream as costs come down. 3D is now arriving in movie theaters worldwide, and that will drive up the demand for similar realistic images in home theaters. And the technology is emerging today for 3D representation to move beyond specialized applications into everyday use, on screens large and small. Affordability. The world takes cost-down miracles for granted in consumer electronics. Each of these other advances will be balanced with a drive for affordability, especially as the market grows in emerging countries. The other three challenges must be met without increasing cost. Putting this all together, the next few years will emphasize "eco friendly" designs, and enhanced images such as 3D. By 2013 we will start to see serious penetration by emissive technologies (OLED, high efficiency plasma, or other), with the "ultimate display" likely not in the market for a decade. Lots of opportunities for innovation remain ahead of us.

  • PDF

모시대 분말 첨가 수준에 따른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 최윤희;배송환;박정우;조남지;한명륜;김영호;윤성준;김명환;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36-74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yellow layer cake by adding the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The effects of the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in on the final product quality of yellow layer cake and the optimum amount of the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in the yellow layer cake formula were investigated. The more increased amounts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as added to the samples, the resulted in "L", and Hunter's "a" and "b" values of the crust color of yellow layer cak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the case of crumb color, the more increased levels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led to the samples, the "L" and "a"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ut "b"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more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as added to the cake samples,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ut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did not.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2%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of overall acceptability were most preferred. Larg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e presence of numbers of greater concentrations of cells with different sizes were observed for in samples from products that received 1 %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addition. Collapsed cells and cell coalescence with big large and irregular shapes were shown observed in samples that were amended with at 2, 4, and 8% addition Adenophora remotiflora power. The addition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as shown to improved the functiona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taste and flavor of yellow layer cake.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2% addition of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ill improve the preference to the yellow layer cake.

  • PDF

치과기공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Transfer of Dental Technicians)

  • 권은자;배상목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3-185
    • /
    • 2003
  • This study mainly intends to determine the factors for which dental technician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how much the resulting job transfer rate is and thu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For these purpose, 200 subjects were sampled out of dental technicians in Seoul and Incheon,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July 19, 2002 to August 15 (for 25 days)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ut of all collected questionnaires, 131 pieces(65.5%) were addressed for this study. As for the tools for this stud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ith its proven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d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consisted of 32 questions on the basis of related references.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were categorized into 3 sections: General attribute of subjects; Factors for which dental technician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their intention of job transfer.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tal 32 questions which included general attribute of subjects(10 questions), factors of their satisfaction with jobs(17 questions) and intention of job transfer(5 questions). The data analysis was processed by computerized system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ose analyses,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for which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and job title out of question items(P<0.001). It was also shown that the factors of subjects' satisfaction averaged 3.43, which was considerably higher value than I expected. It was found that job and management factors were major job satisfaction factors.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ntion of subjects to decide their job transf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title and marital status out of question items(P<0.001). It was shown that the total average of the intention of their job transfer amounted to 3.06. It was shown that dental technicians have relatively higher intention of job transfer from their current work place. 3.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and their intention of job transfer(r=-0.490, P<0.05). Likewise,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inverse correlation mostly between the evaluation value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region in term of each factor of job satisfaction and the value for the intention of job transfer. In view of these correlations, it was concluded that higher job satisfaction likely led to lower job transfer. 4.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o as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on the intention of job transfer, it was found that the highest influential factor was management factor. And it was shown that the test values of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s explanatory power amounted to 54.6%.

  • PDF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 증발기의 스크레이퍼 회전수 최적화 및 냉매 유로 개선 (Optimization of the Scraper Speed and Improvement of the Refrigerant Path for the Evaporator of the Soft Ice Cream Machine)

  • 백승혁;김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8-14
    • /
    • 2017
  • 최근 들어 국민 식생활 문화가 개선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프트 아이스크림, 슬러시와 같은 일회용 냉동 유제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 냉동 유제품은 소형 냉동 시스템에서 만들어진다.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경우 냉각기는 동심 원통으로 구성되며 냉매는 환형부에서 증발하고 냉각기 표면에 형성된 얼음 결정이 내측에서 회전하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빙삭되어 아이스크림이 만들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냉각기 체적 2.8 리터인 R-404A를 사용하는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에 대하여 최적화와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최적화는 냉각기 스크레이퍼 회전수 및 냉매 유로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실제 아이스크림 제조기에서 요소 부위의 온도와 압력 그리고 소비동력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최적 회전수는 124 rpm으로 나타났다. 이 회전수에서 아이스크림 제조 시간은 6분 2초이고 이 때 성적계수는 0.90이었다. 또한 물-공기를 사용한 가시화 실험을 통하여 냉매측 유로 개선을 시도하였다. 유로가 개선된 제품은 아이스크림 제조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는 냉동식품 제조기를 비롯한 여타 냉동 사이클의 최적화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수도권/비수도권 지역격차 변화의 조절이론적 해석 (A Regulationist Interpretation on the Changes of the Regional Inequality between Seoul Metropolitan Area(SMA) and Non-SMA after 1981)

  • 서민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1-62
    • /
    • 2007
  • 본 논문은 수도권 집중, 다른 말로 수도권/비수도권 격차의 정도 변화를 제도-정치적 차원의 변인으로부터 해명하고자 하였다. 제도와 그 이면의 사회 내 제 세력 분포의 변화를 지역격차의 변이와 연관짓기 위하여 조절이론의 접근방법을 취하였다. 1980년대는 권위주의 정부 특유의 중앙집권적 권력을 통해, 강력한 조항의 수도권 과밀규제 제도를 갖추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집행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당시 국가기구의 구조적 선택의 결과로서, 수도권 집중을 완화시키지 못했다. 민주화 과정을 통해 지역이 자신의 발언권을 갖게 되자, 국가기구는 자본의 이해와 지역의 이해를 조정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고, 이는 구체적인 수도권 과밀규제 및 지방 성장 정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980년대 말에서 외환위기 이전까지 수도권 집중은 뚜렷이 완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의 등장에 힘입은 공간적 조절양식의 변화로 해석되었다. 외환위기는 자본의 역량을 강화시켰고, 국가기구는 자본의 요구에 보다 민감하게 되었다. 자본의 지속적인 수도권 과밀규제 완화 주장을 통해, 수도권 규제는 완화되었고 그 만큼 수도권과 비수도 권간의 격차는 다시 확대되었다.

신규 복합 미디어 기업의 부상과 제작자 엑서더스: 종합편성채널 승인 이후 방송제작 부문의 창의성 재배치 동학 (Emerging Media Conglomerates and Producers' Exodus: The Dynamics of Creativity Relocations in the South Korean Broadcasting Production Sector after the Introduction of New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 정준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6권
    • /
    • pp.28-58
    • /
    • 2014
  • 2010년 말의 종편 승인 결정에서 현재 시점에 이르기까지 한국 방송산업은 상당 수준의 구조적 변동을 겪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모습 하나는 단단한 수직결합 체계를 통해 국내 방송영상산업에서 강력한 콘텐츠 지배력을 유지해오던 지상파 제작 단위로부터 핵심 인력이 대규모로 유출되고 있는 현상일 것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제작자 엑서더스 현상의 배후로서, 상업적 거대 미디어기업을 통해 방송부문에서 시장논리를 확대하려는 목적의식적 제도설계의 존재를 지목하고, 이와 같은 외부 요인이 방송산업 내부의 다양한 요인들과 맞물려 어떠한 양상을 빚어내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 결과, 지상파 잔류보다는 이탈이 개인적 사회적 보상 차원에서 더 다양하고 더 큰 긍정유인을 제공한다고 본 제작자들 나름의 합리적 선택을 매개로 현재와 같은 대규모 이탈이 발생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복합 미디어 기업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창의성 재배치 과정이, 장기적으로 제작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가능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귀결될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의 제도적 설계에 내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

  • PDF

문화적 실천으로서 사회운동의 변화: 두리반 운동을 중심으로 (New Social Movement in the Form of Cultural Practices: A Case Study of Dooriban Movement)

  • 옥은실;김영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3권
    • /
    • pp.53-75
    • /
    • 2013
  • 한국 사회운동에 관련한 논의는 주로 1980년대 정치변동이 일어나며 대립되는 양 진영 간의 갈등이 발생하는 지점으로부터 시작한다. 1961년부터 26년 간 지속된 군부 통치 체제에 반대했던 세력을 중심으로 1987년 6월 항쟁이 발생한 이후, 한국 사회운동에서는 줄곧 민주화 운동과 맞물린 문제제기가 이뤄져 왔다. 이와 더불어 산업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며 나타난 노동자의 인권문제 또한 사회운동 영역의 중요한 화두였다. 그러나 민주화, 산업화 등의 다양한 사회 변동으로 사회운동의 주제 또한 복잡해지고 다원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서구 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여성인권운동 및 환경운동을 포함해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띤 이주자, 농어촌, 외국인 노동자, 재개발 문제 등으로 한국 사회운동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두리반 운동 또한 다양한 사회운동의 한 갈래에 포함된다. 강제 철거에 저항했던 이 운동은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운동 참여자인 각 주체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운동을 주도하는 새로운 사회운동 방식을 제시하는 단초 역할을 했다. 두리반 운동은 사회운동을 통한 문화생산이 가능하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 운동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의미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기존 사회운동 연구에서는 운동의 주제에 치중한 나머지 운동 참여자의 역할을 면밀히 다루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이 연구의 목적은 두리반 운동 참여자들의 사회운동으로서 문화적 실천 행위를 분석해 그 사회 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리반 운동 당시 행해진 문화행사들의 주최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는 한편, 연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해 참여 관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운동 중 나타났던 문화적 실천들이 갖고 있는 의미와 이를 통해 지향하고자 했던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조선후기의 기녀 복식이 사회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Clothings of Kisaengs in the later Choson)

  • 김혜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89-321
    • /
    • 1996
  • 조선 후기는 임진.병자 양난을 계기로 사회전반에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근대 사회로의 전환기를 맞는다. 즉 전쟁으로 인한 국가제도의 문란과 혼란해진 사회구조 속에서 신분제도가 해이해졌고, 상업경제체제와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부유한 중인 계층이 대두되었고, 사상적으로는 유교가 공리공론에 빠지면서 유교윤리의 약화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실치중 의식을 보이는 실학사상이 등장 하였다. 또한 서민문예의 대두로 서민의식을 가진 서민계층(서민의식을 가진 양반계층 포함)이 등장하게 되었다.이 서민 계층의 등장은 복식에 있어서의 대중복식문화를 부각시키면서 유행현상이 출현되었다. 그리고 대중은 이 전환기 사회에서 변화된 그들의 역할과 가치관은 이제 더 이상 지배층에게서 영향력 행사할 충분한 권력이나 매력을 찾지 못했다. 따라서 이들은 새로운 상징적 선도자(Symbolic leaders) 즉, 모범을 보여주는 새로운 대상을 찾았고, 그들의 상징적 선도자는 바로 '자유분방하고, 사회활동을 하는 독립된 여성, 그리고 시와 가무를 즐기는 풍류가이고 또한 신체적으로 매력을 지닌 멋장이인' 기녀들 이었다. 선도자 그룹인 기녀계층에 의해 제시된 새로운 Fashion과 Style인 Erotic Mode와 사치 Mode는 그 시대 사조를 반영하면서 대중이 의식과 기호에 크게 맞아 떨어지자 큰 호응을 얻고 수용되었다. 즉 이들대중은 선도자 그룹을 모방 함으로써 그들과 자신들의 동일시를 성취하고 선도자의 Prestige를 나누어 가지고자 했던 것이다.이러한 이유로 해서 기녀들은 하류계층임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 시대의 "패션의식적인"사회집단으로서 대중으로부터 주목받고 대중의 기호를 장악하며, 그들의 복식행동은 대중으로부터 강한 수용을 받게 되면서 대중의 의복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유행선도자(Fashion leader)였음을 보게 된다.

  • PDF

대형 립 폴리머 광도파로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두 파장 레이저 (Two-Wavelength Lasers Based on Oversized Rib Polymer Waveguide Bragg Reflectors)

  • 성치훈;김준휘;신진수;오민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43
    • /
    • 2014
  • 두 파장 레이저를 구현하기 위해서 폴리머 광도파로 브래그 격자와 초발광 LED로 구성된 외부 공진 구조의 레이저를 제작하였다. 대형 립(oversized rib) 구조의 광도파로와 폴리머 광도파로 브래그 격자는 각각 유효굴절률법과 전송행렬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서로 다른 격자 주기를 가지는 폴리머 광도파로 브래그 격자는 이중 노광 레이저 간섭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브래그 격자의 반사율 변화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의 특성을 보기 위해 2 mm의 고정된 길이를 가지며 537 nm의 주기를 갖는 브래그 격자와 0.5 mm에서 6 mm까지 여러 가지 길이를 가지며 540 nm의 주기를 갖는 브래그 격자를 제작하였다. 격자 주기가 537 nm와 540 nm인 브래그 격자의 길이가 각각 2 mm와 2.2 mm일 때 제작된 두 파장 레이저는 1554 nm 파장과 1564 nm 파장에서 0 dBm에 가까운 출력 파워를 보이며, 45 dB이상의 SMSR(side mode suppression ratio)와 0.2 nm의 20-dB 대역폭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