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Clothings of Kisaengs in the later Choson

조선후기의 기녀 복식이 사회에 미친 영향

  • 김혜영 (배재대학교 자연과학대 의상학과)
  • Published : 1996.02.28

Abstract

After the two big wars (Imjin Woeran and Byungia Horan), the Lee Dynasty confronted rapid transitional periods in almost all aspects of the society. Corruption of the governmental system by the wars and disordered social structures also caused confusion in the social position system. In addition, development of the commercial economic system and monetary economy brought up a new rich middle-class, "Joong in Gyegeup". In ideological aspects, Confucianism indulged in and stick to isms and ics, and the Confucian morality slackened, thus a more pragmatic ideology, "Silhak Sasang", developed. And the emergence of the modern literature and art of the 'common people' was followed by the appearance of the common-people class including those having the common-people concept among the noble-class "Yangban Gyegeup". This evoked a new common costume culture and the fashion appeared. The public could no longer find the power and appeal from the preexisting ruling classes due to the changed role and sense of value. Thus, they sought a new symbolic leader group that would to be the new standard of the newly changed society. That was a group of people called as "Kisaeng" liberal and independent. They were performing social activities, enjoying poetry, music and dancing, and classy dressers, having physically attractive bodies. The erotic as well as luxurious mode proposed by them reflected the trend of that time. It concurred well with the concept and taste of the public, so it was accepted with a good response. That is, by following these leaders, the public achieved their identification and tried to share the prestige of the leaders. For this reason, the Kisaeng group attracted the public attention and led the taste of the public, thereby becoming the influential fashion leaders of that age.

조선 후기는 임진.병자 양난을 계기로 사회전반에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근대 사회로의 전환기를 맞는다. 즉 전쟁으로 인한 국가제도의 문란과 혼란해진 사회구조 속에서 신분제도가 해이해졌고, 상업경제체제와 화폐경제의 발달로 인한 부유한 중인 계층이 대두되었고, 사상적으로는 유교가 공리공론에 빠지면서 유교윤리의 약화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실치중 의식을 보이는 실학사상이 등장 하였다. 또한 서민문예의 대두로 서민의식을 가진 서민계층(서민의식을 가진 양반계층 포함)이 등장하게 되었다.이 서민 계층의 등장은 복식에 있어서의 대중복식문화를 부각시키면서 유행현상이 출현되었다. 그리고 대중은 이 전환기 사회에서 변화된 그들의 역할과 가치관은 이제 더 이상 지배층에게서 영향력 행사할 충분한 권력이나 매력을 찾지 못했다. 따라서 이들은 새로운 상징적 선도자(Symbolic leaders) 즉, 모범을 보여주는 새로운 대상을 찾았고, 그들의 상징적 선도자는 바로 '자유분방하고, 사회활동을 하는 독립된 여성, 그리고 시와 가무를 즐기는 풍류가이고 또한 신체적으로 매력을 지닌 멋장이인' 기녀들 이었다. 선도자 그룹인 기녀계층에 의해 제시된 새로운 Fashion과 Style인 Erotic Mode와 사치 Mode는 그 시대 사조를 반영하면서 대중이 의식과 기호에 크게 맞아 떨어지자 큰 호응을 얻고 수용되었다. 즉 이들대중은 선도자 그룹을 모방 함으로써 그들과 자신들의 동일시를 성취하고 선도자의 Prestige를 나누어 가지고자 했던 것이다.이러한 이유로 해서 기녀들은 하류계층임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 시대의 "패션의식적인"사회집단으로서 대중으로부터 주목받고 대중의 기호를 장악하며, 그들의 복식행동은 대중으로부터 강한 수용을 받게 되면서 대중의 의복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유행선도자(Fashion leader)였음을 보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