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er-Bus

검색결과 1,397건 처리시간 0.024초

전력계통의 조류해석에서 STATCOM과 UPFC의 모선전압 제어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us Voltage Control Effect of STATCOM and UPFC in Power Flow Analysis of Power Systems)

  • 김덕영;국경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1-45
    • /
    • 2001
  • 본 논문은 전력계통의 조류해석시에 STATCOM과 UPEC의 모선전압 제어효과를 비교연구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전력계통의 종합해석용 소프트웨어인 PSS/E를 사용하였으며, PSS/E에서 아직 제공하지 않는 UPFC의 모선 전압에 대한 효과를 해석하기 위해, 선로에서의 유효·무효전력과 모선의 전압이 적절히 제어되고 있는 상황에서 UPFC룰 동기조상기와 부하로 등가하여 나타내었다. 이러한 UPEC의 병렬 인버터가 설치된 모선의 전압제어뿐만 아니라 직렬 인버터를 통하여 선로의 유효·무효전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력계통의 조류해석시에 STATCOM 보다 넓은 범위의 모선전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버스정류소 스마트폰 충전대에서 스마트폰의 분실 방지를 위한 LPWA 기반 버스 진입 알림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PWA based Bus Entry Notification Systems for Smartphone Loss Prevention at Bus Stop Charging Stand)

  • 장원창;이명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0-625
    • /
    • 2017
  • 최근 사람이 다수 붐비는 지역에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을 바로 충전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버스 출입과 관련된 정보의 연동이 불가능 하여 충전 중인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을 두고 버스에 승차하여 분실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PWA 기술과 BLE의 Advertising mode를 이용하여 버스가 접근 할 때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NLOS에서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수신 단말과 버스에 장착된 단말간 통신거리가 최대 640 m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약 2~3분 전에 버스의 도착 알람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Ble의 서비스 거리가 최대 87 m로 버스 정류장 인근에 있어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ower Flow Control of a Multi-bus/Three-feeder Distribution System Using Generalized Unified Power Quality Conditioner

  • Mohammed, B.S.;Ibrahim, R.;Perumal, N.;Rao, K.S. Rama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8-17
    • /
    • 2015
  • This paper analyses the power flow of a three-feeder/multi-bus distribution system by a custom Generalized Power Quality Conditioner (GUPQC). The GUPQC has been realized by three voltage source converters (VSCs) coupled back-to-back through a common DC-link capacitor on the DC-side. One feeder was controlled by the shunt compensator, whereas each of the other two feeders was controlled by the proposed novel series compensator. The GUPQC has the capability to simultaneously compensate voltage and current quality problems of a multi-bus/three-feeder distribution system. Besides that, the power can be transferred from one feeder to other feeders to compensate for poor power quality problems. Extensive simul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by using MATLAB/SIMULINK software to establish the ability of the GUPQC to improve power quality of the distribution systems under distorted supply voltage conditions.

Power Distribution and Coordinated Control for a Power Split Hybrid Electric Bus

  • Wang, Feng;Zhong, Hu;Ma, Zi-Lin;Mao, Xiao-Jian;Zhuo, Bi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권4호
    • /
    • pp.593-598
    • /
    • 2008
  • The power distribution is proposed to determine the target operating points of the system components as the basis for maximal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system for a power split dual electric machine hybrid electric bus. The coordinated control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power distribution. The basic coordinated control is implemented to satisfy the driver's power demand, in which both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and the dual electric machine are explicitly taken into account. Moreover, the improved coordinated control is suggested to suppress engine dynamic operation and rich fuel injection.

FACTS기기의 유효전력 제어특성을 고려한 모선간 송전용량 평가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BITC Evaluation considering the Power Control Characteristics of FACTS Devices)

  • 윤용범;추진부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8권2호
    • /
    • pp.113-118
    • /
    • 1999
  • In this, sensitivity based approach to estimate BITC(bilateral interchange transfer capacity) considering the real power flow control function of FACTS devices is presented. The real power flow setting of the FACTS devices is adjusted so that it transfers the power flow from the first violation point of transmission capacity to other transmission lines in the power system, thus allowing more power to be transferred from the specified generator bus to the specified load bus. The transfer between the two bus locations is increased from this new operating condition until a violation of transmission capacity limits occurs or until the setting of the FACTS devices can no longer be adjusted. The proposed algorithm is illustrated using examples of small and real life power system.

  • PDF

Enhancement of Power System Dynamic Stability by Designing a New Model of the Power System

  • Fereidouni, Alireza;Vahidi, Behrooz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379-389
    • /
    • 2014
  • Low frequency oscillations (LFOs) are load angle oscillations that have a frequency between 0.1-2.0 Hz. Power system stabilizers (PSSs) are very effective controllers in improvement of the damping of LFOs. PSSs are designed by linearized models of the power system. This paper presents a new model of the power system that has the advantages of the Single Machine Infinite Bus (SMIB) system and the multi machine power system. This model is named a single machine normal-bus (SMNB). The equations that describe the proposed model have been linearized and a lead PSS has been designed. Then, particle swarm optimization technique (PSO) is employed to search for optimum PSS parameters. To analysis performance of PSS that has been designed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 few tests have been implemented. The results show that designed PSS has an excellent capability in enhancing extremely the dynamic stability of power systems and also maintain coordination between PSSs.

MPSoC 인터커넥션을 위한 AXI 하이브리드 온-칩 버스구조 설계 (A Design of AXI hybrid on-chip Bus Architecture for the Interconnection of MPSoC)

  • 이경호;공진흥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8호
    • /
    • pp.33-4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AMBA 3.0 AXI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고성능 및 저전력이 요구되는 MPSoC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온-칩 버스구조를 설계하였다. AXI의 채널 중에서 트래픽이 많은 쓰기데이터 채널 및 읽기데이터 채널은 Crossbar 버스구조로 설계하여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MPSoC에서의 컴포넌트 추가에 따른 오버헤드(회로크기, 연결회선, 전력소모 등)를 줄이기 위해 트래픽이 적은 주소 채널과 쓰기 응답 채널은 Shared 버스구조로 공유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ybrid 버스구조의 검증을 위해 Shared 버스구조 및 Crossbar 버스구조와 함께 시간, 공간, 파워 영역에서 각각 비교 실험하였다. $16{\times}16$ 버스 실험에서 Hybrid 버스구조는 Crossbar 버스구조와 비교해서 마스터의 대기시간은 약 9%, 전체 실행시간은 약 4%의 차이에 그쳐 비슷한 성능을 보여준다. 반면 오버헤드에서는 Crossbar 버스구조와 비교하여 회로 크기는 47%, 연결 회선 수는 52%, 동적 전력 소모는 66%의 감소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하이브리드 온-칩 버스구조는 Crossbar 버스 구조와 비교하여 고성능 및 저전력이 요구되는 MPSoC 인터커넥션에 매우 효과적임을 보이고 있다.

위성 Solar Array Regulator 모듈화를 위한 새로운 전원단 설계

  • 박성우;박희성;장진백;장성수;이종인
    • 항공우주기술
    • /
    • 제3권2호
    • /
    • pp.11-19
    • /
    • 2004
  • 버스전압이 배터리 전압과 동일하며, 전력조절기(power regulator)의 스위칭 듀티 값(duty-ratio)이 위성탑재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제어방식의 비 조절형 버스 시스템(unregulated bus system)은 저궤도 위성에 흔히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제어방식의 비 조절형 버스 시스템의 전력조절기 모듈화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전원단 회로를 제안하며, 제안된 전원단의 모드별 동작 특성을 해석한다. 다음으로 컨버터 병렬동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듈간 전류 불균형(current unbalance)에 대한 제안된 전원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된 전원단을 적용한 병렬모듈 컨버터의 prototype을 제작하여 모듈별 전류 분배(current sharing) 특성을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검토한다.

  • PDF

FACTS적용계통에서의 송전용량 평가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Transfer Capability Evaluation in Power Systems with FACTS Device)

  • 윤용범;윤종수;추진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880-883
    • /
    • 1998
  • In this paper, sensitivity based approach to estimate BITC(bilateral interchange transfer capacity) considering the real power flow control function of FACTS device is presented. The real power flow setting of the FACTS device is adjusted so that it transfer the power flow from the first violation point of transmission capacity to other transmission lines in the power system, thus allowing more power to be transferred from the specified generator bus to the specified load bus. The transfer between the two bus locations is increased from this new operating condition until a violation of transmission capacity limits occurs or until the setting of the FACTS device can no longer be adjusted. The proposed algorithm is illustrated using examples of small and real life power system.

  • PDF

전력품질을 고려한 수용가 모선 가격 계산 (Customer Nodal Cost Calculation considering Power Quality)

  • 정성원;박인덕;김재현;이근준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2-87
    • /
    • 2007
  • 본 논문은 수용가에 대한 전력요금이 각 모선별로 부과될 경우 모선들의 전력품질을 측정하여 이를 비용화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계통계획에 반영하여 예상되는 비용은 샘플계통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계산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모선가격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계통에서 전력설비의 운전조건은 최적조류계산에 의해 최적화되어 있는 상황으로 가정하여 모선가격[$/MVAH]을 산정하고, 계통의 각 모선에 연결된 부하들의 연중 발생하는 고장에 의해 탈락되는 피해비용을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전력품질을 포함한 모선 총합 비용을 계산시 매우 효과적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