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verty

검색결과 899건 처리시간 0.028초

아동 빈곤 (Child Poverty)

  • 이완정;권혜진;양성은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37-347
    • /
    • 2009
  • Since 1990, South Korean children living in relative poverty have increased whereas those living in absolute poverty have decreased until 2002 and then the decrease remained somewhat stagnant.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proposed a strong relations between child poverty and low quality well-being of the child. Poor children, in comparison to those of more affluent families, are more likely to have health, behavioral,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grow up in families that provide less cognitive stimulations which, in turn, can negatively affect their cognitive and academic attainments. The present paper highlights the trends and the consequences of child poverty and suggests policy approaches based on the premise of decreasing poverty of low-incom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 PDF

농촌노인가구의 빈곤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 빈곤율과 빈곤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overty Characteristics of Rural Elderly Households)

  • 김영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31-53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서 제공하는 1차년도조사데이터(2006)를 사용하여 농촌노인가구에 대하여 최저생계비를 기초로 한 절대적 빈곤율, 상대적 빈곤율, 주관적 빈곤율과 빈곤감의 지표로 주관적 경제수준 및 생활만족수준을 농촌비노인가구, 도시노인가구, 전체가구와 비교함으로써 농촌노인가구의 빈곤특성을 파악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농촌노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빈곤율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많을수록,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일수록, 노인단독세대일수록 더 높은 빈곤율을 보이고 있다. 둘째, 절대적 빈곤율과 상대적 빈곤율에서는 농촌노인가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빈곤율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주관적 빈곤율에서는 도시노인가구와 전체가구가 더 높은 빈곤율을 보이고 있다. 셋째, 주관적 경제수준 및 생활만족수준에서는 도시노인가구가 농촌노인가구에 비하여 더 높은 빈곤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빈곤수준은 농촌노인가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현저히 높은 반면, 주관적인 빈곤감은 다소 낮은 빈곤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 (Women and Poverty in Korea: the Feminization of Poverty?)

  • 석재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167-1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빈곤의 여성화 현상과 빈곤의 성적 격차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16.9%로 남성가구주 가구 7.9%의 2.6배였으며, 특히 20-64세 연령계층의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위험이 남성가구주 가구에 비해 2.2배 높았고, 65세 이상 가구의 경우에도 빈곤위험이 1.9배였다. 경제위기를 전후한 빈곤의 성적격차의 역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제위기 절정기에는 양성간에 빈곤의 보편화 현상을 보였으나, 남성가구주 가구가 경제위기에서 비교적 빠른 회복을 보이는 반면,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경제위기 이전의 2/3 수준으로만 회복되며 빈곤 고착화 현상을 보여, 경제위기의 회복과정에서 성적 격차가 확대되었다. 또한, 빈곤의 영향요인 분석 결과, 성 자체 뿐만 아니라 성의 특성을 사회적으로 규정하는 교육수준, 취업상태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빈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노동시장, 사회보장체계 등의 중층적 결절점에 성(gender)이 놓여져 있기 때문에, 성의 차원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빈곤문제의 본질에 제대로 접근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빈곤문제에 대한 효과적 접근을 위해서는 성적 차원을 고려한 여성친화적(women-friendly) 가족, 노동시장, 사회보장정책이 개발되고 채택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 PDF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 분석 : 기초생활보장제도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Public and Private Income Transfers; After the Enactm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 홍경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0권
    • /
    • pp.61-85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으로 대표되는 최근의 국가복지제도 변화가 사회성원들의 복지욕구에 대한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효과를 어떤 식으로 변모시켰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전 소득의 원천을 기준으로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을 구분하고, 각각의 빈곤 감소 효과를 분석하는 접근 방식을 택한다. 즉,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시행을 반영하고 있는 2001년도 도시가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소득의 이전을 개인 간 혹은 가족 간에 이루어지는 사적 이전과 사회보장정책을 통해 이루어지는 공적 이전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빈곤 감소 효과를 효과성과 효율성 지표를 활용하여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가지의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사적 이전이 공적 이전보다 더 큰 빈곤 감소 효과를 가지지만, 그 격차는 상당히 완화되었다. 둘째, 사적 이전과 공적 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는 가구 유형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공적 이전의 확대 혹은 사적 이전의 축소가 이러한 분석결과를 가져왔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도입으로 대표되는 공적 이전의 확대가 더 큰 영양을 미쳤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한편, 가구유형에 따라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난다는 분석결과는 빈곤정책의 수립에 있어 빈곤계층의 다양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것일 뿐 아니라, 사적 이전으로 대표되는 연복지의 제공논리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Overcoming Poverty and Social Inequality in Third World Countries (Latin America, Africa)

  • Drobotya, Yana;Baldzhy, Maryna;Pecheniuk, Alla;Savelchuk, Iryna;Hryhorenko, Dmytro;Kulinich, Tet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295-303
    • /
    • 2021
  •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ssue of poverty is one of the most acute social problems of the beginning of the third millennium. The phenomenon of poverty is widespread in third world countries as well as it is observed in relatively developed countries. Poverty rates in Latin America are threatening. Consequently, the issue of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y in these countries has become extremely acut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 identify the causes of poverty and social inequality and substantiate the main directions of poverty reduction in third world countries. The research methods: comparative analysis; index method; systematization; grouping; generalization. Results. The classification of the causes of poverty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directions of its overcoming in the countries of Latin America on groups of indicators have been defined, namely: 1) political; 2) economic; 3) demographic; 4) regional-geographical; 5) social; 6) qualification; 7) personal. Based on the Net Domestic Product indicator, a comparison of economic indicators of the studied countries has been carried out. It has been revealed that from 1990 to 2018 income inequality increased in 52 of 119 countries studied, and decreased in 57 states. Inequality has increased in the world's most populous countries, particularly China and India. In general, countries with growing inequality are home to more than two-thirds (71%) of the world's population. Trends in the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world have been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Gini index, the high level of which is observed in Latin America (Colombia 48,9%, Panama 46,1%, Chile and Mexico 45,9%). The forecast of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is issue has been outlined; the ways of its impact on the economies of the countries have been stud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directions and mechanisms of the strategy for poverty reduction and social inequality in the third world countries have been identifi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verty reduction strategy presented in this academic paper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opulation of Latin American countries.

노년기 빈곤궤적과 우울궤적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Trajectories)

  • 김명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3호
    • /
    • pp.617-635
    • /
    • 2017
  • 본 연구는 노년기 빈곤과 우울의 종단적 변화궤적을 확인하고, 장기간의 두 변화 유형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파악하여 노년기의 빈곤과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부터 9차년도(2014)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베이비부머 세대를 포함한 예비노인 세대부터 후기 노인 세대까지의 4,431명을 대상으로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과 이중변화형태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빈곤 변화궤적은 '비빈곤형', '빈곤감소형', '빈곤증가형', '빈곤 고수준 지속형', '만성빈곤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우울의 변화궤적은 '안정형', '우울 저수준 유지형', '우울 위험 경계형', '우울 고수준 유지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빈곤과 우울의 장기적 변화상태를 동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빈곤과 우울의 만성화 및 위험이 높은 집단에서 빈곤과 우울의 복합적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빈곤과 우울의 종단적 연관성을 밝히고, 노년기 빈곤과 우울 예방 및 개입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overty-Exi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 심진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31-50
    • /
    • 2015
  •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의 양상과 빈곤탈출 요인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장애인고용패널조사(1~6차년도)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율은 전체 근로빈곤율의 약 3배 정도 높은 수준이며, 장애인 근로빈곤층의 규모는 전체 장애인 빈곤층의 평균 21.4%를 차지해 근로빈곤은 장애인 빈곤의 주요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인구의 단기간의 빈곤탈출확률은 60%를 넘어서는데 비해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는 54.6%에 그쳐 빈곤탈피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요인은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의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나, 취업은 반드시 빈곤의 탈출로 귀결되지 않으며, 근로시간, 종사상 지위 등의 취업의 질이 빈곤탈출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인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장애인의 고용지속성 확보와 더 나은 일자리로의 상향이동 촉진, 장애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 그리고 사회안전망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빈곤과 실업의 원인과 복지정책의 효과 (Interdependence of Poverty and Unemployment and the Welfare Policy Effectiveness)

  • 안종범;김철희;전승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1호
    • /
    • pp.75-95
    • /
    • 2002
  • 본 연구는 빈곤과 실업의 결정요인과 상호관계를 살펴보고, 복지정책의 효과를 분석해 본다. 특히, 빈곤가구와 가구주의 특성,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 변화 및 이들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해 본다. probit 모형과 bivariate probit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빈곤의 주된 원인으로 실업이 작용했고, 가구월수, 가구주의 연령 및 저학력 등도 원인으로 작용했음이 밝혀졌다. 사회보험 수급 등을 포함하는 복지정책은 이러한 실업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역할하고 있음이 추정 결과 나타났다.

  • PDF

빈곤 가정 학령기 아동의 건강실태분석 (An Analysis Survey on Physical Development and Health Status of Elementary Children in Poverty in Incheon Area)

  • 조경미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7-159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health status of elementary children in poverty. Method: 306 children in poverty registered in 3 regional children centers located in Incheon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hysical status of students all over the country in 2008. Result: The children in poverty were relatively poor in the growth state such as height and weight, compared with those in non-disadvantage family children. In eyesight to be corrected, the children in poverty reached 26%. As a result of a blood laboratory test, the children with high T-cholesterol reached 5.84%; high SGOT/GPT 6.3%. In anemia, 41.4% of boys in poverty were suffering from it, compared to 7.5% of girls. In Internet addiction, children in poverty showed lower value than those in non-disadvantage children, but there are correlated between CDI and internet addiction test. Conclusions: These results implies the children in poverty have more physical and emotional problems, so they are in danger of related to health. These matters mean that the management by professional health care should be provided, and the plan and policy for promoting health for the children in vulnerable group should be established and provided.

  • PDF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 이행 :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Poor and Poverty Transition in Korea : Since the Recent Economic Crisis)

  • 구인회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8권
    • /
    • pp.82-112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s of poverty in Korea since the 1997 Economic Crisis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or by the types of families. While the poor largely consisted of disadvantaged groups, such as the aged, the disabled, or the female-headed families before the Crisis, families headed by working-aged and non-disabled adults have represented a larger portion of the entire poor since the Crisis. The higher overall poverty rate in 1998 mainly resulted from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unemployed and the high poverty rate of their families. In 1999, the larger number of the unemployed poor exited from poverty by getting a job in the labor market,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in the overall poverty rate. The significant number of families headed by working adults were poor in 1998, and the size of these working poor was not reduced in 1999. The poverty among this group has been caused by lowered wage rates and deteriorating job securit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anti-poverty policies in Korea be improved to provide better income and employment assistance to the non-working poor and, more importantly, be extended to effectively reduce poverty among the working low-income famil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