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manur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1초

Management of Excretion of Phosphorus, Nitrogen and Pharmacological Level Mineral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Animal Production - Review -

  • Paik, 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3호
    • /
    • pp.384-394
    • /
    • 2001
  • In order to prevent pollution from animal waste, P, N and pharmacological level minerals should be properly managed. Microbial phytase has been used successfully to control P excretion. Activity of natural phytase in certain plant feedstuffs is high enough to be considered in feed formulation. Nitrogen control can be achieved through amino acid supplementation and protein restriction in the diet. Supplementation with carbohydrases reduces output of excreta as well as N. Ammonia release from the manure could be reduced by using a low crude protein diet along with the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products. Excretion of minerals used at pharmacological level can be reduced by using chelated forms. Cu and Zn in the form of methionine chelate have been successfully used in the broiler and pig diets.

Degradation properties of phytin from soybean and rice bran by phytases produced from Aspergillus sp. 5990

  • J. S. Yang;H. J. Suh;H. S. Kang;T. S. Shin;D. S. Byun;Kim, H. R.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20-221
    • /
    • 2001
  • Phytic acid (myo-inositol 1,2,3,4,5,6-hexakisdihydrogen phosphate) is one of the major storage form of phosphorous in the seeds of plants, which are the principal components of feed stuffs. Monogastric animals like Pigs and poultry as well as fish lack phytase activities in their digestive system and most undigested phytic acid was excreted in their manure. (omitted)

  • PDF

발효계분비료시용이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추계생장양상에 미치는 영향 (Fall Performance of 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as affected by Bio -fertilizer Application)

  • 심재성;정원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7-83
    • /
    • 1990
  • The effect of bio-fertilizer, which was manufactured poultry manure, on the fall performance of Korean lawngrass was determined on a clay loam soil. Plant length wa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io-fertilizer applied. This trend was also true in dry matter yield of top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rom August 31 through October 30. Both tiller numbers and stolon length steadi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bio-fertilizer applied, and 40m/t application of bio-fertilizer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on both components. performance shown on November 5 was prominent for both green leaf and root weights when the increased amount of bio-fertilizer was applied. Korean lawngrass had three times as much green leaf weight with 40m/t application of bio-fertilizer as with other treatments. Several functions of increment of above- ground part components caused by increasing root weight,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bio-fertilizer application, was discussed. Turf quality was much improved by applying bio-fertilizer, indicating that this fertilizer might play an improtant role in respect of soil structure, water retention etc.

  • PDF

허브 '세이보리(Satureja hortensis)'의 생물학적 작용과 성분에 대한 고찰 (Biological Effects of Savory (Satureja hortensis) and a Consideration of Its Ingredients)

  • 신경순;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07-41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on long-term sexual effects of Savory (Satureja hortensis) by analyzing its zinc and V.B3 contents. These contents result in the activation of sexual functions induced by the blood concentration of sex hormones, thus improving menopauale symptoms. Results were obtained on August 20, 2020 after experimenting with 100 g of the herb from six indoor (green-house) experimental plots. The V.B3 results were analyzed using 100 g of Savory planted in open soil. Zinc had the highest values at 2.161 mg from the bed soil compounded with sapolite and poultry manure in the indoor condition and 2.077 mg from bed soil mixed with clay in the outdoor condition. The presence of V.B3 in Savory was also confirmed.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Savory and other herbs.

계분 바이오차를 이용한 토양 중금속 안정화 효율 평가 (Efficiency of Poultry Manure Biochar for Stabilization of Metals in Contaminated Soil)

  • 임정은;이상수;옥용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39-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오염토양 내 중금속 안정화 효율 평가를 위해 계분(PM), $300^{\circ}C$에서 생산한 바이오차(PBC300), $700^{\circ}C$에서 생산한 바이오차(PBC700)를 2.5, 5.0, 10.0 wt% 수준으로 토양에 처리하고 21일 간 항온배양하였다. 항온배양 후 토양의 pH는 PM 10.0 wt%, PBC300 10.0 wt%, PBC700 10 wt% 처리구에서 각각 7.51, 7.24, 7.88로 나타나 무처리구(pH 6.94)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PM, PBC300, PBC700 자체의 알칼리성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중금속의 TCLP 용출시험 결과 PM 처리구의 경우 용출되는 납(142-408% 증가), 카드뮴(39-77% 증가), 아연(20-24% 증가), 구리(241-955% 증가)의 농도가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는 PM 처리 시 급격하게 증가된 토양 내 DOC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PBC700 처리구의 경우 납, 카드뮴, 아연, 구리의 농도가 모두 감소하여 안정화되었으며, 무처리구 대비 감소율은 각각 7-23, 11-38, 11-52, 19-36%으로 나타났다. MINTEQ을 이용한 열역학 모델링 결과 PBC700 10.0 wt% 처리구에서는 납과 구리 화학종의 경우 수산화물인 $Pb(OH)_2$, $Cu(OH)_2$의 침전이 예상되었다. 특히, 납의 경우 매우 낮은 용해도를 보유한 chloropyromorphite [$Pb_5(PO_4)_3Cl$], hydroxypyromorphite [$Pb_5(PO_4)_3OH$] 등의 침전이 예상되었다. 이와 함께 SEM-elemental dot mapping을 이용한 원소분포 조사 결과, 다른 처리구와 달리 PBC700 처리구의 경우 납과 인의 분포부분이 중첩되어 두 원소간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종합할 때, PBC700 처리구의 납 용출 농도의 감소는 PBC700이 함유한 인과 오염토양에 존재하는 납이 매우 안정한 형태의 화학종인 chloropyromorphite, hydroxypyromorphite 등을 형성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퇴비제조시(堆肥製造時) Zeolite의 혼입효과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Zeolite Supplement on the Composition of Compost)

  • 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3-227
    • /
    • 1983
  • 볏짚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염기치환용량(鹽基置渙容量)이 큰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각종양분(各種養分)의 함량(含量) 및 퇴비성상(堆肥性狀)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줌으로써 무첨가(無添加)에 비(比)하여 부숙온도(腐熟溫度)가 현저(顯著)히 높게 유지(維持)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NH_4-N$, $P_2O_5$$SiO_2$ 함량(含量)은 Zeolite,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의 첨가(添加)로 증가(增加)되었으며 부숙(腐熟)이 진전(進展)됨에 따라 증가폭(增加幅)이 더 큰 것으로 보아 Zeolite의 양분류실효과(養分流失效果)과 있었던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3.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과 함께 Zeolite를 첨가(添加)하였을 때 퇴적후(堆積後) 30일(日)에 C/N율(率)이 21.7~25.0 이었고, Zeolite 무첨가시(無添加時)는 준적후(准積後) 60일(日)에야 C/N율(率)이 21.3~24.8로써 속성퇴비제조(速成堆肥製造)와 양분(養分)의 유실방지(流失防止)를 위(爲)한 Zeolite의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4. 퇴적후(堆積後) 90일(日)의 C/N율(率)과 용적감소율(容積減少率)과는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유기질 부산물 비료에서 추출한 부식산 중 아미노산 특성 (Amino Acids in Humic Acids Extracted from Organic By-product Fertilizers)

  • 양재의;김정제;신명교;박용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8-136
    • /
    • 1998
  • 토양의 질소 중 대부분은 유기태 질소이며, 아미노산은 유기태 질소의 주된 분획물이다. 부산물 비료는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해 주며 부식산은 유기물의 주된 구성성분이다. 아미노산은 분해되어 유효태 질소로 전환되기 때문에 토양비옥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연구에서는 제조원료가 상이한 11종류의 시관 부산물 비료로부터 부식산을 추출하고, 부식산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함량 및 분포를 조사했다. 공시재료로 사용한 부산물비료의 대부분은 비료공정규격을 충족시켰으나, 일부 비료는 유기물함량이 낮고, C/N비가 너무 높아 부숙되지 않은 채 판매되고 있었다. 수피비료의 경우 부숙이 진행될수록 부식산, 훌부산 함량, ${\Delta}KogK$값이 감소되었고, 부식산/훌부산 비, RF값은 증가되어 이론과 일치했다. 부식산의 형태는 Rp형태에서 B형태로 전환되었다. 부산물비료 부식산 중 총 아미노산 함량은 1.2~5.6%였고, 이중 중성 아미노산이 0.8~4.5%로 가장 높았다. 부엽토, 톱밥, 수피등 식물성원료로 제조한 부산물비료의 경우 중성>산성>염기성 아미노산의 순서였고, 계분, 돈분등 동물성원료로 제조한 부산물비료의 경우 중성>염기성>산성 아미노산의 순서였다. 부산물비료를 비교할 때, 총 아미노산 분포는 부엽토>톱밥>돈분>계분>니토 순(順), 산성아미노산은 수피>톱밥>부엽토>니토 순(順)이었다. 염기성 아미노산 분포는 산성 아미노산과 역순이었다. 중성아미노산은 부엽토>톱밥>수피>니토의 순이었다. 수피비료의 경우, 부숙이 진행될수록 산성 아미노산함량은 증가했으나. 염기성 및 중성아미노산 분포는 감소했다. 부산물비료의 원료 및 부숙정도에 따라 아미노산의 함량 및 분포는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계분퇴비와 천연무기질 자재를 활용한 고랭지배추 비가림 유기재배 시 시용질소의 이용률과 배추의 생육 (Growth of Korean Kimchi Cabbage and Nitrogen Availability of Fertilizer in Organic Farming with Poultry Manure Compost and Natural Mineral Materials in Highland Rainshelter Cultivation)

  • 김기덕;권영석;유동림;이종남;서종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8
    • /
    • 2013
  • 비가림하우스에서 고랭지배추 유기재배 시 시용량 및 토양비옥도에 따른 시용질소의 이용률과 배추의 수량성을 검토하였다. 무비구에서의 구중은 사양토 토양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비옥도가 낮은 사양토에 비해 비옥도가 높은 식양토에서 높았다. 시비량에 따른 구중의 변화는 비옥도가 높은 식양토에 비해 비옥도가 낮은 사양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질소이용률은 토양의 비옥도가 높고,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았다. 질소함량 1%의 사양토에서도 계분퇴비 2톤/10a과 표준시비량 수준의 천연무기질자재의 시용으로 질소함량 6%의 식양토의 약 90% 수준의 수량을 나타냈다. 질소, 인산, 및 칼리질 천연광물자원인 구아노, 인광석 및 황산가리고토 등은 친환경 자재로서 균형적 시비를 꾀하는 유기재배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계농가의 사육규모별, 지역별 계사 시설현황 분석 (Survey on Chicken Housing Types in Different Farm Scale and Region)

  • 최희철;감동환;나재천;방한태;유동조;서옥석;송준익;전병수;전중환;유용희;이상철;김정수;이동흥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9-198
    • /
    • 2009
  • 본 연구는 2007년 5월 1일을 기점으로 전국의 30,000 수 이상의 닭 사육농가 1,965호를 대상으로 계사 시설실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사의 평균 건축년도는 1996년 8월 이었으며 농가당 평균 계사면적은 $2,848.6m^2$로 건축대장 등재면적은 건축총면적의 52.1%이었다. 2. 계사 건축형태는 윈치커튼형 개방계사 47.7%, 간이계사 19.8%, 무창계사 19.0% 등으로 윈치커튼형 개방계사가 가장 많았으며 100,000 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의 49.2%는 무창계사로 시설하였다. 3. 급수기는 사육규모가 클수록 니플형 급수기를 사용하는 추세였으며 50,000 수 미만은 니플급수기가 33.2% 이었으나 100,000수 이상은 69.5%가 니플급수기를 이용하였다. 4. 급이기는 디스크식이 54.5%로 가장 많았으며, 100,000 수 이상 농가는 디스크식 46.5, 호퍼식 22.5, 체인식 24.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해서 디스크식과 체인식을 선호하였다. 5. 50,000 수 미만 농가의 케이지는 A 타입 케이지가 74.2%로 많았으나 100,000 수 이상 농가는 직립식이 69.4%로 더 많았다. 6. 계분을 계사에서 계사밖으로 수거하는 형태는 벨트형 71.5%, 스크레이퍼 29.4% 이었으며 집란은 자동집란 49.5%, 자동집 선란 25.9%로 집란만 자동화 된 농장이 더 많았다. 그러나 100,000 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 중 14.9%는 자동집 선란이후 포장까지 수행 하였다. 7. 지붕 재질은 보온덮개 28.0%. 판넬 19.0 %, 갈바륨 12.9% 등으로 아직도 보온덮개를 이용하는 계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100,000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는 판넬의 비율이 32.3%로 가장 높았다. 8. 단열재는 보온덮개가 35.3%로 스티로폼 14.0%, 우레탄 13.1%, 샌드위치패널 9.6% 보다 많았다. 9. 환기 방식은 윈치커튼을 이용한 자연환기 40.5%, 자연환기와 기계식 혼합 39.8%, 기계식 무창 20.7% 이었으나 100,000수 이상의 기업형 농가는 기계식환기를 하는 무창계사가 51.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 PDF

시설화훼(施設花卉)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화학비료(化學肥料) 및 토양개량제(土壤改良制) 시용량(施用量) 조사(調査) (Survey on the Green house Flower Soil Chemicophysical Properties and Amount of Fertilizers and Soil Amendment Applications)

  • 황기성;노대철;호교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2-135
    • /
    • 1998
  • 우리나라 시설화훼 재배지의 이${\cdot}$화확성과 화훼 재배농가의 화학비료 및 유기물질 시용량을 조사하여 화훼 재배농가의 토양개량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설화훼를 재배하는 85개 포장에서 화학비료 및 토양개량제 시용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화훼 재배지 토양의 토성분포(土性分布)는 미사질량토(微砂質量土)가 51%로 가장 많았으며 배수상태(排水狀態)는 68%의 농가포장은 양호한 상태였고 지하수위는 90 - 120cm 이 상 으로 화훼류 재배에 적합 하였다. 시설화훼지 토양은 양분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었으며 안개초 재배지에는 질산태질소, 장미 재배지에는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리 함량이 많이 축적되어 있었다. 시설 재배지 토양은 노지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질산태질소, 유효인산 및 치환성탈리의 축적이 현저하였으며, 2배 정도 축적되어 있었다. 화확비료의 시용량은 성분량으로 질소, 인산, 칼리 각각 211, 135, 132kg/ha 이었다. 유기물질 시용비율은 우분 > 퇴비> 유기물질비료 > 계분 > 돈분의 순으로 많았으며 유기물질 종류별 사용량은 각각 우분 69, 돈분 103, 계분32, 퇴비20, 유기질 비료 43ton/ha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