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hous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2초

계사 사육 형태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using Systems of Cage and Floor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and Stress Response in Layer)

  • 손시환;장인석;손보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5-313
    • /
    • 2011
  • 계사 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관백색레그혼종을 대상으로 케이지 사육 및 평사 사육으로 관리 후 이들의 생산 능력과 스트레스 관련 표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개체의 생산 능력에 있어 생존율, 산란 지수, 난중 및 체중은 평사 사육군이 케이지 사육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고, 반면 초산 일령 및 난질의 경우 케이지 사육군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관련 표지로 형광접합보인법에 의한 텔로미어 함량 분석 및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텔로미어 함량 분석 결과, 혈액 세포 및 신장, 비장 세포의 경우 평사 사육군이 케이지 사육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텔로미어 함유율을 보이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의 차이는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NA 손상율은 케이지 사육군이 평사 사육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손상율을 나타내어 케이지 사육이 평사 사육에 비해 훨씬 높은 스트레스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생존율을 포함한 생산 능력과 스트레스 표지 분석 결과, 산란계에 있어 케이지 사육 방식이 평사 사육 방식보다 개체들에게 생리적 스트레스 요인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무창육계사의 환경효율 분석 (Environmental Efficiency Analysis of an Enclosed Experimental Broiler House)

  • 황보종;송준익;조성백;정광화;이병석;남병섭;정찬성;정일병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75-482
    • /
    • 2002
  • 본 연구는 무창계사에 대한 효율 비교분석 연구가 전무한 실정으로 무창계사의 환경효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축산기술연구소 신축 실험계사에서 2002년 5월 9일에서 5월 30일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창계사는 외부의 기온은 9.6${\sim}$21.2$^{\circ}C$로 편차는 약 11.6$^{\circ}C$를 나타내었는데 비하여 단열이 우수한 무창계사에서는 병아리 사육적온기인 32${\sim}$33$^{\circ}C$ 범위를 유지하여 약간의 보조열원으로 낮과 밤의 편차는 2$^{\circ}C$ 이상 나타나지 않아 온도효율이 높았다. 2. 공기풍속에 있어서는 무창계사는 상부 0.57 m/sec, 하부 0.04 m/sec로 각각 나타나, 계사내 적정 풍속유지를 위한 덕트입기구의 천공으로 인하여 계사내 전체공간에서 공기의 유속흐름 분포가 고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사대상이 된 무창계사의 온도 및 습도 환경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기속도는 계사 공간 내에서 아주 고른 분포를 가져와 측벽 덕트 입기사설과 측벽 배기기스템이 우수하였다.

고단 직립식 산란계 케이지내의 병계 및 폐사계의 유무를 자동 판정하기 위한 영상처리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Automatic Finding the Sick or the Dead Layers in the Multi-tier Layer Battery)

  • 장동일;임송수;정쌍양;이승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44
    • /
    • 2005
  • 본 연구는 병계 및 폐사계의 자동 판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산란계의 질병증상 및 행동을 분석하였고 개발된 알고리즘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병$\cdot$폐사계의 판정을 위한 적정 촬영시간을 찾아내기 위해 산란계의 먹이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한 결과 관심도가 $90\%$를 넘는 급이후 5분 30초 이내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외부의 빛을 차단하고 균일한 조도의 영상 얻기 위하여 illumination chamber를 설치하였으며 보조 조명장치를 부착하여 조도를 45 lx 로 균일하게 하였다. 3. 산란계의 영상을 추출하기 위한 RGB의 농도범위를 Red 0${\~}$140, Green 0${\~}$130, Blue 0${\~}$130 으로 하였을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4. 병계 및 폐사계의 판별을 위하여 CCD 카메라로부터 얻은 이미지를 2진화하고 수축 및 팽창 처리를 하여 Noise를 제거하였으며, Label-ing 작업 후 중심점을 계산하여 정상인 산란계의 이미지를 제거하였다. 5. 개발된 알고리즘을 LABWindows/CVI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6. 개발된 감시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 유형별로 4개의 케이지 산란계 20마리에 대하여 100회의 판별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A형의 실험에서 $92\%$의 정확도를 나타냈고, B형의 실험에서 $96\%$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7. 개발된 영상처리알고리즘을 영상처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실험산란계사내의 고단직립식산란계케이지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며 앞으로 개발될 고단직립식산란계케이지의 원격자동화감시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적합한 영상처리알고리즘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s of monochromatic lights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eyeball development, oxidation resistance, and cecal bacteria of Pekin ducks

  • Hua, Dengke;Xue, Fuguang;Xin, Hairui;Zhao, Yiguang;Wang, Yue;Xiong, Benha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5호
    • /
    • pp.931-940
    • /
    • 2021
  • Objective: Light is a significant component of housing environment in commercial poultry indus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Pekin ducks perform better under monochromatic lights than under white light with respect to their growth performance, carcass quality, eyeball development, oxidation resistance, and cecal bacterial communities. Methods: A total of 320 one-day-old male Pekin duckling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five rooms with different light treatments, white, red, yellow, green, and blue light. Each room consisted of 4 replicated pens with 16 ducklings per pen. Results: Blue light significantly decreased fat deposition by decreasing abdominal fat. Long wavelength light, such as red, green, and yellow light, considerably increased the back-to-front eyeball diameter and the red light potentially enlarged the side-to-side eyeball diameter. Besides, the blue light had adverse effects on the oxidation resistance status in terms of increasing the product malonaldehyde of lipid oxidation and decreasing the plasma concentration of total superoxide dismutase. The phyla of Firmicutes had the greatest abundance in the green and blue treatments, while Bacteroidetes in blue treatment was the least. The genus of Faecalibacterium was significantly lower under the red light. Conclusion: The high risk of cecal health status and decreased anti-oxidation activity were observed under blue light. Red, yellow, and green light might increase the risk of oversized eyeball and cecal illness. Therefore, monochromatic lights compared to white light did not show advantages on the performance of housing ducks, it turns out that the white light is the best light condition for grow-out ducks.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의 사육 및 유통 현황 조사 (A Survey on Egg Laying Performance and Distribution Status of Animal Welfare Certified Farms for Laying Hens)

  • 홍의철;강환구;박기태;전진주;김현수;김찬호;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63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의 세 가지 사육시스템(무창, 개방, 평사+방사)의 현황을 조사하여, 현재 산란계 동물복지에 대한 실태 파악을 위해 수행되었다. 방문조사는 25곳의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유통현황 조사는 10곳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농가의 주된 품종은 하이라인 브라운 품종이었다. 개방계사의 경우, 자연농법과 판넬 사육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판넬 계사의 비율이 58.3%로 자연농법 계사에 비해 증가된 추세였다. 모든 무창 계사는 판넬로 제작되었으며, 15,000수 이상 키우고 있었다. 방사계사의 경우, 12,000수 미만의 적은 수의 규모로 사육하고 있었다. 사육밀도는 조사 농가의 56%가 7~8수/$m^2$로 사육하고 있었다. 암수 비율을 보면, 대부분의 농가에서 보통 15:1이나 17:1이나 20:1로 바꾸는 농가도 나타났다. 1일 사료급여량은 110~170 g이며, 150 g이상 급여 농가가 조사 농가 중 32%로서 사료 허실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생산성은 시산일령이 개방 123일, 무창 122일, 방사 120일이었으며, 사육시스템별 산란피크는 개방 91.8%, 무창 94.9%, 방사 86.5%이었다. 평균산란율은 개방 74.0%, 무창 84.6%, 방사 72.7%로 무창계사의 산란율이 가장 높은 편이었으며, 산란지수는 개방 271개, 무창 281개, 방사 239개로서 사료섭취량과 산란지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인증 계란의 유통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나 계약 생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유통 비율은 복지인증 계란이 일반 계란에 비하여 대형마트나 친환경전문판매점과 직거래 비율이 높았다. 평사란과 방사란 모두 계약 판매의 비율이 높았으며, 택배 판매농가의 비율도 높았다. 평사란은 택배를 제외하고 2017년 하반기(AI 이후)에 30원 이상 가격이 상승하였다. 방사란은 택배를 제외하고 2017년 하반기에 50원 이상 가격이 상승하였다. 택배의 경우 AI 전후 동일하게 500원을 유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Interaction effects of pen environment and sex on behavior, skin lesions and physiology of Windsnyer pigs

  • Mkwanazi, Mbusiseni Vusumuzi;Kanengoni, Arnold Tapera;Chimonyo,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452-458
    • /
    • 2019
  • Objective: The study was carried to deter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pen enrichment and sex on behavioral activities, skin lesions and physiology of Windsnyer pigs. Methods: Forty-eight growing Windsnyer pigs of both sex, with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21.6 (${\pm}9.01$) kg were used. Four pig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nriched or barren pens at a stocking density of $0.35m^2/pig$. Enriched pens contained 2 L bottles filled with stones and suspended at head level on ropes stretching across the pens. In addition, two plastic balls (90 mm in diameter) and 500 mL bottles (235 mm long) were placed on the floor of each enriched pen. Results: Pigs in barren environments had higher heart rates (p<0.001) than those in enriched pens. There was an interaction of pen environment and sex on rectal temperature (p<0.001). Females in enriched pens had higher rectal temperatures (p<0.05) than females in barren pens. There was no interaction of pen environment and sex on time spent eating and drinking (p>0.05). Time spent bullying was influenced (p<0.05) by pen environment and sex. Female pigs in barren environment spent more time on bullying than females in enriched pens. There was an interaction of pen environment and sex on time spent lying down and walking (p<0.05). Female pigs in enriched pens spent more time lying down than females in barren pens. Males in barren pens spent more time walking than males in enriched pens while no effect of pen environment was observed in females. There was an interaction of pen environment and sex on the number of skin lesions in the head, neck and shoulder region and other parts of the body (p<0.05).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pen enrichment reduced the number of skin lesions and anti-social behaviors, especially for female pigs. There is a need, therefore of housing indigenous pigs under confinement.

유창 및 무창계사의 사육 밀도에 따른 닭고기 등급 및 PSE육 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Chicken Meat Grades and PSE Incidence in Broiler House with or without Window)

  • 채현석;강희설;유영모;장애라;정석근;함준상;안종남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
    • /
    • 2009
  • 닭고기의 사육 형태에 따라 유창계사와 무창계사로 구분하고 또한 사육 밀도에 따라 고밀도, 표준, 저밀도 사육구로 구분하여 창의 유무와 사육 밀도가 최종 닭고기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창계사에서는 고밀도 사육 시 닭도체의 $1^+$ 등급 발생율이 고밀도 사육($0.05\;m^2$/수)은 26%, 표준 사육($0.066\;m^2$/수)은 52%, 저밀도사육($0.083\;m^2$/수)은 66%로 저밀도 사육이 고밀도 사육에 비해 2.5배 이상 증가하였다. 가슴육의 PSE 및 품질은 고밀도 사육에서 $1^+$ 등급은 76%를 차지하였으나, 저밀도 사육구에서는 86%로 사육 밀도가 낮을수록 $1^+$ 등급 발생 비율이 증가하였다. PSE 증상은 고밀도 사육구에서 경증, 중증 각각 4%를 나타냈고, 저밀도 사육구에서는 PSE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다리육은 $1^+$ 등급 출현율이 고밀도 사육구에서는 88%, 표준 사육구는 83%, 저밀도 사육구는 91%로 표준 사육구에서 83%로 약간 저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사육 밀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창계사에서는 $1^+$ 등급 발생율이 고밀도 사육($0.035\;m^2$/수)은 18%, 표준 사육($0.046\;m^2$/수)은 8%, 저밀도 사육($0.058\;m^2$/수)은 46%로 저밀도 사육이 고밀도 사육에 비해 2.6배 이상 증가하였다. 가슴육은 고밀도 사육에서 $1^+$ 등급은 58%를 차지하였으나 저밀도 사육구에서는 72%으로 사육 밀도가 낮을수록 $1^+$ 등급 발생 비율이 증가하였다. 다리육은 $1^+$ 등급 출현율이 고밀도 사육구에서는 88%, 표준 사육구는 83%, 저밀도 사육구는 91%로 표준 사육구에서 83%으로 약간 저하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사육 밀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유창계사에서는 고밀도 사육 시 닭고기의 $1^+$ 등급 발생 비율이 현저히 저하될 뿐 아니라 가슴 부위의 딱지 비율이 급격히 증가되었고, 무창계사는 유창계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환기 및 배수 시설이 불량할 경우는 오히려 유창계사에서 생산된 닭고기 보다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parison of Aviary, Barn and Conventional Cage Raising of Chickens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 Ahammed, M.;Chae, B.J.;Lohakare, J.;Keohavong, B.;Lee, M.H.;Lee, S.J.;Kim, D.M.;Lee, J.Y.;Ohh, S.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96-1203
    • /
    • 2014
  •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layer raising systems; conventional cage (CC), barn (BR) and aviary (AV). The AV is welfare bestowed housing that allows free locomotion for birds within the BR. The BR allows bird's free locomotion inside BR but without multilevel structures. Both pullets and cockerels were housed together in both AV and BR, but only pullets in CC. Seventeen weeks old Lohmann Brown Lite (n = 800) pullets were housed in AV during this study. The same age layer pullets were simultaneously assigned to either at CC or BR to compare egg production performance with AV. The duration of experiment was 40 weeks (from 21st to 60th week).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egg production, hen day egg production (HDEP) and average egg weight among three rearing systems. First 20 weeks (phase-1) average HDEP (%) of AV, CC, and BR were 85.9, 88.8, 87.1 and average egg weights (g) were 57.5, 59.9, and 56.9 respectively. Those of the remaining 20 weeks (phase-2) were 87.1, 87.9, 85.5 and 64.2, 63.0 62.1, respectively. Daily feed intakes (122 g, 110 g, 125 g); feed conversion ratio (2.4, 2.1, 2.5) and daily egg mass (53.9 g, 54.4 g, 52.8 g) data from AV, CC, and BR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respective raising systems. Daily feed intake of layers in both AV (124 g) and BR (127 g)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in CC (113 g) during phase-2. Overall, exterior egg quality (dirty and cracked eggs) in both phases was superior in BR compared with AV and CC, whereas CC generated intermediate result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DEP per se in AV and B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C. The study implied that the facility depreciation cost for AV and cost for increased feed intake in AV compared to CC are believed to be critical to evaluate the cost effectiveness of egg production in AV.

한국에 있어서 양계장의 실태와 닭의 생산성에 관한 조사(위생과 질병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Poultry Farm for Productivity and Health in Korea)

  • 박근식;김순재;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4-76
    • /
    • 1980
  • 한국에 있어서 양계장의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닭의 생산능력이 거의 파악되고 있지 않고 있어 양계산물의 생산량을 추정하거나 특허 증산성이 빠른 닭의 경우 생산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조사자들은 양계협회의 요청에 의거. 현재 양계농가의 관리 기술수준이나 문제점을 위생과 질병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의 발굴과 앞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나 지도방향을 설정하고자 본 조사에 착수하였다. 조사 방법은 산란계와 육계를 구분하여 목적에 부합 되도록 용도별로 조사 양식을 작성 야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의사 및 축산 기술전문 요원과 사전에 협의하여 각 지역별로 분담 조사하였으며, 조사 자료 중 검토 후 미흡분은 본성적에서 제외하였다. 조사 대상 및 기간은 산란계의 경우 1976년 3월부터 1978년 7월 사이에 입란한 계군 육계의 경우 1978년 11월부터 1979년 10월 사이에 입추한 계군을 대상으로 사하였으며 조사 지역은 경기도내 6개 지역을 크게 구분하여 총 21개 지역 산란계 41개 양계장 육을 양계장 34개 농장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항목별로 조사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지 조건 및 경영 상환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부업적인 경영이 4.9%로 나머지 95.1% 전업 또는 기업 형태로 육계의 경우에는 부업이 17.7%로 되어 있었다. 한편 양계 경영 년수는 총 경영년수의 경우 산란계 농장이 육계농장 보달. 경영 년수가 높았고 현지에서의 경영 년수도 역시 산란계 농장이 높았다. 입지조건에 있어서는 거주지에 있는 양계장이 10.7%이었고 그 분포는 전, 임야, 답의 순이었으며 지 역 별로는 평지, 구능, 산간지의 순으로 많이 분포되고 있었으며 해안은 한 농장도 얼었다. 양계장의 대지의 소유상환을 보면 자기 소유가 산란양계장은 89.5%. 육용양계장은 70.6% 였으며 양계농장의 평균 소유 면적은 산란계 농장이 5.016평, 육용농장이 1.037평이었다. 계군의 인력 관리는 고용인력에 의존도가 산란계농장이 높아 60%을 상회하고 있었다. 계사의 구조면에서도 아직까지는 위생 시설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타양계장과의 거리에 있어서 1km미만의 거리를 유지하는 농장이 조사대상 농장의 80%나 되고 있으며 100m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농장이 28%나 되고있어 양계장의 분포 밀도가 크게 높아 전염병의 예방에 있어서 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계군의 관리상황에 있어서 입추상환. 출하상항, 육성회수 1인당 관리수수 및 관리계군을 조사하였던 바 질병 발생의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체계가 거의 되지 않고 있었으며 닭의 품종 및 부화장 선택의 조건에 있어서도 과학적인 근거보다 인간관계 등에 편중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닭의 능력검정 성적을 활용하고 있지 않는 경향이다. 사료의 급이상황에 있어서도 19.5%가 시판사료 이외의 처방을 요구하고 있다. 위생 및 보건장비의 구비 상환은 완전치 못하였고 소독을 전혀 실시하지 않는 양계장도 다소 있었다. 소독약의 이용량도 높은 편이 아니었다. 백신접종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ND와 계두백신을 97.6%이용하고 있으나 육계의 경우 ND 백신은 43.6%, 계두의 경우 5.1%만 이용하고 있어 백신의 황용에 있어서 육계의 경우 아주 저조하였다. 백신 효과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서는 85.3% 이상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백신의 선택에 있어서는 특성 제품을 요구하는 율이 26.7%나 되고 있다. 그리고 백신접종의 시술에 있어서 수의사에 의뢰하는 예는 불과 4.9%-2.7%였다. ND의 기초면역시 2회이하 접종하는 농장이 17-32.7%나 되고 있으며 (60일령까지) 성계의 보완접종은 4개월마다 실시하는 농장이 14.6%나 되고 있다. 투약상황에 있어서 투약 목적이 질병의 예방목적으로 하는 농장이 74.9%이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시하는 농장은 26.8% 월 평균 1개 농장당200,000원 이상 지출하는 농장이 32.0%로 가장 높았다. 약의 선택에 있어서 주관에 의해서 선택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으며 수의사의 처방에 의한 것이 33.3%이었다. 약의 효과에 있어 서 자신 있게 효과를 신임하는 농장이 57 3%이었다. 닭 질병 발생시 진단의 의뢰는 가축병원이 49.3%, 직접 부검이 26.7%, 외판원, 전문기관 등의 순으로 의뢰하고 있으며 진단에 있어서 만족감을 갖는 농장은 69.4%이었다. 양계장에서의 질병 발생빈도를 부로일러와 산란계로 구분. 일령별로 조사분류 하였으며 닭의 용도별, 일령간의 질병 발생의 빈도는 가기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생산능력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육추율이 90.5% 육성율이 98.9%, 성계 및 육계의 생존율은 각각 75.2%, 92.2%이었으며 도태일령은 평균 533.3일이었다. 산란지수는 232.7개이었으며 사료 요구율은 산란계와 육계가 각각 3.30, 2.48로 예상보다는 높았으나 아직 생산 능력을 외국과 비교하였을 경우 개선의 여지가 크게 남아 있음을 본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 PDF

산란계농가의 자동화계사 시설실태 및 의식조사 연구 (Survey on the Automation of Laying Hen Houses and Farmers' Awareness of its Significance)

  • 최희철;서옥석;이덕수;한정대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3-110
    • /
    • 1996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three types of laying hen houses and farmers' awareness of farm automation. Six windowless, three high-rising windowless and four open-sided laying hen houses were surveyed to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and sixty farmers answered questionnaires. 1. Population density of laying hen was 13.9 birds/m^2$ in open-sided, 28.9 birds/m^2$ in high-rising windowless, and 44.9 birds/m^2$ in windowless laying hen houses. 2. Feeder space was $12{\sim}13.5cm$ in open-sided laying hen houses, but feeder space of windowless and high-rising hen houses was narrower than that of open-sided laying hen houses. 3. Thermal resistance values were $14.6{\sim}18.7\;m^2\;{\circ}C/W$ in wall, #22.0{\sim}23.7\;m^2\;{\circ}C/W$ in roof of windowless and high-rising windowless laying hen houses but the wall of open-sided laying hen houses was only $1.9\;m^2\;{\circ}C/W$. 4. Maximum ventilation capacity was 0.161{\sim}0.326$ cmm/bird in summer. Minimum rate of tunnel Ventilation laying hen houses in winter was $0.013{\sim}0.040$ cmm/bird, but minimum rate of crossflow and high-rising windowless laying hen houses was larger than that of tunnel ventilation houses. 5. One person managed about 8,100 birds in open-sided, and about 23,500 birds in windowless and high-rising windowless laying hen houses. 7. 90.7% of farmers responsed that they want to construct automatized laying hen houses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