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erior crossbit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교정환자 교합의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NTITION AND MORPHOLOGIC MALOCCLUSION OF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PATIENT)

  • 김미애;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3-63
    • /
    • 1996
  • 경희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초진시 2도 이상의 측두하악장애증상을 보이는 환자 73명과 교정치료로 내원한 환자들중 부정교합을 보이나 측두하악장애가 0도인 환자 30명으로 총 103명의 상하악모형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수평피개, 수직피개, 개방교합, 반대교합, Curve of Spee의 깊이, 정중선 편위, 안모비대칭, 치면마모, 치료지수, 연령 및 성별분포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군의 연령분포는 20대, 10대, 9세 이전의 순으로,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0.05)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를 함께 고려한 6가지 분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전치부개방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전치부 반대교합은 정상군에서 더 많았으나, 구치부 반대교합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5. Curve of Spee의 깊이는 측두하악장애군이 더 깊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6. 정중선편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안모비대칭은 장애군에서 더 많았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7. 치면마모는 측두하악장애군이 정상군보다 많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8. 치료지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측두하악장애를 보이는 군은 전치부 개방교합, 구치부 반대교합, 깊은 Curve of Spee, 치면마모 및 안모 비대칭 등의 여러가지 부정교합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고로 이러한 부정교합의 양상들 보이는 환자들은 측두하악장애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치료계획 수립시나 치료기간 동안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MOVEMENT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김기숙;김광남;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53
    • /
    • 1991
  • It is important to harmonize the occlusion with TMJ and neuromuscular system. However, clinically, how to harmonize is very difficult. The mandibular movement is the motion in which all component part of stomatognathic system participat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mandibular movement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group with that of normal group, to ascertain which components of mandibular movement hav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nd to use for occlusal treatment of mandibular movement. Thirteen adult who have physiologically normal occlusion and are free of TMJ dysfunction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Group 1). Eight adult who are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 and have more than four anterior teeth crossbite, therefore have not anterior guidance function and have posterior interference at protrusion were selected as a experimental group(Group 2). Electronic pantograph, Denar Pantronic (Denar Corp., U.SA.), was used to record mandibular movement. Pantronic survey was performed by using an arbitrary hinge axis according to manufacturer's direction. Of the Pantronic recordings, immediate side shift (ISS), progressive side shift (PSS), orbiting condylar path (ORB), protrusive condylar path (PRO)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rotrusive and orbiting condylar inclination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28.44^{\circ},\;36.94^{\cir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group$(40.15^{\circ},\;48.00^{\circ})$ (P<0.01).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immediate and progressive side shift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 $(0.37mm,\;6.19^{\circ})$ and those of normal group$(0.52mm.\;5.96^{\circ})$ (P>0.01). 3.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rbiting condylar inclination and protrusive condylar inclination.

  • PDF

견인 골 신장술을 이용한 하악 정중부 확대 치험례 (Reports of mandibular symphysis widening with distraction osteogenesis)

  • 태기출;오승환;민승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9-504
    • /
    • 2001
  • 하악골 횡적 성장결핍에 의한 하악 전치부의 총생을 치료하는데 성인의 경우 발치가 종종 요구된다. 그러나 발치에 의한 안모 변화가 바람직하지 않을 때 견인골 신장술을 시행하여 하악 정중부의 확장은 횡적 공간을 확보하여 빠른 교정치료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된다. 하악 정중부 견인골 신장술을 시행한 후 tooth-borne type 과 tooth & bone-borne type distractor를 사용하여 latency, distraction, consolidation period를 거쳐 하악 정중부 횡적 확장을 시행하여 전치부 총생을 빠르게 치료할 수 있었으며, 두가지 방법에 의한 치유과정을 비교한 결과 치주적인 요소와 골 형성과정은 유사하였으며, 악관절 부위의 퇴행적 증상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Flabby tissue를 동반하는 골격성 Class III 환자의 양악 총의치 수복 및 적합성/안정성 평가 증례 (Evaluation of suitability and stability in a skeletal Class III complete denture patient with flabby tissue: A case report)

  • 이준석;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95-301
    • /
    • 2018
  • 치조제 흡수 및 광범위한 flabby tissue가 존재하는 Class III 무치악 증례에서 의치의 유지, 지지, 안정을 얻기는 매우 어렵다. 환자는 72세의 남성으로 약 20년전 비의료기관에서 제작된 의치의 잦은 탈락과 잘 씹히지 않는다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신 분이다. 본 환자의 임상검사 소견상 상악 전치부에는 심한 flabby tissue 가 존재하였으며, 골격성 Class III에 해당하는 심한 하악 전돌 양상이 관찰되었다. 먼저 임시 의치 제작으로 저작기능을 회복하고 flabby tissue의 무압인상채득을 실시하였으며, 구치부 치아 배열을 고려하여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이에 환자의 주소인 의치의 탈락 및 저작시 불편감이 개선되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구순구개열과 관련된 상악골 변형의 치료를 위한 골신장술의 다양한 적용예 (Various Application of Distraction Osteogenesis in Cleft Lip and Palate related Deformities)

  • 이호;백승학;이종호;최진영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2
    • /
    • 2005
  • 상악골의 열성장과 횡적 부조화, 그리고 광범위한 치조열 및 구강상악동 누공의 치료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골신장술을 사용하였을 경우, 본 증례들과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하여, 견인량의 충분한 확보 및 회귀율의 최소화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입원가료기간의 감소와 연조직 부조화의 해결을 볼 수 있어 구순구개열에 관련된 상악골 변형의 치료에 골신장술이 유용한 치료법이라 생각되어 보고한다.

  • PDF

Activator를 이용한 기능성 안면 비대칭의 치료 (USE OF OCCLUSAL SPLINT(ACTIVATOR) IN THE TREATMENT OF FACIAL ASYMMETRY)

  • 주진형;이광희;김대업;정영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3-317
    • /
    • 2002
  • 어린이는 성인과 다른 악관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견고한 중심교합위를 얻지 못하거나 이원교합(dual bite)의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향이, 편측저작 등의 치열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습관과 합쳐져 골격적 변화를 초래하게 될 경우, 안면 비대칭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치료로서 교합유도를 통한 관절의 안정화와 그에 맞는 교합의 재형성을 통한 관절 및 교합의 안정화가 필요하다.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5세 어린이에서 편측저작 습관으로 말미암은 우측 편측 구치부 절단교합과 2.5mm의 정중선 불일치가 있었다. 저자들은 activator를 이용하여 악관절 및 교합을 정상위치로 유도한 후 유구치를 주조금관으로 수복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Occlusal deviations in adolescents with idiopathic and congenital scoliosis

  • Zhang, Hao;Ma, Jingbo;Zhang, Zhicheng;Feng, Yafei;Cai, Chuan;Wang, Cha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65-171
    • /
    • 2022
  • Objective: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alocclusions in scoliotic patients through clinical examinations. Methods: Fifty-eight pati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IS) and 48 patients with congenital scoliosis (C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randomly selected group of 152 orthopedically healthy children served as the control group. Standardized orthodontic and orthopedic examination protocols were used to record the occlusal patterns and type of scoliosis. Assessments were made by three experienced orthodontists and a spinal surgery team.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occlusal patterns were evaluated by the chi-squared test. Results: In comparison with patients showing IS, patients with CS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Cobb angle ≥ 45° (p = 0.020) and included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receiving surgical treatments (p < 0.001). The distribution of the Angle Class II sub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S (p < 0.001) and CS (p = 0.031)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healthy controls, the CS and IS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 < 0.05) frequencies of asymmetric molar and asymmetric canine relationships, upper and lower middle line deviations, anterior deep overbite, unilateral posterior crossbite, and canted occlusal plane, with the frequencies being especially higher in CS patients and to a lesser extent in IS patients. Conclusions: Patients with scoliosis showed a high frequency of malocclusions, which were most obvious in patients with CS.

Floating-Harbor 증후군 환자와 쌍둥이 여동생의 치성 및 골격성 특성과 행동 양상 비교 (Dental and Skelet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Aspects of the Patient with Floating-Harbor Syndrome Compared with Twin Sister)

  • 임종화;김기민;이제식;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34-240
    • /
    • 2022
  • Floating Harbor 증후군 (FHS)은 드문 유전질환이다. 본 증례는 FHS를 가진 환아에 대해 소개하였다. 환아는 독특한 얼굴 형태, 저성장된 상악과 전돌된 하악을 동반한 심한 골격적 3급 부정교합, 결손치, 왜소치, 상악 치아의 이소맹출을 보였다. 쌍둥이 여동생은 하악 전돌을 동반한 경미한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은 보였으나 결손치와 왜소치는 보이지 않았다. 높은 구개궁, 넓은 난형의 하악궁에 비해 좁은 V형의 상악궁, 역의 관계의 상하악 구치간 폭경으로 인한 구치부 반대교합이 환자의 모델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쌍둥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행동면에서 환아는 경미한 정신지체로 인해 치과 치료 중 낮은 협조도를 보였다.

손가락 빨기로 인한 부정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MALOCCLUSION, AS RELATED TO FINGER SUCKING : CASE REPORT)

  • 문상진;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0
    • /
    • 2004
  • 손가락 빨기는 유아의 심리적인 욕구와 영양적인 욕구에서 유발되어 흔히 $2{\sim}3$세까지는 정상적으로 간주된다. 이 시기까지의 상, 하악골과 교합을 포함하는 치열궁에의 영향은 습관의 중단과 함께 자연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5{\sim}4$세 이후까지 손가락 빨기가 지속된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된 부정교합의 정도가심하고 상, 하악골 발달의 부조화가 현저하며 자연적인 개선을 예측하기 어려울 때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관의 중단 및 습관으로 인한 부정교합과 심한 골격적 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Fr\ddot{a}nkel$ appliance는 매우 효과적인 장치이다. 본 증례는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 중 손가락 빨기로 인한 심한 수평피개도와 상, 하악골 발달의 부조화, 심하게 함몰된 안모를 가진 3세 어린이와 정중선 변위, 안면 비대칭, 편측성 구치부 반대 교합을 지닌 4세 어린이에서 습관의 중단과 부정 교합의 치료를 위해 $Fr\ddot{a}nkel$ appliance를 이용해 치료하였다. 환아들은 $Fr\ddot{a}nkel$ appliance를 장착한 이후에 습관이 바로 중단되었으며 증례 1 에서는 심한 수평피개도와 상, 하악골의 부조화가 FR-II 장착 16개월 후 개선되었다. 증례 2 에서는 정중선의 변위, 하악골의 편위, 편측성 구치부 반대교합 안모 비대칭이 FR-III 장착 10개월 후 개선되었다. $Fr\ddot{a}nkel$ appliance는 골격적 부조화의 개선 및 Habit breaker로서 추천할 만한 장치이다. time이 짧았다. 36개월 이상인 환아는 $N_2O/O_2$를 사용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령과 $N_2O/O_2$ 사용시간, $N_2O/O_2$사용과 치료시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 반면, 체중과 $N_2O/O_2$사용시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치료시간 연장, $N_2O/O_2$사용여부와 부작용 발생간에서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 PDF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측두하악장애(TMD) 유병율과 그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The Prevalence Study of TMD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 김명희;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23-538
    • /
    • 1997
  • 서울대학교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한 6세 1개월에서 45세 8개월사이(평균 19세 6개월)의 부정교합자 205명(남 67명, 여 138명)을 대상으로 TMD 증상과 기여요인에 관한 설문조사와 Orthopantomogram, 경두개 방사선 사진(transcranial view)의 판독, 교정모형 검사 등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elkimo Anamnestic index는 Ai 0 $46.8\%$, Ai I $22.0\%$, Ai II $31.2\%$로 TND의 주관적 증상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p<0.001)를 보였으며 여성에서 높았다(p<0.05). 2.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의 이상소견은 flattening($4.4\%$)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한가지 이상의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8.3\%$였다. 3. 목과 어깨의 동통(p<0.001) 이악물기, 입술을 깨무는 습관(이상 p<0.01). 두통(p<0.05)이 있는 경우 Ai가 높았다. 4. Angle II급에서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 이상소견의 빈도가 높았고, 상악 대구치의 교모가 있을때 Ai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이상 p<0.05). 그외의 교합 요소는 TMD의 증상과 무관하였다. 5. 하악두 길이(Co'-Inc')와 하악지 길이(Co'-Go')가 짧고 하악두의 비율(Co'-Inc'/Co'-Go')이 낮을때, 그리고 좌우 하악지 길이 (Co'-Go'), 하악두 비율(Co'-Inc'/Co'-Go')이 다를때 Orthopantomogram상 하악두 이상소견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