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 traumatic growth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2초

외상 후 병리에서 성장으로: 외상 후 성장 시계 (From Trauma To growth: Posttraumatic Growth Clock)

  • 이홍석
    • 인지과학
    • /
    • 제27권4호
    • /
    • pp.501-539
    • /
    • 2016
  • 인간 정신은 외상 자극에 역동적으로 반응하여 다차원적 위계를 따라 진화적으로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평형상태에서 일원화되어 있는 정신 내에 외상 자극이 유입되면 그에 반대 쌍이 되는 반응 극성이 형성되어 이원화된다. 그 반대 쌍 사이에 초월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면 상위 차원에 제3의 극성이 출현하게 되어 정신은 삼위구조로 변형된다. 삼위 구조화된 정신에서는 비평형 상태가 극대화되어 가소성이 최대화됨에 따라 삼위 요인이 같은 기능을 하게 되는 동기화가 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정신은 상위차원에서 다시 일원화된다. 만약 정신이 또 다시 새로운 자극을 받아들이게 되면 정신은 위의 위계적 변형과정을 따라 성장하게 된다. 이를 정신의 기본삼위체계의 동기화를 통한 순환적 성장과정이라 한다. 이번 이론 연구에서는 이 개념을 외상 후 성장 과정에 적용하여 외상 후 성장 시계를 제안하였다. 외상 후 성장 시계는 7개의 위계적 단계로 구성되어있으며 처음 6개의 단계들은 충격 대 마비, 공포 대 침습, 편집 대 회피, 강박 대 폭발, 불안 대 우울, 허무 대 의미추구 단계 등의 12분기로 구성되어 있고 마지막 7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모든 단계들의 기능들이 동기화되는 거대 동기화 단계가 나타나게 된다. 거대 동기화 단계에서는 이전의 6 단계들로 구성된 개인 내의 생리-사회-실존 차원들 뿐 아니라 자아와 타아도 동기화를 통해 일원화됨으로써 자신의 외상경험 뿐 아니라 타인의 고통도 자신의 실제적 외상경험으로 작용하게 되어 정신은 상위 차원에서 또 다른 성장과정을 반복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외상 후 성장 시계의 변형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Horowitz의 외상반응과정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중도장애인의 장애정체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Disability Identit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Individuals with Acquired Disabilities)

  • 허숙민;조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625-634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기에 장애라는 외상을 경험한 중도장애인들의 장애정체성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과정에서 레질리언스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만 18세 이후에 장애를 갖게 된 중도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이어 각각 표준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정체성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정체성이 높아질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아지는데, 이 때 레질리언스 수준이 높아지면 외상 후 성장의 수준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에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장애정체성을 형성하고 레질리언스를 강화하기 위한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mechanism of human neural stem cell secretomes improves neuropathic pain and locomotor function in spinal cord injury rat models: throug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matrix degradation, and neurotrophic activities

  • I Nyoman Semita;Dwikora Novembri Utomo;Heri Suroto;I Ketut Sudiana;Parama Gandi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6권1호
    • /
    • pp.72-83
    • /
    • 2023
  • Background: Globally, spinal cord injury (SCI) results in a big burden, including 90% suffering permanent disability, and 60%-69% experiencing neuropathic pain. The main causes are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degeneration. The efficacy of the stem cell secretome is promising, but the role of human neural stem cell (HNSC)-secretome in neuropathic pain is unclear. This study evaluated how the mechanism of HNSC-secretome improves neuropathic pain and locomotor function in SCI rat models throug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matrix degradation, and neurotrophic activities. Methods: A proper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15 Rattus norvegicus divided into normal,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30 µL HNSC-secretome, intrathecal in the level of T10, three days post-traumatic SCI). Twenty-eight days post-injury, specimens were collected,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F2-Isoprostane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and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were analyzed. Locomotor recovery was evaluated via Basso, Beattie, and Bresnahan scores. Neuropathic pain was evaluated using the Rat Grimace Scale. Results: The HNSC-secretome could improve locomotor recovery and neuropathic pain, decrease F2-Isoprostane (antioxidant), decrease MMP-9 and TNF-α (anti-inflammatory), as well as modulate TGF-β and BDNF (neurotrophic factor). Moreover, HNSC-secretomes maintain the extracellular matrix of SCI by reducing the matrix degradation effect of MMP-9 and increasing the collagen formation effect of TGF-β as a resistor of glial scar form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mechanism of HNSC-secretome in improving neuropathic pain and locomotor function in SCI throug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matrix degradation, and neurotrophic activities.

전완원위부 변형에 대한 혈관부착 성장판 이식술 (Long-Term Result of the Epiphyseal Transplantation in Distal Forearm)

  • 정덕환;한정수;유명철;한수홍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4권1호
    • /
    • pp.16-22
    • /
    • 1995
  • We analyzed 11 children who underwent epiphyseal transplantation to the forearm for manage growing deformity ranged from 2 years 6 months to years(average 5 years 10 months) follow-up period. Etiologies of the functional impairment of the eleven were five traumatic, three congenital and three tumorous conditions. Lesions of epiphysis were distal radius in eight patients and distal ulna in three patients.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removal of non-functioning or deformed epiphysis followed by transplantation of free vascularized proximal fibular epiphysis with microvascular anastomesis. Evaluation was performed radiologically and functionally. The 9(81.8%) patients showed growth of transplanted epiphysis by radiological examination during follow up. At the last follow up, average growth rate was 0.86cm per year excepts 2 cases of no growth. Active wrist motion near normal to contralateral joint was achieved in 7 patients. In other 2 patients, active joint motion was improved but weaker than contralateral joint. Complications on donor site were two transient peroneal nerve palsy which have been resolved after 2 and 5 months post operation and one valgus ankle deformity. The ankle deformity was corrected with $Langenski\"{o}ld$ operation of the dital tibiofibular fusion. At recipient site, there was one superficial infection and it was easily controlled by systemic antibiotics. Many subsequent reports have described successful nonvascularized epiphyseal transplante, but overall results have been inconsistent and unsatisfactory. Other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in the transfer of vascularized epiphyses has encourage its clinical application. We also could gel successful growth in several cases with free vascularized epiphyseal transplantation.

  • PDF

여성생식기 암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융합적 관련 요인 (Convergence Factors to Posttraumtic Growth in Female Urogenital Neoplasm Survivors)

  • 강혜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15-124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생식기 암 생존자들의 외상 후 성장과 관련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여성생식기 암 환자들 가운데 치료가 성공적으로 종결되고 인터넷 카페 활동을 하는 암 환자 자조모임의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 9월부터 10월까지 외상 후 성장, 질병으로 인한 영향, 대처, 가족응집력 그리고 사회적 지지를 이메일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일원변량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상 후 성장은 평균 84.13점 이었으며, 나이, 종교, 결혼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대처,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종교(${\beta}=.127$), 결혼상태(${\beta}=.081$), 대처(${\beta}=.232$) 그리고 가족응집력(${\beta}=.415$)으로 설명력은 44.7%였다. 본 연구는 여성생식기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하여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와 사회심리적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여성 생식기 암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의료 및 지역사회 기관의 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방암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 박진희;정용식;정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54-462
    • /
    • 2016
  • Purpose: Posttraumatic growth (PTG) is defined as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d as a result of a struggle with highly challenging lif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PTG and its correlates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A sample of 120 participants was recruited from outpatients, who had successfully completed primary treatment of breast cancer at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December, 2014 using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Illness Intrusiveness Rating Scal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an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Results: Total score for the PTG was $79.18{\pm}17.54$ in patients surviving breast cancer. B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PT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ving a religion, perceived social support, greater optimism, cancer coping, and illness intrusiveness.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ncer coping (${\beta}=.29$, p=.001), optimism (${\beta}=0.28$, p=.001) and illness intrusiveness (${\beta}=0.17$, p=.037)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tients' PTG.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variables of cancer coping, optimism and illness intrusiveness significantly explain PTG and these psychological variables can be used to provide improvement in PTG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재난에 따른 농촌주민의 심리적 영향을 고려한 재난대책 방안 (A study on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impact of rural residents)

  • Seo, Eunyoung;Kim, Yeounjung;Lee, Young-Kune;Park, Mir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7-2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난을 경험한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재난 후 개인의 변화와 재해인식, 심리적 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농촌주민의 재난대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7년 7월 집중호우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은 충청남도 청주시에 거주하는 농촌주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재해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많은 주민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고찰 및 제언을 통해 농촌주민의 재난 후 성장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Post-Traumatic Peripheral Giant Osteoma in the Frontal Bone

  • Kim, Seong Hwan;Lim, Dong Seob;Lee, Do Hun;Kim, Kyung Pil;Hwang, Jae Ha;Kim, Kwang Seog;Lee, Sam Y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3-276
    • /
    • 2017
  • Osteomas are benign, slow-growing tumors that most frequently occur in the craniomaxillofacial region. These tumors are mostly asymptomatic and are generally found incidentally. A giant osteoma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greater than 30 mm in diameter or 110 g in weight. A 35-year-old female presented to us with complaints of a firm mass that showed continuous growth on the forehead following trauma. A hairline incision was made to expose the osteoma. Biopsy of the tumor confirmed a osteoma.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fter surgery.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that the tumor was completely removed. Because a peripheral giant osteoma of the frontal bone with a history of trauma is a rare finding, thorough history-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preoperative imaging tests are needed for patients with a history of trauma to rule out a giant osteoma.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암환자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외상 후 성장, 삶의 질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 Post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to Disease Characteristics)

  • 최진호;이선영;안병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2호
    • /
    • pp.170-179
    • /
    • 2016
  • 목적: 암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자기효능감, 외상 후 성장, 그리고 삶의 질의 정도를 평가하고,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이들의 정도가 낮은 환자군의 질병관련특성을 발견하여, 이를 증진시킬 교육과 프로그램의 적용 등 심리사회적 개입이 필요한 환자군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암환자 총 107명을 대상으로 자가간호행위, 자기효능감, 외상 후 성장, 심리, 사회관계적 삶의 질에 관한 설문조사 하였고, 진단병기, 진단 후 경과기간, 치료현황의 질병관련특성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어 이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자가간호행위는 총 65점 중 평균점수 49.96점, 자기효능감은 총 50점 중 평균점수 37.78점으로 나타났다. 자가간호행위는 하위요인 중 투약의 항목에서는 진단 후 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의 환자집단에 비해 1년 미만의 환자집단에서, 추적관찰중 집단 및 전이집단에 비해서 현재치료중 집단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외상 후 성장은 총 80점 중 평균점수 56.17점이 나왔고, 진단 후 경과기간 1년 이상 2년 미만의 환자집단이 1년 미만의 환자집단에 비해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자기지각의 변화가 차이를 보였다. 추적관찰 중인 집단이 현재치료 중 집단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위요인으로 대인관계의 깊이증가와 영적, 종교적 관심증가에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은 총 40점 중 평균점수 25.79점이였으며, 질병관련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진단 후 경과기간이 짧을수록 자가간호행위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외상 후 성장은 암 진단 후 경과기간이 1년 이후 2년 미만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진단 후 1년 이내에 자가간호행위와 자기효능감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이를 유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암 진단 후 2년 시점에서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외적 자원의 투입이 필요하다.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 (The Anxiety, Diabetes-Related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Parents Who Have Child with Type 1 Diabetes)

  • 김미영;강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57-2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1형 당뇨병 자녀를 둔 부모의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및 외상 후 성장의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와 각 변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술적 조사 연구로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4일부터 29일까지 1형 당뇨 인터넷 카페에서 온라인 설문으로 이루어졌고 77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측정변수는 불안, 당뇨관련 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이었다. 통계분석은 t-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가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 후 성장이 유의하게 높았고(p<.05), 자녀의 연령이 6세 미만인 경우(p<.05), 저혈당 경험이 있는 경우(p<.05)와 당화혈색소가 높은 경우(p<.05) 부모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았다. 그 외의 변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서는 불안과 스트레스가 정적 상관관계(r=.684, p<.001), 불안과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은 부적 상관관계(r=-.401, p<.001; r=-.327, p<.05)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상후 성장은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중재와 불안과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