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 traumatic growth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상담심리전공 대학생의 대인 외상 경험과 상담자로서의 성장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in Counseling Psychology Maj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Growth Process as Counselors)

  • 홍예영;장은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47-1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상담심리전공 대학생들의 관계 외상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겪은 외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통한 상담자로서의 성장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외상의 경험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고 최종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대면 면담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상 및 이후의 성장 경험은 38개의 의미단위, 15개의 하위범주, 5개의 범주로 범주화 되었고, 그 내용으로는 '고통의 시간들', '복잡한 감정을 홀로 감당하는 삶', '이해받고 이해하는 경험', '변화를 향한 시도와 새로운 의미', '상담자로서의 성장에 대한 걱정과 기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을 경험한 상담심리 전공 학생들의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교육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활용한 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양상: 폭식, 비자살적 자해, 문제성 음주행동에서의 차이 (Latent Profile Analysis of PTSD symptoms and PTG among Adults in South Korea: the Differences in Binge Eating, Non-Suicidal Self-Injury,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s)

  • 이덕희;이동훈;정하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4호
    • /
    • pp.325-351
    • /
    • 2019
  • 본 연구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 성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증상과 외상 후 성장(Post Traumatic Growth) 양상을 토대로 잠재계층(latent class)을 도출하고, 각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탐색하며, 집단에 따른 자기파괴적 행동의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외상 사건을 경험한 개인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SM-5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성인 86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R-3STEP 방식을 이용하였다. 집단 예측 변인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최종 학력, 종교유무, 종교활동 정도, 월 평균 소득)과 사회적 고립, 외상 경험 빈도가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 자기파괴적 행동(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의 양,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 사회적 문제)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은 '저PTSD/중 PTG집단', '저 PTSD/고 PTG집단', '고 PTSD/고 PTG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성별, 최종학력, 사회적 고립, 외상 노출 빈도가 집단 예측 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사회적인 문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여성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 낙관성 및 외상 후 성장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epressio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 김부경;성미혜;최성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1호
    • /
    • pp.43-5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Methods: In total, 115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participated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participants answ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1 June 2020 to 10 June 2020,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for Windows ver. 24.0. Results: The mean age of the breast cancer survivors was 45.83 years.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81.85 out of 148 points. Participants' scores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economic status (F=5.36 p=.006) and hobbies (t=-3.37, p=.001).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73,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optimism (r=.65, p<.001) and posttraumatic growth (r=.28, p=.002). Depression (𝛽=-.55, p<.001)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llowed by optimism (𝛽=.29, p<.001), and post-traumatic growth (𝛽=.12, p=.048),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62.2% (F=63.61, p<.001) of the varia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to reduce depression, increase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adapting these programs, positiveness may increase and this may lead to improv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ancer)

  • 한인영;이인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19-441
    • /
    • 2011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고통에만 초점을 두는 기존의 병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생존을 위협하는 암이라는 외상적 경험 속에서 얻게 되는 긍정적 변화와 성장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예측 요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임상적 개입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암환자 206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 대한 예측요인을 검토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질병관련 변인, 대처,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암환자들의 외상후성장에 대한 주 영향요인으로 대처, 사회적 지지가 도출되었다. 이중 대처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재구조화가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Frontal Alpha Asymmetry, Heart Rate Variability, and Positive Resources in Bereaved Family Members with Suicidal Ideation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 Jang, Kuk-In;Lee, Sangmin;Lee, Seung-Hwan;Chae, Jeong-Ho
    • Psychiatry investigation
    • /
    • 제15권12호
    • /
    • pp.1168-1173
    • /
    • 2018
  • Objective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bereavement with suicidal ideation was a critical mental health problem that was accompanied by various neuropsychological symptoms. This study examined the frontal alpha asymmetry (FAA),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everal psychological symptoms in bereaved family members (BFM)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Methods Eighty-three BFM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were recruited. We assessed FAA, HRV,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cluding depression, post-traumatic stress, post-traumatic growth factor, anxiety, grief, and positive resources, between BFM with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urrent suicidal ideation. Results Compared to BFM without suicidal ideation, BFM with suicidal ideation showed a higher FAA with right dominan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ymptom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BFM with suicidal ideation, the low: high frequency (LF:HF) ratio correlated with social resources and support. Conclusion The FAA and LF:HF ratio may be biomarkers that represent the pathological conditions of BFM with suicidal ideation. If researched further, they may shed light on the interaction between bereavement with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resource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양립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of Working Moms' Work and Family Balanc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손영미;황혜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441-481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균형과 관련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명 이상의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시간제와 전일제 워킹맘 17명을 연구 대상자로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06개의 개념, 50개의 하위범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코로나 19 시기에 워킹맘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신체적, 정서적 소진', '역할 갈등 상황에서의 불안감과 죄책감', '워킹맘이 겪는 일자리 위기', '가족 갈등 심화'로 나타났다. 워킹맘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심현상을 극복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을 이루는 과정은 '충격과 혼란 단계', '고군분투 단계', '적극적 대처와 타협 단계', '수용 단계', '외상 후 성장 단계'의 5단계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양립 경험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초기 두부외상 기간 동안 지속적 외상성 뇌실질내 혈종에 관계되는 위험인자 (Risk factors related to progressive traumatic intracerebral hematomas in the early post head injury period)

  • 이영배;정휘수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3권2호
    • /
    • pp.142-150
    • /
    • 2010
  • Purpose: In this study, patients in whom two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had been obtained within 24 hours of injury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risk factors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a progressive intracerebral hematoma (PIH). Methods: Participants were 182 patients with a traumatic intracerebral hematoma and contusion who underwent a repeat CT scan within 24 hours of injury. Univarite and multivariate statistics were used to define growth (volume increas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hemorrhage expansion. Results: Fifty-four percent of the patients experienced progression in the size of the lesion in the initial 24 hours postinjury. A PIH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worsened Glasgow coma scale (GCS) score (2.99, 1.04~8.60), the presence of subarachnoid hemorrhage (6.29, 2.48~16.00), the presence of a subdural hematoma (6.18, 2.13~17.98), the presence of an epidural hematoma (5.73, 1.18~27.76), and the presence of a basal cistern effacement (10.93, 1.19~99.57). Conclusion: For patients undergoing scanning within 2 hours of injury, the rate of PIH approaches 61%. Early repeated CT scanning is indicated in patients with a nonsurgically-treated hemorrhage revealed on the first CT scan. Worsened GCS score, significant hematoma growth and effacement of the basal cisterns on the initial CT scan are powerful predictors of which patients will require surgery. These findings should be important factors in understanding and managing of PIH.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of Maritime Police Officers)

  • 문성모;박종;류소연;한미아;최성우;최성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4호
    • /
    • pp.208-220
    • /
    • 2020
  • 본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6월 17일부터 7월 31일까지 해양경찰교육원에서 기본 교육 및 전문교육을 받은 해양경찰관 293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과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39.72±16.56점이었고, 회복탄력성 평균 84.46±9.85점, 사회적지지 평균 86.16±16.21점, 집단문화 9.50±2.26점, 합리문화 10.79±1.94점, 발전문화 9.61±1.95점, 위계문화 10.96±2.00점이었다.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결혼여부(β=0.194, p=0.002), 흡연여부(β=0.152, p=0.010), 규칙적인 운동여부(β=-0.185, p<0.001), 총 근무기간(β=-0.154, p=0.033), 회복탄력성(β=0.310, p<0.001), 사회적지지(β=0.250, p<0.001), 집단문화(β=0.158, p=0.004)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6.5%이었다. 본 연구 결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은 개인적인 특성 뿐 아니라 가족과 동료들의 지지, 근무 환경 및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향후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조직 차원의 관리가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가족 및 동료와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친근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는 근무환경 및 문화의 변화가 이루어지면 외상 후 성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Posttraumatic Growth and Social Support in Turkish Patients with Cancer

  • Tanriverd, Derya;Savas, Esen;Can, Ganim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311-4314
    • /
    • 2012
  • Posttraumatic growth (PTG) is the experience of positive change that occurs as a result of the struggle with highly challenging life crises. The need to understand PTG in relation to actual changes in an individual's life has recently been raised.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xperience of positive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enhancing PTG in cancer patients. This study involved 105 cancer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determined the socio-demographic features,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Participants repor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PTG and social support. Total perceived social support,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TG among cancer patients. Accordingly, the social surroundings of the patient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how it helps the patient; they should be made aware of necessity of social support.

암환자 특이형 외상후 성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정영미;박진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19-33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evaluate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ancer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semi-structured patient interviews and an expert panel consultation produced a 27 preliminary item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150 cancer patients recruit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Item reduc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led to 23 items, grouped into five subscales which were labelled new possibilities (6 items), coping skills (5 items), preciousness of life (5 items), relating to others (4 items), and personal strength (3 items). Converg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total correlation with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r=.45, p<.001). The final scale demonstrated satisfactory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94).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ha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assessing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