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 care

검색결과 1,426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중독환자의 경향: 국가응급진료 정보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 (Characteristics of Korean Poisoning Patients: Retrospective Analysis by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 김웅기;김경환;신동운;박준석;김훈;전우찬;박준민;김정언;김현종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8-117
    • /
    • 2019
  •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poisoned patients' characteristics nationwide in Korea by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Methods: Among the patients' information sent to NEDIS from January 1, 2013 to December 31, 2015, the included subjects' main diagnosis in ED showed poisoning according to the 7th edition of the Korean Standard Disease Classification (KCD-7). We analyzed the patients' gender, age, initial vital signs, visit time, stay time of staying in ED, results of ED care, main diagnosis in ED, length of hospitalization, and results of hospitalization. Results: A total of 106,779 ED visi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re were 55,878 males (52.3%), which was more than the number of females. The number of intentional poisoning was 49,805 (59.6%). 75,499 cases (70.8%) were discharged, and 25,858 cases (24.2%) were hospitalized. The numbers of poisoning patients per 1,000 ED visits were 14 in Chungnam and 11.9 in Jeonbuk. The most common cause of poisoning, according to the main diagnosis, was venomous animals. It was the same for hospitalized patients, and pesticide was next. Pesticide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mortality in ED (228 cases, 46.1%) and after hospitalization (584 cases, 54.9%). The incidence of poisoning by age group was frequent for patients in their 30s to 50s, and mortality in ED and post-hospitalization were frequent for patients in their 60s to 80s.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oisoning patients reported in the past 3 years. Pesticide poisoning had a high mortality rate for patients in ED and in-hospital. For mortality,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over 60. Thus, policy and medical measures are needed to reduce this problem. Sinc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oison substance in detail due to nature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build a database and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causative substance and enacting countermeasures.

Effect of Saccharomyces boulardii CNCM-I 3799 and Bacillus subtilis CU-1 on Acute Watery Diarrhea: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in Indian Children

  • Ghosh, Apurba;Sundaram, Balasubramaniam;Bhattacharya, Piyali;Mohanty, Nimain;Dheivamani, Nirmala;Mane, Sushant;Acharyya, Bhaswati;Kamale, Vijay;Poddar, Sumon;Khobragade, Akash;Thomas, Winston;Prabhudesai, Sumant;Choudhary, Ankita;Mitra, Monjor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5호
    • /
    • pp.423-431
    • /
    • 2021
  • Purpose: To assess the effect of combination probiotic Saccharomyces boulardii CNCM-I 3799 and Bacillus subtilis CU-1 in outpatient management of acute watery diarrhea in children. Method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in 180 participants aged six months to five years with acute mild to moderate diarrhea. All were enrolled from six centers across India and centrally randomized to receive S. boulardii CNCM-I 3799 and B. subtilis CU-1 or a placebo along with oral rehydration salts and zinc supplementation. Each participant was followed up for three months to assess recurrence of diarrhea.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in the probiotic and placebo groups were 54.16 hours and 59.48 hour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diarrhea in those administered with probiotic or placebo within 24 hours of diarrhea onset was 25.21 hours.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duration of diarrhea was 13.84 hours (p<0.05) for participants who were administered with probiotics within 48 hou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ool frequencies between the two arms. After three months, 15% in the probiotic group and 18.5% in the placebo group reported episodes of diarrhea.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probiotic group, 31.02 hours versus 48 hours in placebo (p=0.017). Conclusion: S. boulardii CNCM-I 3799 and B. subtilis CU-1 combin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uration of diarrhea when administered within 48 hours of diarrhea onset. Similarly, it reduced recurrence of diarrhea and its intensity in the subsequent three months.

서비스직과 비서비스직의 감정노동 및 감정노동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motional Labor between Service Job vs. Non-Service Job and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 김환;한수미;최혜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77-188
    • /
    • 2019
  • 감정노동이란 직업적인 요구에 맞춰 감정을 조절하여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그간 서비스 근로자의 감정노동 특징이나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뤄졌으나 서비스 근로자와 비서비스 근로자의 감정노동을 비교한 연구가 많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유형을 나누어 감정노동의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감정노동의 부정적인 결과로 알려져 있는 우울과 삶의 질 저하에도 관심을 가지고 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우울, 삶의 질과 감정노동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125명의 서비스 근로자와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186명의 온라인 대학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온라인 대학생의 경우 비서비스직 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리자, 군인 및 주부로 대상의 직업을 제한하였다. 집단 차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에 더불어 사후분석으로 Fisher의 LSD를 실시하였다. 고객응대의 과부하 요인은 서비스직에서 다른 세 집단에 비해 높았고 감정조절의 요구와 규제, 감정 부조화, 우울은 서비스직과 주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의 시행 결과로는 감정부조화가 우울을 상승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있는 한편, 지지와 보호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우울은 저하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뇌졸중 환자 가족의 지식 및 교육 요구도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Stroke among the Caregivers)

  • 강지순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173-191
    • /
    • 2017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질환에 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뇌졸중 환자 가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 3개의 재활병원 뇌졸중 환자가족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졸중관련 지식, 교육요구도는 독립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Tukey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뇌졸중관련 일반지식은 총 6점 만점에 평균 4.54점이었고, 종교, 교육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뇌졸중관련 증상지식 부분은 총 15점 만점으로 평균 10.34점이었고 교육정도와 월수입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뇌졸중관련 위험요인지식은 총 16점 만점에 평균 8.98점이었고 교육정도, 결혼여부, 직업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70점으로 높게 측정되었고 교육정도, 수입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뇌졸중에 대한 지식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지식, 교육요구도를 고려하여 뇌졸중 환자의 질적간호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뇌졸중 환자 가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Bartter 증후군 환아의 치아우식 치료: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BARTTER SYNDROME: CASE REPORT)

  • 김민지;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49
    • /
    • 2019
  • Bartter 증후군은 심각한 헨레고리 비후 상행각(TAL)에서의 일차적인 염류(NaCl) 수송 장애로 인하여 심각한 저칼륨혈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만성 구토로 인한 치아의 부식, 교모, 마모의 구강 내 소견을 보여 구토와 관련된 적절한 칫솔질 및 식이 습관 등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과 관찰이 권장되며 교합고경의 회복을 위해 전장관 수복이 추천된다. 치과 치료 시의 스트레스로 인하여 전해질 수치의 불균형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어 전신마취 하 치료가 유리할 수 있으며, 전신마취 시 과환기되어 저칼륨혈증이 심화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감시를 해야하고 술 후에도 전해질 불균형이 초래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의 재조합 S1 RBD 단백질을 이용한 COVID-19 바이러스의 중화항체 검사 키트의 개발 (Development of COVID-19 Neutralizing Antibody (NAb) Detection Kits Using the S1 RBD Protein of SARS-CoV-2)

  • 최동옥;이강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7-265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사람의 호흡기관에 다수로 분포하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2,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CE2)를 매개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β-genus 바이러스이고 완치환자 및 백신 접종자의 항체생성에 대한 효율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한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다. 이 논문에서는 임상 시료의 중화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재조합 단백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COVID-19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를 빠르고 편리하게 진단하는 신속 진단 키트를 개발하고 그것의 성능 평가를 통하여 제품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COVID-19 S1 RBD 재조합 단백질을 사용한 신속 진단 키트의 양성 퍼센트 일치(PPA) 및 음성 퍼센트 일치(NPA)가 미국 FDA EUA에서 승인한 ELISA 키트와 비교했을 때 각각 100% 및 98.3%인 점에서 신속 진단 키트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신속 진단 키트의 성능을 개선하고 정량 분석 장비를 통해 중화항체를 정량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면 제품화 통해 검체내의 중화항체 유무와 양을 확인함으로써 COVID-19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성을 예측하고 추가 예방접종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maximal oxygen uptake, and heart rate of short-term non-smokers)

  • 유경태;정범철;박순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64-1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단기 금연 동안 실시하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 소재 N대학교의 20대 남성 26명으로 흡연자 13명과 비흡연자 13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파악 후 사전 측정 시 허파기능(FVC, SVC, MVV)과 최대 산소 섭취량를 측정하였으며 3일 간 심장박동수와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후 3일 금연과 함께 몸통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후 측정으로 허파기능과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였고, 당일 운동 후 즉시 1일차, 2일차 3일차의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몸통 안정화 운동이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흡연자 집단과 비흡연자 집단 모두 운동 전후 허파기능(FVC, SVC, MVV), 최대산소섭취량, 회복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짧은 기간이라도 비흡연자뿐만 아니라 단기 금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금연 활동을 더한 몸통 안정화 운동이 심장허파기능 감소 예방 및 향상을 위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경과기간에 따른 미충족요구 분석 (Analysis of Unmet needs by Elapsed Tim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 노세희;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57-467
    • /
    • 2020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자가간호가 필요한 신장이식 수술환자의 경과 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를 파악하여, 시기에 맞는 통합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신장이식 수술 후 1년까지 입원 및 외래환자 84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2월 17일부터 5월 31일까지로,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in Cancer(CNAT)를 신장이식 환자에 맞게 수정·보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Chi-square, 독립 t-test, one-way ANOVA, ANCOVA, 사후검정은 Scheffé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장이식 수술 환자의 미충족 요구는 171점 만점 중 총점 평균 68.28(±38.88)점, 하부영역 8개 중 정보 및 교육이 17.92(±8.36)점으로 가장 높았다. 경과 기간에 따른 미충족 요구는 3-6개월에 비해 6개월-1년까지가 유의하게 높았다(F=7.57, p=.001). 이를 토대로 신이식 후 회복이 되어 관심이 줄어들 수 있는 6개월-1년 사이 환자의 미충족 요구는 증가하였으므로 적절한 정보와 도움을 융합하여 제공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Intravenous Fluid Selection for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Clipping : Balanced Crystalloid versus Normal Saline

  • Kang, Jian;Song, Young Joo;Jeon, Sujeong;Lee, Junghwa;Lee, Eunsook;Lee, Ju-Yeun;Lee, Euni;Bang, Jae Seung;Lee, Si Un;Han, Moon-Ku;Oh, Chang Wan;Kim, Tacke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4호
    • /
    • pp.534-542
    • /
    • 2021
  • Objective : While balanced crystalloid (BC) could be a relevant fluid regimen with buffer system compared with normal saline (NS),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optimal fluid for surgery of an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UIA).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fluid regimens between NS and BC on the metabolic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UIA.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pensity score matched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and included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UIA clipping. Patient groups were categorized as NS and BC groups based on the types of pre-operative fluid and the amount of fluid administered during surgery. The primary outcomes were defined as electrolyte imbalance and acidosis immediately after surgery. The secondary outcomes were th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nd duration from the end of the operation to extubation. Results : A total of 586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ith each of 293 patients assigned to the NS and BC groups, respectively. Immediately after surgery, serum chlo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S group. Compared to the NS group, the BC group had lower incidence rates of acidemia (6.5% vs. 11.6%, p=0.043) and metabolic acidosis (0.7% vs. 4.4%, p=0.007). As compared to NS group, BC group had significantly shorter duration from the end of the operation to extubation (250±824 vs. 122±372 minutes, p=0.016) and length of stay in ICU (1.37±1.11 vs. 1.12±0.61 days, p=0.001). Throughout multivariable analysis, use of BC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 for favorable post-operative result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who received BC during UIA clipping had lower incidence of metabolic acidosis, earlier extubation and shorter ICU stay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NS. Therefore, using BC as a peri-operative fluid can be recommended for patients who undergo surgery for UIA.

명암(明庵) 정식(鄭栻)의 한시(漢詩) 연구(硏究) (A Study on Chinese poetry of Myeongam Jeong-Sik)

  • 정시열
    • 동양고전연구
    • /
    • 제33호
    • /
    • pp.159-191
    • /
    • 2008
  • 본고는 18세기 영남 지방의 선비였던 명암(明庵) 정식(鄭?)(1683-1746, 숙종9-영조22)의 시작(詩作)에 나타난 은일지사적(隱逸之士的) 특성에 대한 입체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지절(志節)에 있어서 대단히 강개한 측면을 지니고 있었는데, 청나라가 들어선지 약 40년 후 출생했으나, '명암(明庵)'이라는 그의 호에서 드러나듯 여전히 명나라를 숭모와 추앙의 대상으로 여기는 데 변함이 없었으며, 평생 동안 벼슬을 거부한 채 초야에서 독야청청(獨也靑靑)의 지사(志士)로 살다 갔다. 당시 명암이 살던 진주(晋州) 권역은 남명 이후 실천적 도학의 분위기가 팽배했던 지역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은거는 명암이 택한 실천적 행동의 한 양상이었으리라 유추할 수 있다. 명암의 시에 대해서는 여러 방향에서 논의가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다음 두 가지 사항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세상에 대한 그의 자세, 즉 은거라는 측면과 관련해서 작품을 살폈다. 둘째, 시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단순히 은거시를 검토한다는 평면적인 관점에 머물지 않고, 당당하고 거침없는 무애인(無碍人)의 기상, 한거(閑居)에 내재된 자기 연민과 우울의 감정, 그리고 사물에 대한 섬세한 묘사와 정감(情感)의 표출이라는 세 항목이 서로 유관(有關)함을 밝히고, 이들 각각에 대해 차례로 탐색하는 입체적인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