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st Scription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BackTranScription (BTS)-based Jeju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Post-processor Research (BackTranScription (BTS)기반 제주어 음성인식 후처리기 연구)

  • Park, Chanjun;Seo, Jaehyung;Lee, Seolhwa;Moon, Heonseok;Eo, Sugyeong;Jang, Yoonn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178-185
    • /
    • 2021
  • Sequence to sequence(S2S) 기반 음성인식 후처리기를 훈련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 구축을 위해 (음성인식 결과(speech recognition sentence), 전사자(phonetic transcriptor)가 수정한 문장(Human post edit sentence))의 병렬 말뭉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많은 노동력(human-labor)이 소요된다. BackTranScription (BTS)이란 기존 S2S기반 음성인식 후처리기의 한계점을 완화하기 위해 제안된 데이터 구축 방법론이며 Text-To-Speech(TTS)와 Speech-To-Text(STT) 기술을 결합하여 pseudo 병렬 말뭉치를 생성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해당 방법론은 전사자의 역할을 없애고 방대한 양의 학습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기에 데이터 구축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단축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BTS를 바탕으로 제주어 도메인에 특화된 음성인식 후처리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델 수정(model modification)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모델 중심 접근(model-centric) 방법론과 모델 수정 없이 데이터의 양과 질을 고려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중심 접근(data-centric) 방법론에 대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모델 교정없이 데이터 중심 접근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이 성능 향상에 더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으며 모델 중심 접근 방법론의 부정적 측면 (negative result)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 PDF

A Study on Verification of Back TranScription(BTS)-based Data Construction (Back TranScription(BTS)기반 데이터 구축 검증 연구)

  • Park, Chanjun;Seo, Jaehyung;Lee, Seolhwa;Moon, Hyeonseok;Eo, Sugyeong;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1
    • /
    • pp.109-117
    • /
    • 2021
  • Recently, the use of speech-based interfaces is increasing as a means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Accordingly, interest in post-processors for correcting errors in speech recognition results is also increasing. However, a lot of human-labor is required for data construction. in order to manufacture a sequence to sequence (S2S) based speech recognition post-processor. To this end, to alleviat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ology, a new data construction method called Back TranScription (BTS) was proposed. BTS refers to a technology that combines TTS and STT technology to create a pseudo parallel corpus. This methodology eliminates the role of a phonetic transcriptor and can automatically generate vast amounts of training data, saving the cost. This paper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that data should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ext style and domain rather than constructing data without any criteria by extending the existing BTS research.

A Study on Interaction Mechanism and Narrative Style of Indie Games (인디게임의 인터랙션 매커니즘과 서술방식 연구)

  • Lee, Jung Yeop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4
    • /
    • pp.17-26
    • /
    • 2014
  •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popularity of indie games that have recently caught spotlight from multiple platforms by finding the reason from the games' innovative way of interaction and new attempts in narrative style, and the objective is a preliminary study on indie games' game design, storytelling and it's prestige. This paper focuses on the aspects of indie games compared to established studio games by means of interaction mechanism, directing style and narrative style, and analyzed it with examples. In addition, it looks into examples of Korean indie games entering global platforms such as Steam.

Automatic Generation of Training Data for Korean Speech Recognition Post-Processor (한국어 음성인식 후처리기를 위한 학습 데이터 자동 생성 방안)

  • Seonmin Koo;Chanjun Park;Hyeonseok Moon;Jaehyung Seo;Sugyeong Eo;Yuna Hur;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65-469
    • /
    • 2022
  • 자동 음성 인식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자동 음성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자동 후처리기 연구(automatic post-processor)가 진행되어 왔다. 후처리기를 훈련시키기 위해서는 오류 유형이 포함되어 있는 병렬 말뭉치가 필요하다. 이를 만드는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정답 문장에 오류를 삽입하여 오류 문장을 생성하여 pseudo 병렬 말뭉치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실제적인 오류가 아닐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Back TranScription (BTS)을 이용하여 후처리기 모델 훈련을 위한 병렬 말뭉치를 생성하는 방법론이 존재한다. 그러나 해당 방법론으로 생성 할 경우 노이즈가 적을 수 있다는 관점이 존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TS 방법론과 인위적으로 노이즈 강도를 추가한 방법론 간의 성능을 비교한다. 이를 통해 BTS의 정량적 성능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정성적 분석을 통해 BTS 방법론을 활용하였을 때 실제 음성 인식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제적인 오류를 더 많이 포함하여 병렬 말뭉치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