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stain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노랑민달팽이(Limax flavus L.)의 표피상피세포와 점액형성세포에 관한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인 연구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Epithelial Cells and Mucus-producing Cells of Korean Slug(Limax flavus L.))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18권2호
    • /
    • pp.1-20
    • /
    • 1988
  • The species of the slug used in the experiment is Limax flavus L. For identifying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dermis, granules and mucus-producing cell of this animal is examined with methylene blue-basic fuchsin double stain and PAS-alcian blue reagent. For the ultrastructural research of the epidermal free surface, the epitheial cell and the parenchymal cell are us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spectively. I . Epidermal tissue The epidermal tissue of the slug is observed being divided into the dorsal and the ventral side(toot pad) respectively. 1) Dorsal epidermal tissue The dorsal epidermis of the slug is constituted with the simple columnar epithelium and the microvilli are compacted on the epidermal free surface. Two different types of the secretory granules of the neutral and the acid mucus are observed between the epithelial cells, and the neutral mucous granules are highest electron-dense but the acid mucous granules are observed to be electron-lucent. 2) Foot epidermal tissue The Foot epidermis is formed with the taller simple columnar epithelium than the dorsal epidermis and these cells have both a large number of the microvilli and a few number of the large villi. The secretory granules of three different types, which are acid, neutral and mixed mucous granule of two different types are observed between the epithelial cells. The neutral mucous granules are highest electron dense but the acid mucous granules are observed to be electron-lucent. II .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and mucus-producing cells Seven different types of the granules-producing cell and the mucus-producing cells are observed between the parenchyma. 1) A-type of acid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 electron-lucent granules are largely occupied in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and then the granules are surrounded by irregular membrane. These electron-lucent granules exhibit alcianophilia with PAS-alcian blue reaction, so these granules are certified to be acid mucopolysaccharide. 2) B-type of acid mucus-producing cell The nucleus and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are pushed by the acid mucus of the electron-lucent toward the cell membrane. This mucus has been confirmed to be the acid mucopolysaccharide with PAS-alcian blue reagent. 3) A-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the electron-dense round granules with approximately $1{\mu}m$ in diameter, which exhibit strongly PAS-positive reaction. These granules are confirmed to be the neutral mucoplysaccharide. 4) B-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two different types of electron dense granules and electron-lucent granules; The former exhibits to be strongly PAS-positive and the latter to have alcianophilia reaction respectively. 5) C-type of neutral mucus-producing cell These cells are similar to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B-type of mucus-producing cell but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cells are stained with reversing properties to each other. The mucus of the C-type cell that electron-lucent is largely occupied in the cytoplasm that exhibits strongly PAS-positive reaction. 6) D-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round granules about $1{\mu}m$ in size which are observed to be medium electron-dense granules and those granules are stained brightly red with PAS-weak positive reaction. The granules are certified to be neutral mucopolysaccharide. 7) E-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are similar to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D-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a large number of granules with about $1{\mu}m$ in diameter showing electron-lucent and then granules are seen to be PAS-weak positive reaction. III. Parenchyma The clear cell and dark cell are found in the parenchyma of the Limax flavus L. 1) Clear cell These cells are round formed and the nucleus of the cells are larger than cytoplasm. These cells which have the electron-lucent cytosol possess poorly developed organelles. 2) Dark cell These cells are found to be dark cells due to high electron-density, which exhibit strongly methylene-blue reaction from double stain of methylene blue-basic fuchsin.

  • PDF

객담 결핵균 도말검사가 음성일때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와 진단적 신뢰도에 관한 연구 (How Reliable is Sputum PCR Test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When Sputum Smear is Negative?)

  • 백승훈;이재명;강민종;손지웅;이승준;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이경화;조현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222-228
    • /
    • 2001
  • 목 적 : 객담 항산균 도말 양성환자에서 direct amplification test (DAT) 양성이면 폐결핵으로 확진이 가능하다. 그러나 객담 항산균 도말음성이고 DAT는 양성인 경우에는 DAT 결과가 얼마나 신뢰성이 있는지 의문이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결핵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객담 항산균 도말 음성이고 DAT 양성일 때 폐결핵진단에 있어서 DAT의 유용성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6월1일부터 1999년 5월30일 까지 한림대학교 의료원에서 폐결핵이 의심되어 결핵균 항산균 도말, 배양검사 및 DAT를 시행한 9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활동성 폐결핵의 확진은 결핵균 배양 양성이거나 조직학적으로 건락성 육아종이 증명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임상적 폐결핵의 진단 조건은 방사선 소견상 결핵성 폐침윤이 의심되고 폐렴, 폐암 등이 배제된 환자로 결핵균 배양은 음성이나, 항결핵제 3개월 이상 투여 후 증상 및 방사선 소견상 호전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DAT는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에 특징적으로 존재 하는 insertion sequence (IS6110)의 특정 부위만을 특이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TB-$CRkit^{TM}$(한국생공, 대전)를 이용하였으며, 특이도를 높이기 위해 nested PCR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909 명 중 객담 항산균 도말검사는 335명에서 양성(36.6%)이었으며, 객담 결핵균 PCR이 374명에서 양성(41.1%)으로 판명되었다. 객담 항산균 도말 음성이면서 객담 결핵 PCR 양성인 환자는 39명(4.3%)으로 남자 22명, 여자 17명 이었다. 객담 결핵 PCR 양성인 환자 39 명중 32명에서 폐결핵으로 진단되었다. DAT는 확진된 결핵환자만을 대상으로 할 때 61.5%의 양성 예측율을, 확진된 폐결핵 환자와 임상적으로 진단된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할 때 82.1% 양성 예측율을 나타냈었고 위양성율은 18.0%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임상적으로 폐결핵이 의심되는 객담 항산균 도말 음성인 환자에서 객담 DAT 양성일 때 폐결핵의 조기 진단에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야외 송아지 설사변에서 작은와포자충 검출에 대한 평가 (Evaluation for detection of Cryptosporidium oocysts in diarrheal feces of calves)

  • 위성환;주후돈;강영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2호
    • /
    • pp.121-126
    • /
    • 1996
  • 작은와포자충이 송아지에서 설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야외에서 설사를 발현하는 4개월 이하의 송아지 분변 총 201건를 수거하여 DMSO-modified acid fast 염색법 (MAFS), commercial kit(Meridian Diagnostics, Cincinnati, Ohio) 그리고 본 실험실에서 만 든 단세포군항체(C6)를 이용한 간접형광항체법(IFA)으로 작은와포자충의 검출을 시도하였다. 작 은와포자충의 검출은 MAFS에서 29건(14.4%) commercial kit와 IFA에서 각각 23건씩(11.4%) 검출되었다. 작은와포자충 오오시스트의 검출에 사응된 진단기법간의 진단일치율을 비교 하였던 바 msS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IFA는 민감도 69%. 특이성 98%였다. Commercial kit와 IFA진단법에서는 양성 22건, 음성 177건이 서로 일치하였으며. commercial kit를 기준으로 할 때 IFA의 민감도는 96%, 특이성 99% 고리고 진단일치에 대한 기대치는 99%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IFA는 commercialkit와 일치율이 높아 진단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IFA에서 작은와포자충이 검출된 23건의 분변에 대해 분변 g당 작은와포자충 오오시스트의 수(OPG)를 측정하였다. 14건이 $10^3$ 이하의 OPG수준을 나타냈으나 $10^5$ 이상의 OPG도 4건이었다. 작은와포자충에 감염되어 설사가 발현될 때의 OPG의 수준이 $10^5$ 이상임을 감안해 보면, 이번 조사된 송아지 설사변 201건 중 4건(5%)은 작은와포자충에 의한 설사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내메서 발생되는 송아지 설사 원인중 약 5%는 설사와 관련되는 다른 원인체와 관계없이 작은와포자충 단독감염만으로도 임상적으로 설사가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혈청학적 진단을 위한 돼지 편충의 체항원, 배설/분비항원의 분리 및 비교 (Isolation and comparison of somatic and excretory-secretory antigens for serological diagnosis in Trichuris suis)

  • 지차호;이철순;박승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9-168
    • /
    • 1999
  • Swine whipworm(Trichuris suis) is cosmopolitan nematode which can cause serious pathology in immature stage(larva2~larva5) of infected pigs, such as anorexia, diarrhea, anemia, and death in heavy infections. In this larval stages, it is very difficult to diagnose the infection of whipworm and to differentiate from other common swine gastrointestinal disorders such as 21 day scou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GE virus, rota virus, coccidium, and the stress of weaning. In this experiment, the isolated antigens of Trichuris spp.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specificity of antigens and to select the reasonable antigens which would be used in serological diagnosis by electrophoresis, Western blotting, ELISA.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The common fractions of each Trichuris suis antigen were identified 28,32,45, 80kDa by SDS-PAGE with silver stain and four major fractions could be detected in positive swine sera by Western blot analysis. 2. The OD(optical density) values of somatic and excretory-secretory antigens which were reacted against positive(negative) sera from pigs infected with Trichuris suis by ELISA reader were; 1) OD values($mean{\pm}SD$) of adult somatic antigen against positive(negative) sera were $0.30{\pm}0.12(0.09{\pm}0.006)$ and third-stage larva of somatic antigen were $0.28{\pm}0.038(0.10{\pm}0.005)$. And OD values of excretory-secretory antigens of adult and third-stage larva were $0.24{\pm}0.031(0.11{\pm}0.005)$ and $0.08{\pm}0.013(0.10{\pm}0.003)$, respectively. 2) OD values of adult somatic, larval somatic antigen and adult excretory-secretory antigen response to positive sera were significantly (p<0.01) associated with negative swine sera. And the Cut-off OD values(minimum positive value) were determined to be mean negative value plus 3 SD that would minimized the risk of false positives. 3. The OD values of somatic antigens of T suis and T vulpis against swine positive(negative) sera were $0.30{\pm}0.120(0.09{\pm}0.006)$ and $0.25{\pm}0.141(0.09{\pm}0.003)$. These data mean that the somatic antigens of T suis and T vulpis were able to diagnose T vulpis infection in dogs as well as T suis infection in pi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atic antigen of third-stage larva and excretory-secretory antigen of adult T suis could be used the diagnostic antigen by serological test(ELISA) in immature Trichuris spp. infection.

  • PDF

돼지 황체에서 TNFα-분비 대식세포와 내피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TNFα-Secreting Macrophages and Endothelial Cells in the Porcine Corpus Luteum)

  • 박창식;한승로;김수일;조근자;김원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11-720
    • /
    • 2005
  • 황체내 TNF$\alpha$는 큰황체세포를 포함한 황체내 세포들의 사망을 일으키고, 황체내 혈관의 퇴화와 프로게스테론 농도의 감소를 초래하는 등 황체의 구조적 및 기능적 퇴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이와는 대조적으로 TNF$\alpha$는 황체발달의 초기에는 황체자극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황체내에서 TNF$\alpha$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 물질의 분비원이 대식세포라는 보고들과 대식세포는 주된 분비원이고 내피세포에서도 소량 분비된다는 보고 등 이견이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돼지에서 비임신기와 임신기의 성숙황체와 용해황체를 이용하여 대식세포와 TNF$\alpha$ 면역조직화학을 실시한 결과, 성숙황체내에서 TNF$\alpha$의 주된 분비원은 대식세포이고 내피세포도 일부 분비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황체용해가 진행되면서 내피세포가 TNF$\alpha$의 분비와 반응에 다양성과 역동성을 보이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각종 포유동물 갑상선내의 소포방세포에 관한 비교조직학적 연구 (Comparative Histological Study on the Parafollicular Cells of Mammals)

  • 고정식;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108
    • /
    • 1980
  • 본 연구는 포유동물 갑상선내에 출현하는 PF cell의 형태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사람을 비롯한 포유동물 5목 9종 (영장목, 사람; 우제목, 소, 돼지, 흑염소; 식육목, 개; 설치목, 흰쥐, 마우스, 다람쥐; 토끼목, 집토끼)을 재료로 하여 이 세포의 분포상태, 형태 및 염색성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F cell의 출현수는 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위면적당 출현수는 개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흰쥐, 다람쥐, 마우스, 집토끼, 소, 돼지, 흑염소, 사람의 순서로 적었다. 2. PF cell의 갑상선내의 분포상태를 보면 소, 집토끼, 다람쥐 및 마우스의 경우는 선엽의 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 사람, 돼지, 흑염소 및 흰쥐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는 아니나 부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개에서는 선엽전체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고, 흰쥐의 것은 각 부위의 중심부에 모여 있었다. 흑염소와 다람쥐의 것은 후부에 더 많았다. 마우스와 집토끼의 것은 선엽의 중간부에 많이 출현하되 마우스의 것은 주로 중심부에, 집토끼의 것은 후외측부위에 더 많았다. 사람, 소 및 돼지의 것은 중상부와 후상부에 많이 분포하되 사람과 소의 것은 주로 중심부에 더 모여 있었으며 돼지의 것은 곳곳에 밀집되어 나타났다. 3. PF cell의 출현 위치관계를 보면 개의 경우는 대부분 소포사이에 위치하며 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많았지만, 집토끼의 것은 소포내 또는 소포질과 소포사이의 결합조직내에 두루 분포하되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것이 자주 관찰되었고, 사람, 소, 돼지, 흑염소, 흰쥐, 마우스 및 다람쥐의 경우는 대부분 소포내 또는 소포곁에 낱개로 산재하였다. 4. PF cell의 모습은 식육목인 개의 것만 구형 또는 난원형이고 기타 동물의 것들은 방추형, 원추형, 난원형, 구형 및 세포질 돌기를 가진 세장형등 매우 다양한 모습이었다. 5. 세포의 크기는 소, 개 및 돼지의 것이 다소 크고, 집토끼, 사람 및 흑염소의 것이 중등대였으며 흰쥐, 마우스 및 다람쥐의 것이 다소 작은 편이었다. 6. PF cell내에 함유되어 있는 분비과립의 양에 따른 형별 세포의 출현비율에서 볼때 다과립형 세포가 많은 동물은 돼지, 소, 개 및 다람쥐였고, 희과립형 세포가 많은 동물은 마우스, 흰쥐 및 사람이었다. 7. 은친화성 도은법에서는 모든 동물에서 양성 반응을 볼 수 없었으나, 기타 3가지 염색법에서는 종에 따라 차이는 보이나 모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즉, 개, 소 및 돼지의 PF cell은 3가지 염색에서 모두 중등도 이상의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흑염소의 것은 Grimelius 은호성 도은법과 HCl-toluidine blue법에서, 집토끼와 다람쥐의 것은 HCl-toluidine blue 법에서, 흰쥐의 것은 Grimelius 은호성 도은법과 HCl-lead hematoxylin법에서, 마우스의 것은 HCl-lead hematoxylin법과 HCl-toluidine blue법에서 중등도 이상의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사람의 것은 3가지 염색법에서 모두 약한 양성 반응만을 나타내었다. 8. 이상의 소견을 종합하면, PF cell의 분포 위치 및 형태등에 종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또 조직학적 식별을 위한 염색법에 있어서는 양성 반응도가 다르기 때문에 실험 목적에 따라 염색법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Ash Tree Leaf Extract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Jeon, Jeong-Ryae;Choi, Joon-Hyu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752-755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h tree leaf extract (ALE) on acetaminophen (APAP)-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Hepatoprotective effects were detected by biochemical analysis of hepatic enzyme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liver.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control mice, APAP-treated control mice, and mice pretreated with ALE and treated with APAP. A single dose of APAP markedly increased levels of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ight micrographs of liver cells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howed that APAP induced severe centrilobular necrosis, degeneration, and infiltration by inflammatory cells. Moreover, APAP caused the numbers of TUNEL-positive hepatocytes to increase and caused glycogen content to decrease as observed by Periodic acid-Schiff stain. However, pretreatment with ALE for 7 days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APAP significantly decreased plasma levels of AST and ALT. Histological findings demonstrated that ALE pretreatment alleviated APAP-induced liver damage, and induced the regeneration of liver tissue and restoration of glycog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h tree leaf extract exert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PAP-hepatotoxicity induced injury.

개의 십이지장에서 발생한 골수 외 형질세포종양 (Duodenal Extramedullary Plasmacytoma in a Dog)

  • 유미현;배일홍;노미영;김용백;김대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44-646
    • /
    • 2007
  • This report deals with a 9-year-old neutered male Yorkshire terrier that had been suffered from vomiting, bloody diarrhea, anorexia. On exploratory laparotomy, pale-pink $10{\times}6cm$ duodenal mass was found and submitted to the Department of Veterinary Patholog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tologically, the duodenal mass consisted of compact sheet of poorly demarcated, highly infiltrative neoplasm. The neoplastic cells were round to polygonal and contained scant to moderate amounts of granular basophilic cytoplasm and eccentrically located irregularly round nuclei with stippled chromatins. The neoplastic cells were positive to lamda light chain immunohistochemically but were uniformly negative for toluidine blue stain and giemsa stai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case was diagnosed as primary extramedullary plasma cell tumor of duodenum.

유방에 발생한 화생성 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증례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ic Findings of Metaplastic Carcinoma of the Breast - A Case Report -)

  • 민수기;차희정;김준미;주영채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2-206
    • /
    • 1996
  • Metaplastic carcinoma of the breast is a morphologically heterogenous group of neoplasms characterized by ductal adenocarcinoma with extensive squamous differentiation, a spindle-cell pattern of growth, and/or heterologous mesenchymal elements. We experienced a case of metaplastic carcinoma diagnosed by fine needle aspiration(FNA) and confirmed by radical mastectomy in a 46 year-old woman. The FNA cytologic findings included atypical squamous cells with kertinization tying singly and in clusters in a necrotic background. In addition, scattered spindle cells with pleomorphic large nuclei and prominent nucleoli were present in a hemorrhagic and necrotic background.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showed moderately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highly pleomorphic sarcoma with chondroid component.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revealed focal positive reaction for cytokeratin as well as diffuse reactivity for vimentin in the sarcomatous area.

  • PDF

흉막강액에서 진단된 류마티스성 흉막염 - 세포학적 소견 1예 보고 - (Cytologic Findings of Rheumatoid Pleuritis in Pleural Effusion - A Case Report -)

  • 차희정;민수기;김준미;주영채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1
    • /
    • 1997
  •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of any degree of severity or duration may develop necrotizing granulomatous pleuritis, a morphologic replica of the inflammatory reaction characteristic of rheumatoid synovitis and rheumatoid nodules. The principal feature is the background composed of granular, amorphous, particulate material or debris of various hues. The material is sometimes eosinophilic sometimes more cyanophilic, or even green in the Papanicolaou stain. Within this background are elongated, fibroblast-like epithelioid cells, numerous multinucleated giant cells and degenerating leukocytes. The combination of the debris, spindle epithelioid ceil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in fluid is pathognomonic for rheumatoid pleuritis. We experienced a hcase of rheumatoid pleuritis showing these characteristic cytologic findings. The patient was a 63 year-old man with positive rheumatoid factor. The pleual fluid specimen revealed elongated epithelioid cell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on a background of amorphous granular material.

  • PDF